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11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140건으로 전월의 159건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이 가운데 국내 기업이 47건(33%)을 공개했는데 전월의 76건(48%)에 비해 비율은 감소했다. 반면, 해외 기업이 공개한 특허는 57건으로 41%를 차지해 전월의 26%를 크게 넘어섰으며 국내 기업의 공개건수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이 15건(11%), 대학 산학협력단 12건(9%), 국공립기관, 법인이 9건(6%)의 특허를 공개했다(표1 참조).
표1 2024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출원인별 현황
11월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한 기업은 코스맥스(주)로 총 8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세포배양 배지와 알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관련 특허 3건과 시계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피부 수면 박탈 개선 용도 특허와 아쉬아간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부 보습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특허를 발표했다. 또 공융용매를 이용한 천연물 추출법 특허와 1,2-헥산디올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특허, 피부 흡수와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도 공개했다.
다음으로 (주)코스메카코리아가 실리콘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폴리머 점증 시스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캡슐을 포함한 다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특허 등 3건을 발표했다. 또 (주)바이오뷰티사이언스도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여드름 예방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다크서클 개선용 조성물 특허 등 3건의 특허를 공개했다(표2 참조).
표2 2024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상위 기업별 현황
11월 2건 이상의 특허를 공개한 국공립기관, 법인은 전월과 같이 2개로 한국식품연구원이 3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2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불레기말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활성 조성물 특허를 발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대마 줄기 발효 추출물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와 트로폴론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특허를 발표했다(표3 참조).
표3 2024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특허 상위 국공립기관, 법인별 현황
11월 2건 이상의 특허를 공개한 대학 산학협력단은 1개로 전월의 3개 기관에 비해 감소했다.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2건의 특허를 공개했는데 인진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특허와 골격근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특허를 발표했다.
11월 해외에서 국내에 2건 이상의 특허를 공개한 내용은 표5와 같으며 미국이 전월과 같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월에 하위권에 있었던 프랑스가 상위권으로 올라왔다. 11월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한 미국은 총 16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천연 오일이 함유된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너 제형 등 모발에 관한 특허와 피부 케어 분야에서 경화성 실록산 조성물, 피부 관리를 위한 제형,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 제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개인 케어 제품 등의 특허가 발표됐다. 또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피부 노화에 사용하기 위한 디아릴알칸 화합물, 중수소화 카페인과 그의 용도 특허, 지방산 조성물에 관한 특허 등이 각각 발표됐다.
![]() |
![]() |
![]() |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