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개발한 산화세륨 입자의 활성산소종 소거기능 평가 화장품에서 요구되는 기능의 하나로서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 방어와 보호’를 들 수 있다. 태양광은 크게 나눠 적외선 영역, 가시광선 영역, 자외선 영역이라는 파장영역이 다른 빛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장이 짧을 수록 에너지가 커진다. 따라서 태양광에서도 단(短)파장 자외선에서 유래된 에너지에서 ‘직접적’으로 피부를 방어ㆍ보호하기 위해 화장품 분야에서는 자외선산란제나 자외선흡수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림1 산화세륨 입자의 첨가에 따른 각종 발생법에서 생긴 ROS의 소거 A) ·OH 소거기능 평가 B) O2·- 소거기능 평가 C) 1O2 소거기능 평가 A-C) error-bar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N≥2 . 우리는 산화티탄과 산화아연에 이어서 무기(無機) 자외선산란제로서 산화세륨(cerium)에 착안하고 독자적인 입자설계 기술을 사용해 개발한 수(水) 분산이 가능한 산화세륨 입자에 대해서 보고했다1). 세륨은 희토류 원소(rare earth)로 분류되는 원자번호 58의 금속이다. 그 산화물인 산화세륨은 비교적 안전하면서 폭넓은 자외선 파장에 대응하고 있으며 높은 수 분산성을 갖고 있어 비유계(非油系)
그 시대의 핵심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인 연구방법들은 2000년대 초반 소득 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화장품 시장의 성장을 기인해 왔지만 이제 그 방법은 변화하고 있다. 기업의 성장과 화장품 브랜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마케팅 담당자는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 과거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했던 세대는 X, Y 세대였다. X, Y세대는 산업화의 결실로 어린 시절을 풍요롭게 보냈다. 해외여행 자유화(1991년) 등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며 기존의 가치나 관습보다는 개성을 중시해 기존 세대와는 다른 소비 행태를 보이며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을 원했다. 그래서 마케팅 담당자들은 이들이 어떤 제품을 선호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어떤 점을 차별적으로 인식하는지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이들 X, Y세대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하고 많은 소비자 조사가 진행됐다. 대표적으로 대면 면접 방식의 구조화된 질문 항목을 직접 질문해 통계 처리된 데이터와 고객들을 6~8명 모집했다. 이후 사회자의 질문에 의견들을 직접 표현하고 서로 토론하는 FGD 등에 의해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소비자의 니즈를 파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9년 4월호는 '화장품 신소재와 원료의 새로운 연구 결과 (1)' 를 주제로▲신규로 개발한 산화세륨 입자의 활성산소종 소거기능 평가▲모발의 일상 손상 케어를 목적으로 한 캐시미어유래 가수분해 케라틴의 개발▲Black Cumin 추출물의 체취성분 경감작용▲야마가타현산 나메코(nameko)를 이용한 신규 화장품원료 개발▲홍조류 추출물에 의한 SMS 제어와 안티에이징▲과학과 자연 중에 가장 뛰어난 바이오베이스의 펜틸렌글라이콜▲민감피부를 위한 자외선방어 원료▲식물스테롤 발효물 피하지방 감소 효과 - 부분적 슬리밍 소재의 개발은 가능한가▲비대칭 분자량 분포를 갖는 초고분자량 PPG(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유도체의 개발과 화장품에의 응용▲피부세균총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유효성분▲헤어케어 제품을 위한 신소재의 가능성을 살피다▲양친매성 에스터 유성성분에 의한 표피, 모발에서의 유효성분의 침투촉진 및 효과향상과 그 메커니즘▲헤어컬러의 색 유지를 개선시키는 징크글라이시네이트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특집]화장품 신소재와 원료의 새로운 연구 결과 (1) 1.신규로 개발한 산화세륨 입자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유일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저널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4월호가 발간됐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전문 매체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9년 4월호는 '화장품 신소재와 원료의 새로운 연구 결과 (1)'을 주제로 ▲신규로 개발한 산화세륨 입자의 활성산소종 소거기능 평가 ▲Black Cumin 추출물의 체취성분 경감작용 ▲헤어케어 제품을 위한 신소재의 가능성을 살피다 ▲양친매성 에스터 유성성분에 의한 표피, 모발에서의 유효성분의 침투촉진 및 효과향상과 그 메커니즘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원료 최신 연구 동향 섹션에는 모아캠의 'CENTASOL : Snowbrix-TINC™ Technology를 이용한 피부 진정 소재'를 게재했다. 테마기획은 최근 국가적 재난수준으로까지 문제가 심각해진 미세먼지에 대한 화장품 업계의 연구 동향 등을 집중 분석했다. 핫인터뷰 섹션에서는 천연 재료를 활용한 식물성 화장품을 꾸준히 연구개발하고 있는 내츄럴코리아 박홍순 대표와 만나 중점사업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이야기
