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화장품은 15% 세율로 8월 29일부터 시행된다.
추가로 철강·알루미늄 232조 관세 대상 파생제품 확대에 따라 금속용기 화장품은 8월 18일부터 즉시 관세를 시행한다. 이 경우 8월 18일 이전 선적된 물품에 대한 예외는 없으며, 8월 18일 미국 동부 표준시 0시1분 이후 소비를 위해 반입되거나 창고에서 반출되는 모든 물품에 관세가 부과된다고 미 상무부는 적시했다.
관세 부과방식은 철강·알루미늄 함량 가치에 232조 관세(50%), 함량을 제외한 제품 가치에 상호관세(15%)를 적용한다.
무협은 관련 보고서에서 추가된 품목 중 대 한국 수입 상위 20개 품목 중 화장품류는 12.6억 달러가 해당된다고 추산했다.(‘24년 기준) 일부 화장품 용기의 경우 알루미늄 함량 비중이 높아 관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현재 화장품 용기의 경우 관세부과 대상에 ▲ 알루미늄 튜브(핸드크림, 고농축 에센스 등) ▲ 립스틱, 쿠션 케이스 ▲ 에어로졸 용기 ▲ 펌프형 용기의 금속 스프링, 외부 장식용 금속용 캡 등이 해당될 수 있다고 용기업계는 예상했다.
이와 관련 무역협회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추가 품목 리스트(8.18 시행)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HS 6단위에서 △ 향수와 화장수 △ 두발용 제품류- 샴푸, 헤어래커 △ 면도용 제품류 △ 인체용 탈취제와 땀억제제 △ 피부세척용 유기계면활성제품과 조제품 등이 해당된다. 이들 제품의 철강·알루미늄 함유 용기는 함량 가치에 따라 품목별 관세 50%가 부과된다.
무협 한아름 수석연구원은 “향후 파생제품 추가 절차는 연 3회 정례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에서 확인되었듯 미 업계가 요청할 경우 철강·알루미늄 함량이나 수입 증가 여부와 관계없이 수용될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철강·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대미 수출기업은 철강·알루미늄 함량 확인과 원산지 입증을 비롯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