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3.3℃
  • 구름많음강릉 6.4℃
  • 맑음서울 4.9℃
  • 구름많음대전 3.1℃
  • 흐림대구 4.1℃
  • 흐림울산 6.7℃
  • 흐림광주 4.3℃
  • 흐림부산 6.3℃
  • 흐림고창 1.9℃
  • 흐림제주 7.8℃
  • 맑음강화 0.6℃
  • 흐림보은 0.1℃
  • 흐림금산 1.2℃
  • 흐림강진군 2.9℃
  • 흐림경주시 3.0℃
  • 흐림거제 5.1℃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H&A파마캠, 미래 화장품 소재개발 심포지엄 개최

바이오앤캡슐레이션 적용 신소재 원천기술 집중 조명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정부재 기자] 미래 화장품 소재 연구개발 내용을 공유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보건복지부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NCR) 연구과제 수행기관인 H&A파마캠은 6월 29일 경기도 부천 가톨릭대학교 약학관에서 ‘2016 NCR 산자부 소재원천 미니 심포지엄’을 화장품 연구개발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미래 화장품의 바이오앤캡슐레이션(Bioencapsulation) 적용을 위한 신소재 및 신기술’을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은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산업통상자원부, H&A파마캠, 가톨릭대학교 화학과 생명공학과 등 미래 화장품 소재개발 정부 연구과제 수행기관 관계자들이 지난 2년 동안 진행한 연구내용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홍근 H&A파마캠 연구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2년 동안 보건복지부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원천 기술개발 관련 연구 수행기관으로 진행한 연구과제를 발표하는 자리”라며 “심포지엄에서 공개된 최신 연구결과는 앞으로 2~3년안에 상품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 주요 발표 내용과 연자는 △광응답제의 이용현황과 여드름 치료의 적용(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나건 교수) △미세유체공정 및 전기분무공정을 이용한 기능성 나노, 마이크로 입자 제조 및 화장품 분야 응용(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최성욱 교수) △바이오앤캡슐레이션 적응을 위한 금속-유기 골격체 소재(인천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창연 교수)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기능성 나노 흡착 소재(가톨릭대학교 화학과 이종현 교수) 등이다.
 
지홍근 연구소장에 따르면 나건 교수 연구내용은 PDT(Photo dynamic theory) 기술을 적용해 광여드름 치료 관련 내용으로 지식경제부 연구과제로 연구가 진행됐다. 또 최성욱 교수의 기능성 나노 마이크로 입자제조 연구는 설화수 적용 과제로 연구가 진행된 경우다.

이종현 교수의 기능성 나노 흡착소재 연구는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연구과제로 LDHC(Layer Doble Hydroxide) 응용기술이 적용돼 상품화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