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일본 통신원 이상호] 일본 폴라오비스(POLA ORBIS)그룹의 민감성 피부 전문 브랜드 '디센시아(DECENCIA)'가 지난 4월 20일 중국 최대 국제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티몰 글로벌(티엔마오, 天猫国際)에 단독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했다. 폴라오비스그룹은 디센시아(https://decencia.tmall.hk/)의 티몰 글로벌 단독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을계기로 중국 전자상거래 사업을 본격적으로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디센시아는 폴라오비스그룹의 사내벤처 1호로 2007년 설립된 민감성 피부 전문 브랜드이다. 도시지역에서 일하는 30~40대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주로 통신판매를 통해 판매하고있다. 2019년 9월에는 일본 도쿄의 이세탄 신주쿠점에 유일하게 오프라인 매장을 출점하는 등 공격적인 마켓팅과 전문적인 민감성 피부 스킨케어로 고객으로부터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디센시아가 티몰 글로벌에 입점한 것은중국 고객들과 바이어로부터 직접적인 문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중국인 소셜 바이어를 초청해 디센시아 제품을 체험하는 이벤트를 실시했으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폴라오비스그룹 브랜드의 신뢰성도 높아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코스인코리아닷컴 일본 통신원 이상호] 일본메나도화장품이 ‘아임계수(亜臨界水)추출법’으로 불리는 특수한 추출법을 이용해 면역력 유지에 중요한 '베타글루칸'을 버섯 등에서 고농도로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얻어진 베타글루칸은 기존의 열수추출법으로 얻은 것보다 저분자임을 확인했다. 이번에 개발한 추출법을 통해 생체에 보다 작용하기 쉽다고 생각되는 저분자의 베타글루칸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되어 미용과 건강 소재에 광범위하게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타글루칸은 버섯이나 효모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이다. 장내의 면역세포에 작용해 면역기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건강유지에 유용한 성분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베타글루칸은 일반적으로 고분자여서 물에 녹지 않고 보통의 열수추출로는 추출하기 어려운 성분이다. 이번에 베타글루칸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영지버섯으로부터 아임계수추출법을 이용해 독자적으로 성분을 추출한 결과, 일반의 열수추출보다 약 5배 분량의 베타글루칸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다. 또 이번 추출법으로 얻은 베타글루칸은 분자량이 열수추출법으로 얻은 것보다작는 등 특징적인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 이같은 특징 때문에 생체에
[코스인코리아닷컴 일본 통신원 이상호] 화장품 EC 플랫폼인 ‘NOIN’을 운영하는 NOIN(주)는 화장품을 찾는 사람에게 소개하고 싶은 제조업체와 브랜드를 매칭되도록 지난 2017년 10월 서비스를 공개한 이후지속적으로 조사, 분석한 ‘온라인에서 화장품 구입에 대한 통계 데이터’의 일부를 발표했다. NOIN은 30만 건의 화장품 온라인 구매 데이터를 근거로 화장품 제조기업과 브랜드를 위한 온라인 판매지원 플랜을 지난 4월 2일부터 제공하기 시작했다. NOIN은 재현성이 높은 화장품의 온라인 마케팅을 연구하기 위해 서비스를 공개할 때부터 ‘온라인 화장품 구매에 관한 데이터’ 조사와 분석을 진행해 왔다. 2019년 7월 발표한 도쿄대학 대학원 정보학과 타나카 연구실과의 공동연구도 그 일환이다. 2년 이상 수집한 NOIN의 구매 데이터는 약 30만 건에 달하며시장의 발전을 위해 축적된 데이터와 종료된 설문조사 결과의 일부를 공개한다. # 화장품 온라인서 구매비율 약 6%, '코로나19' 영향 온라인 구매수요, 마케팅 빠르게 확산 화장품의 온라인 구매비율은 약 6%이며 다른 소모품과 비교해도 온라인화는 아직 미숙한 시장이다. 한편, ‘원하는 화장품을 좀처럼
[코스인코리아닷컴 일본 통신원 이상호]일본 마케팅리서치 전문회사인 TPC마케팅리서치(http://www.tpc-cop.co.jp/)는지난 3월 9일'2020년 화장품 기업 R&D 전략 조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일본 드림뉴스(Dream News)에 따르면, 2020년 화장품 기업 R&D 전략 조사결과 보고서 - 향후 연구개발의 키워드는 ‘클린&그린 뷰티’에 따르면, 2018년 일본 화장품 시장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2조 4,556억 엔(한화 24조 5,560억 원)을 기록했다.화장품 시장은 안심과 안전을 지향하며 소비자들의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즉,주요 회사는 연구개발 단계에서 환경보호에 노력할 필요가 있고 ‘클린 & 그린 뷰티’가 향후 연구개발의 키워드다. 이 보고서는 주요 화장품 기업의 R&D 전략을 조직체제, R&D 비용과 인력, 주력 테마, 특허, 산학관과의 제휴상황 등으로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일본화장품 시장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2조 4,556억 엔(한화24조 5,560억 원)을 기록했다. 최근일본 화장품 시장은 외국인 관광객에 의한
