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액과 수출액이 모두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하면서 사상 최대실적을 갈아 치웠다. 이처럼 생산액과 수출액에서 최대실적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신규 인디브랜드의 급성장과 그에 따른 OEM ODM 업체들의 생산액이 크게 증가하고 새로운 수출시장을 확대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024년 국내 화장품 생산, 수출, 수입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4년 수출액이 2023년(85억 달러) 보다 20.3% 증가한 102억 달러이고 2024년 생산실적이 2023년(14조 5,102억 원) 보다 20.9% 증가한 17조 5,426억원으로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다고 오늘(27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실적은 글로벌 화장품 수출시장에서 2023년 세계 4위에서 2024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로 올라섰다.
국내 화장품 무역수지 (단위 : 천달러, %)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국가별 수출실적은 프랑스(232억 5,823만 달러)가 1위를 차지했고 미국(111억 9,858만 달러)이 2위를, 한국(101억 7,731만 달러)이 3위를 기록하며 한계단 올라섰다. 2023년 3위였던 독일(90억 7,601만 달러)로 4위로 밀려났다.
# 화장품 생산액 17조 사상 최대실적 기록, 기초화장품 10조 돌파
2024년 국내 화장품 대부분 유형에서 생산이 증가해 전년 대비 20.9% 증가한 17조 5,426억 원을 기록했다.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중심의 수출 증가가 생산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연도별 화장품 생산실적 현황 (단위 : 억원, 개, %)
유형별 생산액과 비중은 기초화장용(10조 2,961억 원)으로 전체의 58.7%를 차지하며 또다시 10조 원을 돌파했다. 이어서 색조화장용(2조 6,755억 원)으로 15.3%를 차지했으며 인체세정용(2조 770억 원)이 11.8%를, 두발용(1조 5,280억 원)이 8.7%를 기록했다.
이중 기초화장용 제품 생산액은 10조 2,961억 원으로 로션과 크림, 에센스와 오일, 팩과 마스크 중심으로 가장 많은 증가액(+1조 6,411억 원, +30.2%)을 보였다. 기초화장용 제품 생산액이 처음 10조 원를 돌파했던 2021년 생산실적보다 1,172억 원(+1.2%) 많은 생산액을 기록했다.
특히 기초화장품 중 로션과 크림, 에센스와 오일 생산액은 2023년 4조 4,405억 원에서 2024년에는 5조 7,515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팩과 마스크 생산액은 2023년 9,868억 원에서 2024년 1조 3,169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
화장품 유형별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색조화장품은 립스틱, 립글로스 등 립제품 중심으로 생산 증가액(+51.4%, +3,364억 원)을 보이며 기초화장품에 이어 생산액 2위를 차지했다. 색조화장품 중 립스틱, 립글로스 생산액은 2023년 6,540억 원에서 2024년 9,904억 원으로 증가했다.
인체세정용 제품은 폼클렌저 등을 중심으로 생산액이 증가(+30.0%, +2,045억 원)했다. 인체세정용 제품 중 폼클렌저, 기타 세정용 제품 생산액은 2023년 6,810억 원에서 2024년 8,855억 원으로 증가했다.
2024년 기능성화장품 생산액은 2023년 대비 35.2% 증가한 7조 3,515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41.9%를 차지했다. 특히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의 생산액이 가장 많이 증가(+71.0%, +1조 623억 원)했다. 이는 최근 소비자의 관심인 노화의 속도를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늦추는 ‘슬로우에이징’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주름 개선에 도움 주는 기능성화장품 생산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22년 1조 1,711억 원에서 2023년에는 1조 4,970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2조 5,593억 원으로 2조 원을 돌파했다.
책임판매업체 2024년 생산실적(생산액 1,000억 원 이상) (단위 : 억원, %)
# 1,000억 이상 생산기업, 2023년 12개서 2024년 21개 급증
지난해 1,000억 원 이상 생산한 기업도 급증했다. 2024년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업체는 13,976개이며 생산액 1,000억 원 이상 업체 수는 2023년 12개에서 2024년 21개로 증가했다. 생산액 1,000억 이상 업체 중 2023년 대비 100% 이상 생산액이 증가한 업체는 8개였다.
