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7.5℃
  • 맑음강릉 -3.8℃
  • 맑음서울 -6.0℃
  • 맑음대전 -4.6℃
  • 맑음대구 -2.8℃
  • 맑음울산 -1.5℃
  • 맑음광주 -3.8℃
  • 맑음부산 0.4℃
  • 맑음고창 -6.6℃
  • 제주 3.3℃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5.7℃
  • 맑음금산 -5.1℃
  • 구름많음강진군 -2.1℃
  • 맑음경주시 -2.5℃
  • 구름조금거제 0.9℃
기상청 제공

자료실

2025년 화장품 등 수출전망과 지역별 시장 여건 - 코트라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12-27 15:31:54
  • 조회수 : 137

2025년 국내 화장품 시장 수출은 북미, 유럽,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지속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코트라(KOTRA)는 해외 시장별 수출 여건과 기회 요인을 점검한 ‘2025 수출전망 및 지역별 시장여건’ 보고서를 12월 27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도 수출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올해보다 2.6% 늘어 7,003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트라는 내년을 글로벌 경제질서가 재편되면서 수출 경쟁이 심화하는 중에도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아야 하는 중요한 시기로 평가하면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산업과 선박, 바이오헬스, 전력 인프라, K-소비재 등 유망 품목이 우리 수출의 주요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한류 문화콘텐츠 소비가 한국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 수출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북미는 화장품 수출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K-화장품 수출 주역인 인디 브랜드 인기와 현지 ODM 생산공장 증설 등으로 수출 증가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내 화장품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한국 화장품 수출이 38.6% 증가하는 등 현지 한국 화장품 판매 확대에 따라 수출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국은 경기부양책 이후 소비심리 회복 기대와 젊은층의 애국 소비 경향에도 고품질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소비는 지속적으로 유지해 전년과 비슷한 보합을 예상했다. 유럽은 소폭 증가가 예상된다. K-뷰티 트렌드 인기와 한류 영향력 확대에 따라 K-뷰티 소비층이 전 세대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K-뷰티 트렌드는 지속가능성, 천연화장품 등을 중심으로 확장되면서 유럽내 입지 강화, 한국 뷰티 제품의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일본은 소폭 증가가 전망된다. 중저가 한국산 화장품 브랜드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2023년 기준 일본의 한국 화장품 수입 금액은 약 960억엔으로 전년 대비 123.8% 증가해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저가 브랜드 인기 상승으로 2024년 상반기 일본 화장품 수입 중 한국산 점유율 40% 돌파했다. 다만, 중저가와 한류 외에 신규 시장 개척 가능성이 높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네티즌 의견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