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LG생활건강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43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급감했다.
중국과 북미, 일본 등 해외 사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화장품 사업 부문은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음료 부문에서 인력 구조조정 등 사업 효율화 관련 일회성 비용(약 200억 원)이 발생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0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소폭 증가했다.
사업 부문별로 화장품과 음료 부문 매출이 한 자릿수 성장했고 생활용품 부문은 소폭 줄었다. 영업이익은 화장품 부문에서 전년 대비 50.3% 증가했고 생활용품 부문은 22.1% 늘었다. 반면, 음료 부문은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2024년 연간 매출은 6조 8,119억 원으로 전년 대비 0.1% 소폭 늘었고 영업이익은 4,590억 원으로 5.7%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2,039억 원으로 24.7% 증가했다.
화장품 사업 4분기 매출은 6,9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10억 원으로 50.3% 증가했다.
중국과 북미, 일본 등 해외 사업이 호조를 보이고 국내에서는 온라인과 H&B 채널에서 성장을 지속하며 매출이 증가했다. 중국에서 호실적을 달성한 ‘더후’가 럭셔리 브랜드 입지를 강화했고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는 ‘더페이스샵’, ‘빌리프’, ‘CNP’ 등 전략 브랜드의 매출이 확대됐다.
중국 광군제, 미국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일본 큐텐 메가와리 등 해외 주요 온라인 행사와 연계한 마케팅 투자가 늘어났지만 전반적인 매출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도 개선됐다.
지난해 화장품 부문 연간 매출은 2조 8,5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 늘었고 영업이익은 1,5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했다.
생활용품 사업 4분기 매출은 4,9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2억 원으로 22.1% 증가했다.
‘피지오겔’, ‘유시몰’ 등 프리미엄 브랜드의 견고한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기 침체로 전체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해외 사업 효율화와 브랜드, 채널 다변화 전략으로 전년 대비 성장했다.
LG생활건강 2024년 4분기와 연간 전사 실적 (단위 : 억원, %)
생활용품 부문 연간 매출은 2조 1,3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3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음료 사업 4분기 매출은 4,1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2억 원으로 65.1% 감소했다. ‘코카-콜라 제로’, ‘몬스터 에너지’ 등 제로 탄산과 에너지 음료 중심으로 성장을 지속하며 매출은 한 자릿수 증가했다. 반면, 인력 구조조정 등 사업 효율화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음료 부문 연간 매출은 1조 8,24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8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9% 감소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