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5.3℃
  • 맑음강릉 -2.7℃
  • 맑음서울 -4.9℃
  • 맑음대전 -3.5℃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0.2℃
  • 맑음광주 -2.4℃
  • 구름많음부산 1.6℃
  • 구름많음고창 -5.5℃
  • 제주 2.8℃
  • 맑음강화 -5.9℃
  • 맑음보은 -4.3℃
  • 구름많음금산 -3.8℃
  • 구름많음강진군 -0.8℃
  • 맑음경주시 -0.7℃
  • 구름조금거제 1.4℃
기상청 제공

자료실

2025년 화장품 등 국내 주요 산업 전망 - 삼정KPMG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12-16 15:25:50
  • 조회수 : 167

2025년 화장품 시장이 인디 브랜드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온라인과 H&B 스토어 중심의 유통 구조는 인디 브랜드 성장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 선호도가 높아지며 OEM ODM 화장품 업체의 수혜가 전망된다. 삼정KPMG는 12월 16일 국내 경제와 24개 주요 산업 관측을 담은 ‘2025년 국내 주요 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산업별 기업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글로벌 경제는 저성장 국면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 영향도가 높은 국내 주요 산업도 위축될 것으로 예측되나 반도체, 스마트폰, 조선, 건설, 항공, 제약바이오, 화장품 등 일부 업종은 수요 개선과 수익성 제고가 기대된다.


화장품 산업은 올해 소매판매액은 3분기 누계 기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내년에는 방한 관광객의 증가로 판매 실적 회복세가 예상된다. 특히 온라인과 H&B스토어 중심의 화장품 유통 환경이 굳건히 자리 잡으면서 인디 브랜드 화장품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인디 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국내외적으로 확대되며 OEM ODM 업체의 성장세도 견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K-뷰티 확대와 성공적인 수출국 다변화에 힘입어 수출 중심의 시장 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정KPMG는 내년 화장품 산업의 대응전략으로 인디 브랜드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선제적 M&A와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인디 브랜드를 육성, 발굴해 K-뷰티 트렌드 선도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또 OEM ODM 화장품 업체는 해외 생산 역량을 확충하고 화장품 제조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올해 국내 화장품 수출은 지난 3분기 누계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8.1% 확대됐으며 대미 수출 급증으로 역대 최대 실적으로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 수출 시장 내에서 한국 점유율은 2023년 기준 5.5%로 싱가포르를 제치고 4위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내년에는 북미, 일본, 유럽 등 중국 외 국가로의 해외 진출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네티즌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