[생키엠상스(Cinquieme sens) 김병현 한국대표]천연과 합성향료로 구성된 향료의 안전성은 국제향료협회(International Fragrance Association, IFRA)에서 자율규제를 한다. 이는 안전성에 대한 보장 없이는 향 산업 성장의 한계 때문에 향료 생산과 유통을 하는 업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요구하는 안전성을 능가하는 자율규제와 연구를 통해규제 당국과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자 함이다. 규제의 중심에는 항상 인체의 안전성과 환경유해물질, 생분해가 어려워 자연에 축적되는 등 여러 이슈 물질을 포함한다. IFRA에서는 회원사의 재정지원으로 산하기관에 협회와 회원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RIFM(Research Institute for Fragrance Materials), 즉 향료물질의 연구기관이 있으며 알레르기에 대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사전 예방조치를 취해 왔고 안전성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유감스럽게도 아직 한국은 IFRA 회원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미국이나 유럽에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IFRA 가이드라인(Guideline) 외에 그곳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2016년 미국과 유럽 특허출원을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미국 특허출원 정보(2016. 1. 1~2016. 12. 31) 16-3. UV 필터의 상승적 조합을 가지는 자외선차단 조성물 (US-A1-160374910, L’OREAL(프랑스), 2016. 12. 29) 표2 UV 필터 이 발명은 아래 표2에 기재된 UV 필터의 조합을 포함하는 선 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선스크린 조성물에 있어서 각 필터의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에 대한 비율은 다음과 같다.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에 대해 ethylhexyl triazone의 비율은 0.67:1.0~1.14:1.0, drometrizole trisiloxane의 비율은 0:1.0~0.57:1.0, homosalate 의 비율은 0.11:1.0~0.57:1.0, ethylhexyl salicylate 의 비율은 0.76:1.0~1.29:1.0, octocrylene의 비율은 0.89:1.0~1.71:1.0, tere
1990년 이래로 사람들은 Fucose(후코스 : 디옥시당의 일종인 6-디옥시갈락토오스)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일본인의 독특한 식사요법 중 하나는 해조류 섭취가 있다. 해조의 주성분은 Fucose이며 그것은 몸이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당의 하나인 것을 알아냈다. 또 Fucose에 관한 연구를 통해 면역조절제와 항염증제로서의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1 Biosaccharide Gum-1의 구조식과 원료규격 한국의 Kolon Life Science사에서는 발효제법으로 Biosaccharide Gum-1을 제조해 효율적으로 Fucose를 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세균 Klebsella pneumoniae의 배양에 의해 높은 농도의 Fucose를 포함한 Biosaccharide Gum-1(그림1)을 제조하고 있으며 그 세균의 배양을 위해 비유전자 조작을 한 콩(대두), 수크로오스와 글리세린을 에너지원과 영양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천연의 갈조류로부터도 Fucose를 얻을 수 있지만 직접 추출에는 비용이 들고 또한 양과 품질에서도 천연제품이기 때문에 계절적 변동의 영향을 받는다. 한편, 발효 프로세스에 의한 Biosaccharid
메이플 시럽의 원목에 포함되는 희귀 천연물, 피부 트러블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유용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 원료이다.MapleCure는 일반명이 Ginnalin B로서 알려진 타닌류의 일종으로 메이플 시럽의 원료가 된다. 설탕 단풍이나 참꽃단풍 등의 단풍나무과 식물에 포함 되는 물질이다. 당사의 오랜 연구로부터 Ginnalin B(MapleCure)의 세라마이드 증가 작용, 필라글리온 증가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특성이 밝혀졌다. 그림1 세라마이드의 증가작용 메커니즘 본래 단풍나무과 식물에는 유색성분과 떫은맛 성분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단풍나무과 식물의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나 식품으로 사용하려면 정제가 필요하며 Ginnalin B(MapleCure)가 제거된다. 당사의 분석에서는 화장품 원료로 판매되고 있는 단풍나무과 식물의 추출액이나 시판되는 식용 메이플 시럽에는 Ginnain B(MapleCure)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 그래서 당사에서는 MapleCure의 유기 합성적 방법에 의한 생산 방법을 개발했다. ㆍ 세라마이드의 합성촉진과 분해억제의 더블효과 (Dual action)에 의해 피부 본래의 세라마이드를 증가시킨다. ㆍ 필라그린을 증