이중 달바글로벌(3,328억 원, +374.7%)의 생산액이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서 더파운더즈(1,525억 원, +212.9%), 스킨천사(1,202억 원, +396.8%), 티르티르(1,151억 원, +125.3%), 엘앤피코스메틱(1,131억 원, +111.4%), 구다이글로벌(1,092억 원, +105.4%), 비나우(1,087억 원, +229.4%), 에이피알(1,026억 원, +126.9%)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은 국내를 대표하는 인디브랜드로 화장품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2024년 화장품 생산 규모는 엘지생활건강(4조 8,794억 원, +39.6%)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아모레퍼시픽(2조 9,091억 원, -10.0%), 달바글로벌(3,328억 원, +374.7%), 애경산업(3,292억 원, +3.5%), 아이패밀리에스씨(1,955억 원, +77.0%) 순이었다.
# 20위권 생산기업 순위 큰 변화 '달바글로벌' 랭킹 3위 초고속 성장, '아이패밀리에스씨' 5위 급부상
지난해 화장품 업체의 생산실적 순위가 큰 변화를 보였다. 2023년 18위를 기록했던 달바글로벌(701억 원)이 2024년 3,328억 원(+374.7%)을 생산하면서 애경산업을 제치고 업계 3위로 초고속 성장을 달성했다. 2023년 11위였던 아이패밀리에스씨(1,104억 원)는 2024년 1,955억 원(+77.0%)을 생산하면서 5위 자리로 급부상했다.
2023년 20위권 밖에 있었던 더파운더즈(1,525억 원, +212.9%)는 단숨에 11위를 차지했으며 브이티코스메틱(1,505억 원)은 2023년 15위에서 12위로 상승했다. 2023년 20위권 밖이었던 스킨1004(1,202억 원, +396.8%)는 13위를 차지하며 20위권에 진입했으며 티르티르(1,151억 원, +125.3%)는 16위를, 엘앤피코스메틱(1,131억 원)는 17위를, 구다이글로벌(1,092억 원, +105.4%)은 18위를, 비나우(1,087억 원, +229.4%)는 19위를 차지하며 새롭게 20위권으로 진입했다.
반면, 애경산업(3,292억 원)은 2023년 3위에서 4위로 밀려났고 애터미(1,742억 원)는 4위에서 8위로 떨어졌다. 2023년 5위였던 클리오(1,684억 원)는 성장이 정체되면서 10위로 뒷걸음질쳤다. 2023년 20위권을 차지했던 난다(10위)와 이니스프리(12위), 에이블씨앤씨(13위), 해브앤비(16위), 에이제이(19위), 지피클럽(20위) 등은 2024년에는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고운세상코스메틱(1,075억 원)은 2023년 14위에서 2024년 20위를 떨어졌다.
2024년 상위 10개 품목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생산실적 상위 10대 품목 LG생활건강 8개 차지 '싹쓸이'
지난해 생산실적 상위 10개 품목은 LG생활건강이 8개를 차지하며 싹쓸이했다. 2024년 LG생활건강 더후 천기단 화현에멀젼(3,688억 원)이 최고 생산액을 기록했다. 이어서 더후 천기단 화현밸런싱토너(3,116억 원), 더후 비첩자생 에센스(2,264어 권), 더후 천기단 화현래디언스크림(1,829억 원) 등이 상위 4위까지 독식했다.
또 더후 공진향 폼클렌져(1,161억 원), 더후 천율단 화율로션(630억 원), 더후 진율향 진율로션(619억 원), 더후 천율단 화율밸런서(588억 원) 등이 10위권을 차지했다.