[코스인코리아닷컴 일본 통신원 이상호] 일본 화장품 원료 제조업체인 비타민C60바이오리서치(주)가 올해 4월 1일부터 발매를 시작한 100% 식물 유래의 풀러렌 화장품 원료인 ‘리포풀러렌®N’이 유럽의 화장품 원료 콘테스트인 ‘202 BSB Innovation Prize Awards’의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피알타임스(PR)에 따르면, 2020 BSB Innovation Award는 독일 함부르크에 본사가 있는 화장품 컨설팅회사인 BSB사가 독자적인 기준으로 선별한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에 부여하는 상이다. 2003년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화장품 업계에서는 역사가 있는 상이다. 100% 식물 유래의 ‘리포풀러렌®N’은 지금까지 항노화용 화장품 원료로서 높은 평가를 얻었던 ‘리포풀러렌’을 리뉴얼한 제품으로 비타민C60바이오리서치가 약 5년에 걸쳐 개발에 성공한 식물 유래의 풀러렌을 올리브 스쿠알란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킨 100% 식물 유래의 화장품 원료다. 식물 유래의 풀러렌은 그 출발원료로 FSC 인증(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하고 있는 숲에 주어지는 캐나다의 인증제도)을 취득하고 있는 일본 국내의 숲에서 얻은 일본산의 삼나무를 사용하며 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발모, 육모, 양모’에 대한 2018년 일본특허출원을 선정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주요 국가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일본 (2018. 1. 1~2018. 12. 31) 18-4. 육모용 조성물 (特開 2018-199656, 株式会社 ファンケル, 2018. 12. 20) 이 발명은 n-(2-(2,3,4',5'-tetramethoxychalcon-2-yl)-ethoxyl)-acetamid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새로운 모유두세포의 외모근초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과 육모용 조성물, 그리고 모유두세포 스페로이드 형성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꿀풀과 골무꽃속 골무꽃(Scutellaria indica L.)의 추출물이다. 또 상기 유효성분은 모유두세포 배양에서 모유두세포로 이루어진 스페로이드 형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세포이식에 의해 모근을 재생하는 경우, 세포배양의 배양액에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세포이식 또는 시험연구를 위해 모유두세포 스페로이드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림1 외모근초세포에 대한 n-(2-(2,3,4',5'-tetra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주름개선, 처짐방지’에 대한 2015년~2018년 미국, 유럽, 세계특허출원을 선정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주요 국가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 미국, 유럽, 세계특허 (2015. 1 .1~2018. 12. 31) 18-1. 실크계 보습제 조성물과 그 방법 (US-A-180280274, Silk Therapeutics Inc.(미국), 2018. 10. 4) 이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001%~90%(v/v)의 실질적으로 세리신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실크 피브로인계 단백질 단편과 약 0.1%~99%(v/v)의 오일과 약 99%~0.1%(v/v)의 물을 포함하고 조성물의 pH가 4~9의 범위에 있다. 또한 조성물은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고 실크 피브로인계 단백질 단편의 평균 중량 평균분자량은 약 5kDa~80kDa의 범위에 있으며 약 1.5~3.0의 다분산성을 가진다. 그림84 본 발명의 PureProC 필름과 경쟁 제품에 있어 1일 용량 중의 비타민 C의 양 이것으로 제조된 실크 단백질 단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크 보습제는 피부의 잔주름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주름개선, 처짐방지’에 대한 2018년 한국 특허출원을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주요 국가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 한국 특허 (2018. 1 .1~2018. 12. 31) 18-3.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발효 로즈힙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18-0124447, (주)벤스랩 외, 2018. 11. 21) 이 발명은 발효를 통해 알파와 감마 리놀렌산 등과 같은 유리 필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증대시키고 결합조직 중에 존재하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과 같이 피부의 탄력 유지와 주름 방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아제의 저해 활성을 높여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발효 로즈힙(rosa canina)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로즈힙 오일은 로즈힙 오일을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버크올데리아 멀티보란(Burkholderia multivoran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ce), 칸디다 루고사(Candi
[코스인코리아닷컴 편집위원 이상호]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주름개선, 처짐방지’에 대한 2015년~2018년 일본특허출원을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주요 국가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일본 특허 (2015. 1. 1~2018. 12. 31) 18-1. 콜라겐 분해억제제와 화장료 (特許 6408069, オッペン化粧品株式会社, 2018. 10. 17) 이 발명은 진피 유래의 플라스민에 저해작용을 나타내어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해 주름이나 처짐을 억제하기 위한 콜라겐 분해억제제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진피에서 진피 섬유아세포가 MMP-1의 활성화 효소를 발현하고 MMP-1 활성화 효소가 플라스민이라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피 유래의 플라스민을 저해하는 것이 콜라겐 분해의 억제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표1 트라넥사믹애씨드 첨가에 따른 젤 직경의 변화 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지혈제나 미백제 등의 효능만이 확인된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가 진피 유래 플라스민에 저해작용을 나타내고 콜라겐 분해를 억제해 주름이나 처짐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