풀러린은 탄소원자 60개로 이루어진 탄소동소체로 뛰어난 항산화성을 가진다. 스킨케어 용도로는 이미 유명하지만 2017년 8월 발매한 헤어샤이니 풀러린은 첫 헤어케어 전용 풀러린 원료로서 호평을 받아 2018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BSB Innovation Prize Awards 2018의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모발의 활성산소 대책에도 풀러린이 정착 되어 왔지만 미네랄오일 프리를 바라는 요구도 많이 있어서 새로운 원료로서 미네랄오일 프리의 Hair Shiny Fullerene®-MO를 제품화했다. 그림1 제품 외관 기존 제품의 헤어샤이니 풀러린은 성분에 미네랄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나 이 원료는 조성의 변경을 통해 미네랄오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기존 제품과 마찬가지로 Bicontinuous로 되어 있어 물에 추가함으로써 미세한 에멀젼이 형성되어 안정적인 풀러린의물 분산이 가능해진다. 이 에멀젼의 입자크기는 수십 나노미터로 작기 때문에 모발에 대한 침투를 기대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기존 제품과 같으며 모발의 보호에 작용하는 항산화성분 풀러린 외에 복구성분으로서 감마-도코사락톤을 배합해 즉효성이 있는 모발의 광택개선 외에
고압유출 플라센타 추출물 보습성 태반은 자하차(紫河車)로서 본초항목에도 수록되어 있는 자양 강장 작용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 이 태반에서 추출된 플라센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저해작용과 세포부활작용이 있는 미용소재로서 화장 품과 의약부외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본지에서도 in vitro 시험으로서 섬유아세포에 대한 효과1)나 in vivo시험으로서 핸드크림에 배합한 효과2)가 소개되고 있다. 또 피부 각화세포에 대해 I형 콜라겐, 케라틴 10, 필라그린의 발현이 촉진되는 것3)도 보고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플라센타 추출물은 외용의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림1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의 유전자 발현 촉진작용 당사에서는 일본 국내의 SPF(Specific-PathogenFree, 특정병원체 부재) 농장에서 채취한 돼지 태반의 수용성 성분을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수심 10,000m의 마리아나 해구의 수압과 같은 100MPa의 고압 처리를 통해 ‘Nichirei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이하,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 또는 고압 PE라고 기재)을 개발했다.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은 기존 정제수 추출법
립 화장품에 부가가치를 줄 수 있는 기능성 유성성분 2000년대 전반에 주류였던 누드(nude) 립스틱에 반항하듯이 최근 미용잡지에서는 모든 립스틱의 트렌드 컬러(trend color)와 새로운 기능을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컬러 베리에이션(variation)의 립스틱이나 잘 지워지지 않는 립스틱, 틴트 립(tint lip) 등의 새로운 기능을 갖는 립(lip) 화장품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립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매년 높아지면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림1 Plandool TM -MAS와 LUSPLAN TM PI-DA, 또는 LUSPLAN TM DD-DA5에 의한 포수성 상승 효과 일반적으로 립 화장품은 액상 유성성분을 기본으로 하고 왁스, 점증제, 안료, 염료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하게 섞이지 않는 고체와 액체를 동일 제제 내에서 안정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각각의 물성, 배합비가 중요하고 그들의 균형이 깨지면 처방과 사용상 여러 가지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매트(matte) 타입의 립스틱처럼 안료가 많은 처방에서는 안료의 분산불량, 발한(發汗), 입술 건조 등
