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6 (일)

  • 맑음동두천 1.2℃
  • 구름많음강릉 8.6℃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4.3℃
  • 맑음대구 7.9℃
  • 맑음울산 9.1℃
  • 맑음광주 4.3℃
  • 맑음부산 8.8℃
  • 흐림고창 3.7℃
  • 맑음제주 9.3℃
  • 맑음강화 1.0℃
  • 맑음보은 4.2℃
  • 맑음금산 4.0℃
  • 맑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4.1℃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이슈&이슈

기업호감도 2011년 하반기부터 연속 하락세

대한상의-현대경제연구원, 3반기 동안 지속 하락 '보통' 수준 밑돌아

기업에 대한 국민의 호감도가 지속적으로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남양유업 사태로 촉발된 ‘갑의 횡포’ 파장이 화장품 업계로 번질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결과여서 더욱 주목된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2013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CFI: Corporate Favorite Index)’를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48.6점에 그쳐 2011년 하반기(51.2) 이후 3반기 연속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기업호감지수’란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경제 기여 △윤리경영 △생산성 △국제 경쟁력 △사회공헌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하여 산정한다. 100점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점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한다.


연도별 기업호감지수 변화 추이



▲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지난해 하반기 대비 각 요소별 점수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 호감도’(48.1점→46.7점) 점수가 낮아진 가운데 ‘국제경쟁력’(79.6점→74.8점), ‘생산성·기술향상’(63.4점→61.7점) 등 기업 경쟁력과 관련된 부문의 점수가 크게 하락했다. 

‘윤리경영실천’(22.9점→23.7점) 점수는 소폭 상승했고 ‘국가경제기여’(51.0점→51.2점)와 ‘사회공헌활동’(40.8점→40.9점) 점수는 지난 조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대한상의는 “세계 경기의 침체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등 기업을 둘러싼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이번 기업 호감도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국가경제에 기여‘(42.2%)를 꼽았고, 이어 ‘국가 브랜드 향상’(30.5%), ‘일자리 창출’(22.7%),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4.5%) 등을 차례로 답했다(‘기타’ 0.1%)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은 이유로 국민들은 ‘윤리적 경영자세 부족’(50.9%)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이어 ‘사회적 공헌 등 사회적 책임 소홀’(22.5%), ‘기업간의 상생협력 부족’(18.3%), ‘고용창출 노력 부족’(7.8%)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한편 국내 반기업정서가 높은 편인지를 묻는 질문에 절반이 넘은 응답자들이 ‘그렇다’(66.5%)고 답했지만 경제에 가장 공헌을 하는 주체가 기업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국민 4명중 3명(74.7%)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기업호감지수 요소별 점수



▲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해서는 ‘예년보다 높아졌다’(36.4%)는 응답이 ‘낮아졌다’(21.7%)는 응답을 앞질렀다('비슷하다’ 41.9%)

기업가정신을 고취시키는 방법으로 ‘노사안정’(41.1%), ‘정책 불확실성 제거’(20.4%), '창업지원 강화‘(15.9%), ’규제 완화‘(13.9%), ‘반기업 정서 해소’(8.7%)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에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일자리 창출’(43.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근로자 복지 향상’(21.6%), ‘사회 공헌 등 사회적 책임 이행’(16.9%), ‘국가 경쟁력 강화’(12.6%), ‘이윤 창출을 통한 국부 증진’(5.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지난 몇 년간 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최근 윤리경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들이 기업의 경쟁력 저하 현상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