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5.3℃
  • 맑음강릉 27.0℃
  • 맑음서울 26.5℃
  • 맑음대전 27.9℃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25.0℃
  • 맑음광주 27.1℃
  • 맑음부산 24.9℃
  • 맑음고창 24.0℃
  • 맑음제주 25.3℃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5.8℃
  • 맑음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2℃
  • 맑음경주시 28.1℃
  • 맑음거제 26.6℃
기상청 제공

자료실

2024년 1분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실적 발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06-04 15:30:23
  • 조회수 : 53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4년 1분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6% 증가한 59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 수출액이 22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6% 증가하며 선두를 차지했다. 이어 의약품 수출이 21억 8,000만 달러(+14.4%), 의료기기 수출은 14억 6,000만 달러(-1.3%)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용 제품류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수출이 확대돼 의약품과 화장품 수출은 증가했으나 체외 진단기기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58.8% 차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출 증가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21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3% 증가한 12억 8,000만 달러로 역대 분기 최고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3억 3,000만 달러, +111.9%)과 영국(8,000만 달러, +45,730.6%)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7,000만 달러, +6.1%) 수출은 중국(1,000만 달러, +98.9%)과 미국(2,000만 달러, +17.1%)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브라질(700만 달러, -31.1%)과 태국(500만 달러, -28.1%)에서 감소해 전체적으로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화장용 제품류’와 ‘색조화장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한 22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4% 차지하는 ‘기초화장용 제품류’(17억 1,000만 달러, +19.8%) 수출은 중국(4억 6,000만 달러, -8.7%)과 러시아(6,000만 달러, -21.3%)에서 감소했으나 미국(2억 7,000만 달러, +76.3%)과 일본(1억 4,000만 달러, +25.2%), 베트남(1억 1,000만 달러, +23.5%)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색조화장용 제품류’(3억 1,000만 달러, +28.0%) 수출은 중국(8,000만 달러, +26.0%), 일본(7,000만 달러, +11.9%), 베트남(2,000만 달러, +45.1%)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네티즌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