입술화장료의 안전성과 사용감 향상의 양립 입술화장료로 사용되는 원료는 저점도유, 고점도유, 왁스, 안료의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역할로서 저점도유는 안료 분산, 고점도유는 윤기와 밀착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왁스는 오일의 고화에 의한 스틱상 구조 형성의 주역이지만 특유의 무거운 감촉을 가진다. 립스틱을 만들 때 이러한 원료의 종류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이상적인 사용감을 구축해 나가지만 왁스의 무거운 감촉을 줄인 매끄러운 사용감을 실현하려고 하면 스틱 안정성의 저하를 부르는등 안정성과 사용감을 양립하는 것은 립스틱을 만드는데 있어서 큰 과제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고점도유에서 왁스까지 여러 가지 성상을 가지는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에 의한 립스 틱의 안정성과 사용감 향상의 양립에 대해 소개한다. 표1 각종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의 구조와 성상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은 그 에스터 부위 구조의 차이나 비율에 따라 상온에서 액상의 것에서부터 고형상의 것까지 존재하는 등 폭넓은 성상을 가지고 사용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표1에는 대표적인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의 구조와 성상의 특징을 나타냈다. 세포간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매끄럽게 녹는 듯한 립스틱과 무의식적인 행동의 연구 스틱형 립스틱은 일반적으로 색이나 질감 이외에 사용감의 쾌적함이 요구된다. 사용감은 경도(硬度)나 레올로지(rheology)의 차이 등 ‘기제(基劑, 베이스 성분)’ 유래와 외장이나 스틱 지름 등 ‘형상(形狀)’ 유래의 원인이 크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기제에서는 경도가 낮고 부드러운 기제를 사용함으로써 무너지기 쉽고 매끄러운 사용감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드러운 기제는 부러지기 쉽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그림1 실험 모식도5) 이 과제는 슬림 타입의 스틱 용기를 사용해 통의 측면 전체에서 기제를 지지하고 부러지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해 극복해 왔다. 시세이도는 점도가 높은 폴리아이소부텐(polyisobutene)과 점도가 낮은 실리콘오일을 사용해 독특한 매끈함을 가진 기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는 기제 유래의 독특한 매끄러움과 부드럽게 무너지는 매끄러움을 겸비한, 녹는 듯한 감촉의 립스틱 기제를 보고한다. 한편, 제품의 사용감 평가는 기제의 물성 평가 외에 모션 캡처(motion capture)를 이용한 제품 사용 중의 손의 움직임 분석1) 등도 사용되고 있지만 주축은 설문평
식물유래 원료의 립 화장품에 대한 활용 현대 화장품에서 석유를 출발물질로서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된 원료의 사용비율은 높다. 생산 코스트, 생산 효율, 높은 성능, 높은 순도 등 많은 점에 있어서 석유유래의 화학합성원료는 그 등장 이전에 이용되고 있던 식물 추출 등의 원료에 비해 우수하다. 한편, 석유유래의 원료보다 식물유래의 원료가 안심,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소비자의 가치관은 뿌리가 깊다. 그림1 왁스겔의 SEM 사진(오일제거)와 카드하우스 구조 모델 특히 립스틱, 립글로스, 립크림 등의 립화장품의 원료는 입술이라는 장벽기능이 낮고 거칠어지기 쉬운 부위에 도포하는 경우도 있어서 천연유래 원료를 중심으로 한 제품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립스틱은 선명한 색을 입술에 올리는 것이 사용 목적의 하나이며 이것은 합성색소로 실현되고 있다. 또 잘 부러지지 않고 쉽게 도포할 수 있는 스틱으로 만들기 위해 석유유래의 탄화수소왁스의 사용이 불가피하다1). 그래서 석유유래의 원료를 이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제품과 동등한 성능을 실현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립스틱의 원료로 쓰이고 있는각 원료들의 기능상의 역할을 명확히 한 후 그것들과 대응하는 식물
성별 · 세대별 립 컬러의 인상평가 비교 립 컬러는 얼굴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2017년 수행한 연구1)에서는 립 컬러를 색상별로 하나씩 제시하면서 SD(Semantic Differential)법으로 인상을 평가했다. 이 방법은 정량적인 결과를 얻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실험에 시간이 걸리고 실험자극의 개수나 이미지 단어의 개수가 제한되며 실험자극의 차이를 분별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립 컬러의 색상 개수와 이미지 단어의 개수를 늘리고 여러 가지 립 컬러를 동시에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그림1 실험참가자에게 제시한 립 컬러 그림1의 립 컬러 총 27색(명도 3단계, 색상 3단계, 채도 3단계)의 인상평가를 수행한 연구2)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높은 명도 · 높은 채도 · 노란계열~중간계열 정도의 립 컬러가 ‘젊은’, ‘건강한’, ‘친절한’, ‘귀여 운’ 인상을 준다고 답했다. 그리고 낮은 명도 · 높은 채도의 립 컬러는 ‘어른스러운’, ‘우아한’ 인상, 높은 채도의 립 컬러는 ‘여성적인’, ‘화려한’ 인상, 낮은 채도의 립 컬러는 ‘중성적인’,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