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7 (월)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3.3℃
  • 맑음서울 -1.0℃
  • 맑음대전 -0.8℃
  • 맑음대구 2.5℃
  • 맑음울산 4.1℃
  • 맑음광주 1.5℃
  • 연무부산 4.5℃
  • 맑음고창 0.1℃
  • 구름많음제주 6.0℃
  • 맑음강화 -0.6℃
  • 맑음보은 -0.8℃
  • 맑음금산 -0.6℃
  • 맑음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3.4℃
  • 맑음거제 4.2℃
기상청 제공

이슈&이슈

유기농 화장품 활성화 필수조건은 ‘인증기관 설립’

이남호 교수, 현행 가이드라인 개선해야 시장 성장 가능


“유기농 화장품의 질적 성장은 국내 화장품 시장 성장의 새로운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다. 현재 제기되고 잇는 유기농 화장품 시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에서 유기농 인증기관이 설립돼야 한다.”



제주대학교 이남호 교수(제주대화장품과학센터장)은 10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후생관 1층 대강당에서 업계, 학계, 관계 관계자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2013 국제 유기농 화장품 컨퍼런스’에서 국내 유기농 화장품 인증기관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교수는 이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선진국의 유기농 화장품 시장 현황에 대해 설명한 뒤 국내 유기농 화장품 현안에 대해 조목조목 짚었다.

 

그는 먼저 유기농 화장품 원료의 문제점부터 지적했다. 이 교수는 “국내 유기농 원료가 생산성이 낮아 가격 경쟁력이 없고 원재료 가공시설 부족해 유통에 어려움이 많다”며 이런 원료의 문제점은 결국 유기농 화장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고 분석했다.

 

이어 △천연 화장품에 대한 정의가 없어 유기농 화장품과 구별이 어려워 소비자의 혼란을 가중시키는 점 △업계 자율규약 수준의 유기농 화장품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에 따른 관리감독 미흡 △유기농 화장품 모든 제조과정에 대한 인증체계가 없어 발생하는 문제점 등 현재 유기농 화장품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에 의거 운용되고 있는 국내 유기농 화장품 산업의 법적, 제도적 미비점을 세세하게 지적했다.

 


▲ 이남호 제주대학교 교수(제주대화장품과학센터 센터장).

이 교수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에서 유기농 인증기관이 설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증기관을 통한 사전인증 제도가 시행되면 국내 유기농 화장품의 품질이 높아지고 이는 곧 소비자 신뢰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져 유기농 화장품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인증기관이 설립 지정되면 기업은 제품 인증에 대한 비용과 시간 등을 단축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소비자는 공인된 기관의 인증에 따른 믿을 수 있는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져 국내 유기농 화장품 시장이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가공품을 포함한 유기농산물과 유기농 화장품 관리를 일원화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이 교수는 현재 미국, EU, 일본, 호주 등은 농산물(가공물)과 화장품을 한 정부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농산물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유기농 화장품은 식약처에서 관리하고 있어 혼선을 빚고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통합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관리부처를 일원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