2023.10.2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0.4℃
  • 흐림강릉 16.3℃
  • 맑음서울 12.5℃
  • 대전 10.8℃
  • 대구 12.9℃
  • 울산 13.3℃
  • 광주 12.3℃
  • 흐림부산 14.4℃
  • 구름많음고창 11.2℃
  • 흐림제주 17.1℃
  • 맑음강화 11.9℃
  • 흐림보은 11.5℃
  • 흐림금산 11.3℃
  • 흐림강진군 14.0℃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화장품수출 2년 연속 10조 달성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수출 다변화

식약처, 2022년 무역수지 8조 6천억원 기록 프랑스, 미국, 독일 이어 세계 4위 화장품 수출국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지난 2022년 화장품 생산, 수입, 수출 실적 분석 결과 중국 수출은 감소했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이 증가하는 등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분산되어 무역수지는 8조 5,631억 원(6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2년 생산실적은 13조 5,9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4% 감소했으며 수출실적은 전년 대비 2.2%(달러 기준 13.4%)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10조 2,751억 원(80억 달러) 기록하는 등 2년 연속 10조원을 상회해 세계 4위 수출 규모를 기록했다. 2022년 화장품 수입실적은 전년 대비 14.6%(달러 기준 1.5%) 증가한 1조 7,120억 원(13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2년 화장품 시장 주요 특징은 ▲수출 규모 세계 4위 ▲대중국 수출 의존도 분산, 국내 화장품 수출 시장 다변화 ▲기초화장용 제품 생산 감소 속 비중 강세 지속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화장품 무역수지 (단위 : 백만원)

 

 

# 화장품 수출 규모 세계 4위 등극

 

지난해 경기 둔화 등 영향으로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는 적자(472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화장품 산업은 8조 6천억 원(66억 달러) 무역흑자를 기록하며 우리나라 수출 주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국가별 수출실적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프랑스,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했다. 2020~2021년 세계 3위에서 한 단계 내려왔지만 여전히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 규모가 감소한 것은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중국 정부의 화장품 규제 강화(화장품감독관리조례 전면 개정 시행)와 자국 제품 선호 추세 등으로 인해 중국으로 수출이 26.0% 감소(-12억 6,995만 달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도별 화장품 생산실적 (단위 : 개, 억원, %)

 


# 대중국 수출 의존도 분산, 국내 화장품 수출 시장 다변화

 

화장품 수출국이 2021년 153개국에서 2022년 163개국으로 주요 선진국에 더해 중앙아시아 지역 등까지 세계 각지로 다변화됐다.

 

중국으로 수출은 감소(36억 달러, -26%)했으나 한류영향으로 베트남(3.8억 달러, +23.4%), 대만(2.0억 달러, +21.1%), 태국(1.5억 달러, +13.2%), 필리핀(0.6억 달러, +44.4%) 등 동남아시아 국가 중심으로 전년 대비 수출이 증가했다.

 

이어 프랑스(0.6억 달러, +5.8%), 캐나다(0.57억 달러, +40.8%) 등 선진국으로 수출과 키르기스스탄(0.53억 달러, +33.2%), 카자흐스탄(0.50억 달러, +11.2%) 등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을 활용하면 화장품 수출은 다시 도약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 (단위 : 천달러, %)

 

 

화장품 유형별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 기초화장용 제품 생산 감소 속 비중 강세 지속

 

2022년 화장품 생산실적은 대 중국 수출 일부 감소와 함께 중국 등 해외 여행객 구매 감소 등으로 대부분의 유형에서 생산실적이 감소했고 특히 기초화장용 제품의 감소의 폭(-2조 6,569억 원, -26.1%)이 가장 컸다. 그럼에도 생산실적 중 기초화장용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55.35%(2020년 59.2%, 2021년 61.12%)로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한편, 수입 화장품 실적은 기초화장용 제품이 36.8%, 방향용 제품류가 19.6%를 차지했다. 유형별 생산실적은 ▲기초화장용(7조 5,220억 원, 55.35%) ▲인체 세정용(1조 8,184억 원, 13.38%) ▲색조 화장용(1조 6,639억 원, 12.24%) ▲두발용 제품류(1조 6,526억 원, 12.16%) 등 순이었다.

 

2022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4조 6,000억 원으로 화장품 생산실적의 33.85%를 차지해 전년 대비 7.8% 감소했다.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은 총 974건으로 전년 대비 약 7.5% 증가해 신규 원료 개발과 제품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위 10개 품목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 총 974건 전년대비 7.5% 증가

 

2022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은 총 974건으로 전년 대비 약 7.5% 증가했다. 이 중 국내 품목은 827건, 수입 품목은 147건이었다. 국내 품목 비율은 84.9%로 전년도 83.7%보다 증가했다.

 

2022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974건 중 단일기능성 품목은 628건으로 자외선차단 기능성 제품이 전체의 약 58.3%(366건)를 차지했으며 염모(탈염, 탈색 포함)(68건), 탈모증상의 완화(63건), 여드름성 피부 완화(56건), 주름개선(33건), 미백(30건), 기타 순이었다.

 

이중기능성 품목은 181건(미백과 주름개선 복합제가 122건, 미백과 자외선차단 복합제가 26건, 주름개선과 자외선차단 복합제가 33건)이었고 삼중기능성 품목(미백, 주름개선 및 자외선차단)은 165건이었다.

 

신규 성분으로 심사받은 주성분 원료 개발도 2021년 5종에서 2022년 16종으로 증가했으며 신규 주성분을 사용한 제품 개발도 2021년 5품목에 비해 2022년에는 54품목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해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은 2020년 기능성화장품 범위에 추가된 후 제품개발이 2021년 3건에 비해 2022년 9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신규 원료 개발과 제품 개발에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는 국내 최대 화장품 수출 시장인 중국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중국 규제당국과 업무협력회의를 정례화하고 시험과 평가 관련 기술 교류 등 한-중 화장품 분야 규제기관 간 협력(R2R)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식약처는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정회원으로서 미국, 유럽 등 화장품 규제기관, 산업계 등과 네트워크를 강화해 화장품 분야 국제조화를 선도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식약처는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국가별 화장품 인허가 절차, 규제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화장품 규제 체계의 국제조화를 추진할 계획이다”며, “업계, 관계기관과 함께 협의체를 운영해 화장품 색소 기준 국제조화 등 규제혁신 과제를 추진하고 국산 화장품 수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년화장품생산수입수출실적 #화장품수출2년연속10조원달성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베트남 #대만 #태국 #필리핀 #프랑스 #캐나다 #수출국다변화  #중국수출의존도분산  #무역수지 #8조5631억원  #기초화장용제품감소 #기능성화장품생산실적감소 #기능성화장품심사품목974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