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화장품 비즈니스가 웰루킹(Well looking)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유기농 화장품은 웰빙(Well be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유기농 화장품 인증 제도 도입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입니다.”
지난 10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후생관 1층 대강당에서 업계, 학계, 관계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3 국제 유기농 화장품 컨퍼런스’에서 장동일 콧데 대표이사는 국내 유기농 화장품의 특성과 성공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장 대표는 이날 발표에서 유기농 화장품이 지닌 가치에 대해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내 유기농 화장품 시장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많은 것들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소비자들의 신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유기농 화장품 인증 제도 도입이 무엇보다 시급한 점"이라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유기농 화장품은 생태, 사회 경제학적으로 웰빙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생태학적 차원에서는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원료의 사용을 통해 에너지 사용의 최소화, 화학비료 사용금지, 생분해되는 친환경 원료와 공정 등으로 지구와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 적은 규모의 지역 산업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지역 기반의 경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어 사회 경제학적으로도 이득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기농 화장품이 가진 한계도 적지 않다. 단순히 좋은 원료만이 아닌 기능적으로도 좋은 유기농 화장품을 개발하는 일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 장동일 콧데 대표이사. |
그는 유기농(Organ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을 결합한 ‘오가노슈티컬
(Organoceutical)’이란 신조어를 사용하며 기능적으로도 좋은 유기농 화장품 개발을 강조했다. 유기농의 과학화를 통해 혁신을 추구한 예로는 콧데의 유기농 화장품 전문 브랜드 ‘오썸’을 소개했다.
국내 유기농 화장품 관련 이슈들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현재 유기농 화장품은 생협, 드럭스토어, 마트 등으로 유통채널이 확대되고 있으며 화장품 원료업체에서 유기농 원료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시장은 성장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선 유기농 화장품의 인증제도 도입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고객이 제조사의 ‘Organic’이란 표현을 믿을까요? 고객과의 가장 좋은 커뮤니케이션은 ‘인증 로고’입니다.” 장 대표는 브랜드별로 유기농을 강조하는 현실에서 공신력 있는 유기농 화장품 인증 제도의 도입과 인증 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유기농 원료의 90%를 수출하는 아시아 시장의 현실을 지적하며 유기농 산업 발전의 촉진을 위해 국내 유기농 인증 농산물의 국제적 인정 필요성과 유기농산물 재배 품종의 다양화 등을 강조했다. 그밖에 유기농 화장품의 가이드라인은 있으나 천연 화장품의 가이드 라인은 없는 한국의 현실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