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 '제11회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2025.05.07 10:39:17

5월 30일 코엑스 3층 E5홀 학계, 업계 전문가 8명 참여 기능성화장품 신소재, 신제형, 신기술 동향 공유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코스인(대표 길기우)이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창간 10주년 기념으로 화장품 연구개발(R&D) 전문가를 초청해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 분야의 신기술, 신소재, 신제형 동향을 공유하는 '제11회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을 오는 30일 오후 1시부터 5시 30분까지 코엑스 3층 E5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사)대한화장품학회가 후원한다. 포럼 내용은 ▲기능성화장품 개발을 위한 세포노화와 염증노화 이해와 실제 ▲UVB에 의해 활성화된 각질세포 유래 엑소좀 마이크로RNA의 멜라닌 생성 역할 규명 ▲피부케어용 미세조류 유래 세포외소포 개발 ▲ROS를 이용한 기능성화장품 개발 전략 ▲기능성화장품 소재 발굴을 위한 시험법 소개 ▲miRNA 기반의 Exosome Bio-Barcode와 그 효능 연구 ▲최신 노화 연구 동향과 화장품 개발 ▲에코핸스(Ecohance), Evonik 차세대 지속가능한 솔루션 등 최신 기능성화장품의 신소재, 신제형, 신기술 동향을 공유한다.

 

주제발표는 ▲이동훈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황재성 경희대학교 유전생명공학과 교수, (사)대한화장품학회 회장 ▲김진웅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나건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특훈교수 ▲금영삼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교수 ▲강희철 (주)GFC생명과학 대표이사 ▲김형준 아모레퍼시픽 R&I Center 바이오사이언스랩장 ▲팀 자벨(Timm Zabel) 에보닉 케어솔루션사업부 아시아 지역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 등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코스인은 151년 역사의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통해 2024년 1월호부터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를 발간하고 있다. 화장품 연구개발, 퍼스널케어, 홈케어, 기술, 신원료, 신소재, 제형, OEM ODM, 법규, 상품기획, 마케팅, 품질관리, 트렌드 등 편집 구성과 정보를 강화했다.

 

√ 화장품 R&D 마케팅 전문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창간 10주년 기념
√ 기능성화장품 개발을 위한 세포노화와 염증노화 이해와 실제
√ UVB에 활성화된 각질세포 유래 엑소좀 마이크로RNA 멜라닌 생성 역할 규명 
√ 피부케어용 미세조류 유래 세포외소포 개발 
√ ROS를 이용한 기능성화장품 개발 전략 
√ 기능성화장품 소재 발굴을 위한 시험법 소개    
√ miRNA 기반 Exosome Bio-Barcode와 효능 연구 
√ 최신 노화 연구 동향과 화장품 개발
√ 에코핸스(Ecohance), Evonik 차세대 지속가능한 솔루션

 

이번 제11회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을 통해 국내 화장품 연구개발(R&D)이 한 단계 발전해 나가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K-뷰티가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높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지금, 지속적으로 화장품 연구개발 분야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한다.

 

먼저 이동훈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는 '기능성화장품 개발을 위한 세포노화와 염증노화 이해와 실제'를 주제로 세포노화(Cellular Senescence)와 염증노화(Inflammaging)의 핵심 메커니즘을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성화장품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이론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과 실제 사례를 제시한다.

 

황재성 경희대학교 유전생명공학과 교수는 'UVB에 의해 활성화된 각질세포 유래 엑소좀 마이크로RNA의 멜라닌 생성 역할 규명'을 주제로 UVB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각질세포 유래 엑소좀 마이크로RNA(miRNA)가 멜라닌 형성을 조절해 멜라노사이트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표한다. 특정 miRNA가 멜라노제네시스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멜라노사이트의 색소 침착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김진웅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는 '피부케어용 미세조류 유래 세포외소포 개발'을 주제로 미세조류에 세포압출 공정을 가해 제조된 세포외소포의 피부 항산화와 조직 재생에 성능을 확인하고 그 기작에 대해 소개한다.

 

제11회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 프로그램

 

 

나건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ROS를 이용한 기능성화장품 개발 전략'을 주제로 세포에 적절한 외부 자극을 주게 되면 세포 생장과 분화가 촉진되는데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기능성화장품을 개발하는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

 

금영삼 동국대학교 약확과 교수는 '기능성화장품 소재 발굴을 위한 시험법 소개'를 주제로 기능성화장품 소재를 소개하고 기능성화장품 발굴 시험법을 제시한다.

 

강희철 (주)GFC생명과학 대표이사는 'miRNA 기반의 Exosome Bio-Barcode와 그 효능 연구'를 주제로 miRNA를 활용한 엑소좀의 ‘바이오 바코드’ 기술의 설계와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아울러 해당 기술의 진단적 활용 가능성과 치료 효능 평가를 통해 향후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발표한다.

 

김형준 아모레퍼시픽 R&I센터 바이오사이언스랩장은 '최신 노화 연구 동향과 화장품 개발'을 주제로 최신 Aging Hallmarks 관련 노화 연구 트렌드와 가속노화 억제(GinsenomicsTM)와 역노화 효능 RE.D Flavonoid 함유 화장품 개발을 제시한다.

 

팀 자벨(Timm Zabel) 에보닉 케어솔루션사업부 아시아 지역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는 '에코핸스(Ecohance), 에보닉 차세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주제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업사이클링 원료를 활용한 차세대 화장품 원료 플랫폼인 에코핸스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한다.

 

이번 포럼은 화장품 연구원과 원료업체 연구원, 바이오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화장품 연구개발(R&D) 관계자 등이다. 등록비용은 100,000원(VAT 포함)이며 대학생(일반대학원 석박사) 30% 할인해 70,000원이다. 현재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정기구독자는 등록비용을 50% 할인하고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5월호와 6월호 이북(e-book)을 무료 증정한다. 포럼 등록마감은 오는 29일이다. 자세한 문의는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 매니저(02-2068-3413, cosinhelp@cosinkorea.com)에게 연락하면 된다.

 



한지원 기자 ekdns5033@cosinkorea.com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