달바 워터풀톤업선크림(1,272억 원)은 처음으로 5위를 차지하며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 반면, 빅2 아모레퍼시픽은 상위 10위권에 설화수 윤조에센스6세대(833억 원) 만이 7위를 기록하며 체면치레를 했다.
2024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 (단위 : 억원)
2024년 기능성화장품은 7조 3,515억 원을 생산해 전체 생산액의 41.9%를 차지했다. 이중 복합기능성이 3조 2,231억 원으로 전체 18.4%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생산액을 보였다. 이어서 주름개선이 2조 5,593억 원으로 전체의 14.6%를 차지했으며 자외선차단이 4,299억 원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이밖에 미백 3,787억 원(2.2%), 탈모완화 4,113억 원(2.3%), 염모 2,664억 원(1.5%) 등으로 집계됐다.
# 화장품 수출 102억 달러 기록, 수출 호조 지속
2024년 국내 화장품 수출은 작년 대비 20.3% 증가해 102억 달러(13조 8,819억 원, 원화 기준 +25.6%)로 사상 최대실적을 나타냈다. 역대 연간 수출액 1위는 2024년 102억 달러였으며 2위는 2021년 92억 달러, 3위는 2023년 85억 달러 순이다.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 현황 (단위 : 천달러, %)
아울러 올해들어 1월부터 4월까지 화장품 수출액은20’24년 같은 기간보다 15.5% 증가한 36억 달러로 동기간 역대 최대실적을 나타내며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5년 4월 한 달 동안 2024년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화장품 수출액은 1월(7.5억 달러)과 2월(8.9억 달러) 다소 주춤했지만 3월 9.7억 달러, 4월 10.3억 달러로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 또다시 최대 수출액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 수출 감소, 미국, 일본 내 수입 화장품 1위 국산 화장품
2024년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24.9억 달러, -10.3%), 미국(19.0억 달러, +56.4%), 일본(10.4억 달러, +29.1%) 순으로 높았으며 홍콩(5.8억 달러, +15.5%), 베트남(5.3억 달러, +6.4%) 등이 뒤를 이었다.
화장품 유형별 수출실적 (단위 : 천달러, %)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의 수출 증가로 새로운 시장인 아랍에미리트연합(1.7억 달러, +91.0%, 9위), 인도네시아(1.4억 달러, +69.9%, 13위), 폴란드(1.3억 달러, +161.9%, 14위) 등에서 큰 증가세를 보였다. 또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전체 대륙권에서 수출이 증가하고 수출국가는 2023년 165개국에서 2024년 172개국으로 7개국(라이베리아, 버뮤다, 부르키나 파소, 아메리칸 사모아, 건지, 바하마, 사모아)이 확대되는 등 세계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지역별 수출액은 아시아(62억 달러)가 전년 대비 7.2% 증가해 가장 많았으며 북미(20억 달러, +56.5%), 유럽(14억 달러, +49.7%), 중동(3억 달러, +94.6%), 대양주(1.3억 달러, +54.1%), 중남미(1.0억 달러, +73.4%), 아프리카 등(0.2억 달러, +59.7%) 순이었다.
중국은 국내 화장품 수출국 1위를 유지했지만 기초화장용 제품(19.2억 달러)이 전년 대비 11% 감소하면서 대중국 수출 비중은 전체 대비 20%대로 낮아졌다. 중국 화장품 수출 비중은 매년 낮아지고 있는데 2021년 53.2%로 정점을 기록한 뒤 2022년 45.4%, 2023년 32.8%, 2024년 24.5%로 떨어지고 있다.
미국 화장품 수출은 기초화장품(14.0억 달러, +66.5%)과 색조화장품(2.6억 달러, +26%)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수출 비중이 지속적 높아지고 있다. 미국 수입 화장품 중 한국 화장품 비중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제품 등에서 22.2%를 차지하며 프랑스(16.3%)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 (단위 : 천달러, %)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의 미국 화장품 수출 비중은 2021년 9.2%에서 2022년 10.6%로 높아졌으며 2023년 14.3%, 2024년18.7%로 증가했다.
