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저씨’ ‘아줌마’는 싫다.
경기불황에도 안티에이징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빠듯한 살림에도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려는 추세에 따라 노무(NoMU; No More Uncle)족, 노마(NoMA; No More Aunt)족이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보조제와 뷰티케어 제품에 대한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급증 추세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소비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티에이징 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81.8%가 최근 3년간 소비지출여력이 ‘빡빡했다’고 응답하면서도 안티에이징 지출은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61.2%는 비타민, 홍삼제나 영양제 등 건강보조제를 복용 중이었으며 58.6%는 블루베리, 견과류 등 건강식품류를 섭취하고 있었다.
안티에이징 재화 활용도

▲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
최근 인기몰이 중인 식초음료, 다이어트음료나 피부보습제를 섭취하는 소비자는 13.8%였으며 여성 5명 중 1명꼴(20.9%)로 활용하고 있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젊음유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 50대 이상 소비자의 80%가량이 건강식품류나 건강보조제를 섭취 중이었다(50대 이상 건강식품류 섭취 80.6%, 영양제류 복용비중 79.8%, 복수응답)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한 뷰티케어 제품 활용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4.2%가 미백이나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 중이었으며 46.6%는 염색이나 탈모방지 등의 헤어케어 제품을, 25.8%는 피부관리기, 바디슬리밍 등 뷰티가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피부과‧성형외과 시술을 받은 경우도 16.4%에 달했고 12.4%는 치아미백이나 교정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복수응답)
남성 헤어케어>기능성 화장품, 여성 기능성 화장품>헤어케어
남성은 헤어케어 제품 활용도가 36.8%로 기능성 화장품(24.4%), 뷰티가전(16.9%), 치아미백(7.9%), 피부과‧성형외과 시술(3.7%) 등을 압도했다. 반면 여성은 5명중 4명 이상(82.2%)이 기능성 화장품을 활용하고 있었고 헤어케어는 55.8%, 뷰티가전은 34.1% 등이었다. 피부과‧성형외과 시술을 받았다는 여성은 28.3%, 치아미백은 16.8%에 달했다(복수응답)
안티에이징 활동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의 43.2%는 피트니스센터에 가입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37.4%는 실내용 자전거 등 헬스기구를 구매해 활용 중이었다. 이어 스파리조트 등 휴양관광(25.6%), 피부관리나 요가(23.0%) 순으로 응답했다.
연령별로 20대는 피트니스 회원활동이 52.5%가 가장 많았으며 50대는 실내 헬스기구 구입‧활용비중이 45.2%로 가장 컸다. 또 ‘옷을 구매할 때 품질보다는 날씬하게 보이는 제품을 구입한다’고 답한 소비자들이 67.9%에 이르렀고 여성의 응답비중은 81.0%에 이르렀다(복수응답)
피트니스·피부클리닉 연 71만원, 비타민 등 36만원, 성형·치아 61만원
실제로 조사에 응한 한 20대 여성 직장인 이모 씨는 눈밑, 광대, 팔자부분의 주름개선을 위해 아이크림, 태반크림, 콜라겐부스터와 하이라이터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 씨는 또 피부관리 주1회, 요가와 필라테스도 주2회 하고 있다. 1년에 3000만원 가량을 가처분소득으로 벌어 들이는 이 씨는 현재 안티에이징 비용에만 800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다.
안티에이징 활동이나 제품을 구입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연간 지출을 물은 결과 피트니스, 피부클리닉 또는 요가활동에 연평균 70만9천원, 화장품 지출도 평균 38만4천원 정도로 조사됐다. 연간 비타민, 홍삼제나 영양제류 지출에 들어가는 돈은 35만9천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피부과나 성형시술, 치아미백과 교정 등 미용목적의 의료비 지출하는 소비자들은 연간 61만2천원 가량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20대는 76만1천원을 지출해 30대(53만7천원), 40대(42만원), 50대 이상(57만2천원)을 압도했다.
안티에이징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젊음에 대한 관심’과 ‘외모가 곧 능력’이라는 생각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의 86.9%는 ‘과거보다 젊음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나’라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했다.
‘외모가 곧 능력이자 자기관리의 척도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63.9%가 ‘그렇다’고 답했다. 심지어 ‘살림은 어려워도 젊게 사는 삶을 누리는데 돈을 아끼지 않겠다’는 소비자도 전체의 29.0%에 이르렀다.
안티에이징 제품 서비스 지출 규모

▲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
앞으로 안티에이징 제품과 서비스 활용을 전반적으로 늘릴 계획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소비자의 99.2%가 ‘늘리거나 현 수준 유지’라고 답했다. ‘늘린다’는 이는 40.8%, ‘현재 수준 유지’는 58.4%였다.
향후 소비지출을 늘릴 품목을 묻는 질문에 소비자의 55.2%가 ‘건강보조제, 건강식품의 섭취’를 꼽았고 다음으로 ‘미백, 주름개선 등 기능성 화장품 활용’(39.4%), 건강유지 목적의 피트니스, 피부클리닉 등의 방문(36.2%), 미용목적의 피부과, 성형외과, 치과 등의 방문(12.2%) 순이었다.<복수응답>
‘아저씨티 벗자’ 노무족 급성장··· ‘BB 바르는 꽃남’ 24%
‘아저씨티’를 벗으려는 노무족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이른바 ‘생얼화장품’ BB크림을 사용한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렇다는 남성이 23.7%에 달했다. 지난 3년간 건강보조제, 건강식품류 섭취를 늘린 남성은 31.4%에 이르렀고(비슷 67.8%, 줄여 0.8%) 피트니스나 피부클리닉의 방문이 잦아졌다는 남성도 15.7%였다(비슷 79.8%, 줄여 4.5%) 기능성 화장품 사용을 늘린 남자도 11.6%에 이르렀다.(비슷 86.8%, 줄여 1.6%)
안티에이징 관련 사업에 대한 전망도 매우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안티에이징 사업이 앞으로 유망하겠는가’라는 물음에 86.4% ‘그렇다’고 응답했다. 어어 매우 그렇다 19.4%, 그렇다 67.0%, 그저 그렇다 13.0%, 그렇지 않다 0.6% 순으로 답했다.
안티에이징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의 애로요인으로는 ‘높은 가격’(60.4%), ‘불확실한 제품 효과’(59.2%), ‘재료나 원료에 대한 불신’(44.8%), ‘외모관리를 사치로 보는 사회 분위기’(10.6%) 등을 꼽았다(복수응답)
대한상의 박종갑 상무는 “12조원 규모의 안티에이징 시장이 매년 10%씩 급성장한 데는 수명연장과 저출산 고령화, 시니어 세대의 부상, 여성의 사회진출과 외모 중시 경향 확대 등 사회적 요인이 큰 몫”이라며 “불황에 뷰티 관련 제품이 더 잘 팔리는 ‘립스틱 효과’와 더불어 BB크림이나 뷰티가전 같은 창조적 융합 아이디어가 샘솟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