아울러 일본 내 수입 화장품 중 한국 화장품이 30.1%를 차지하며 프랑스(24.3%)를 제치고 2022년부터 3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일본재무성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일본 내 한국 화장품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5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갔다. 2020년에는 3위를 차지했으며 2021년 2위를 기록한데 이어서 2022년부터 줄곧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가별 화장품 수입실적 (단위 : 천달러, %)
2024년 화장품 수입은 2023년 보다 0.8% 증가한 13억 달러(1조 8,062억 원)로 무역수지는 사상 최대인 89억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화장품 무역수지(수출-수입)는 2021년 79억 달러(9조 161억 원), 2022년 66억 달러(8조 5,631억 원), 2023년 71억 달러(9조 3,323억 원), 2024년 89억 달러(12조 756억 원)를 기록했다.
화장품 유형별 수입실적 (단위 : 천달러)
상위 10개 품목 수입실적 (단위 : 천달러)
# 2024년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수 5년 새 약 2배 증가
화장품 산업 성장과 함께 제조시설 없이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위탁생산이 가능한 책임판매업체의 수는 2019년 15,707개에서 2024년 27,932개로 약 2배 증가했고 제조업체의 수 역시 2019년 2,911개에서 2024년 4,439개로 약 1.5배 증가했다.
연도별 책임판매업체 수는 2019년 15,707개, 2020년 19,769개, 2021년 22,716개, 2022년 28,015개, 2023년 31,524개, 2024년 27,932개였다. 제조업체 수는 2019년 2,911개, 2020년 4,071개, 2021년 4,428개, 2022년 4,548개, 2023년 4,567개, 2024년 4,439개였다.
화장품 영업자 현황 (단위 : 개)
2024년 화장품 책임판매업체는 2023년보다 3,592개가 감소했다. 이는 '화장품법 시행규칙'이 개정(2024년 7월 9일)됨에 따라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사업자 말소 업체에 대한 식약처장의 화장품 책임판매업 직권취소가 가능해져 세무서에 폐업 신고한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6,292개를 직권 취소한 결과이다.
2024년 책임판매업체는 국내 17,647개, 수입 1,461개, 수입 대행 8,824개였다. 2024년 신규 등록 책임판매업체 5,169개를 분석한 결과, 대표자가 30대는 34.1%, 40대는 32.7%, 50대는 17.6%, 20대 7.9%, 60대 6.5%, 그 외 1.2%로 유행에 민감하고 트렌드 변화가 빠른 화장품 시장의 특성으로 30대,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4년 생산실적을 보고한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13,976개에 종사하는 인원은 총 114,237명이었다. 규모별로는 종사자가 10명 미만인 업체는 12,266개로 전체의 88%를 차지했으며 종사자가 10명 이상 100명 미만 업체는 1,567개로 11%, 100명 이상 300명 미만 업체는 116개로 0.8%, 300명 이상 업체는 27개로 0.2%로 나타났다.
업무별로는 사무직 종사 인원이 45,426명(39.8%), 영업직 종사 인원이 26,953명(23.6%), 생산직 종사 인원이 22,775명(19.9%), 기타 6,959명(6.1%)이었다.
# 식약처, 규제외교 적극 추진 화장품 국제 경쟁력 강화 노력 지속
식약처는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해 국산 화장품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수출국 다변화에 맞춰 다양한 국가의 해외 규제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https://helpcosmetic.or.kr)’를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미국, 중국 등에서 안전성 평가제 등 새로운 규제가 시행됨에 따라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에도 규제조화 차원의 안전성 평가 도입을 준비하고 있으며 안전성 평가 전문기관 등 업계 지원 체계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매년 9월 7일을 화장품의 날로 지정해 국내 화장품의 국제적 위상을 널리 알리고 국가와 지자체, 관련 업계 등과 함께 국내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품질이 좋은 화장품을 사용하고 우수한 국산 화장품이 세계시장으로 원활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