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에 대한 대책 海洋プラスチックゴミ問題への取り組み Initiative on ocean plastics 片山亜沙美(가타야마 아사미, Asami Katayama) 그림1 테라사이클 창업자 겸 CEO인 톰 쟈키 1. 서론 : 테라사이클이란 테라사이클(Terracycle)은 ‘버린다는 개념을 버리 자’를 모토로 기존에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던 물건이나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 등의 폐기물을 세계 각국 에서 회수하고 다양한 제품에 재활용하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이다. 창업자 겸 CEO인 톰 쟈키(Tom Szaky)는 대학 2학년 때 지렁이 똥(worm poop)을 비료로 만들어 그것을 사용된 페트병에 넣어 판매하는 독특한 사업을 시작했다. 그 후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비즈니스’라는 콘셉트를 생각해 2001년에 테라사이클을 창업했다. 지금까지 감자 칩의 빈 봉지, 다 마신 주스 파우치, 애완동물 사료의 빈 봉지 등 ‘버 리는 외에는 용도가 없다’고 생각되어 왔던 것을 회수 하고 새로운 제품에 자원재활용(material recycle)을 하는 것을 실현해 왔다. 자원재활용이란 제품을 원료로 재생이용(리사이클)하는 것이
안전성과 환경성능을 양립시키는 차세대 Non-Freon 분사제와 불소계 용제의 개발 安全性と環境性能を両立させる次世代ノンフロン噴射剤とフッ素系溶剤の開発 Next-generation non-HFC propellant and fluorinated solvent designed to achieve both environmentally-preferable and improved safety 粟野 寛隆(아와노 히로타카, Hirotaka Awano) 그림1 프레온 종류의 변천 1. 서론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배출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과 규제가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오존층 보호를 목적으로 1987년 채택된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 되는 클로 로플루오로카본(CFC)과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 본(HCFC)을 감축대상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 오존층 파괴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HFC, 일본에서는 ‘대체 프레온’)으로 이행이 진행됐다. 그러나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에서 HFC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영향이 지적된 이후에 온난화 영향의 척도인 지구온난화계수(GWP)가 낮은 물질로 전환 하기 위한 논의가
와인 제조 부산물의 유용 활용법의 검토 ワイン製造副産物の有用活用法の検討 Exact utilization of winemaking by-products 佐藤朋之(사토 도모유키, Tomoyuki Sato) 田島大敬(다지마 히로타카, Hirotaka Tajima) 河西由喜(가사이 유키, Yuki Kasai) 齋藤浩司(사이토 고지, Koji Saito) 그림 와인 제조공정 개요 1. 서론 와인 제조에 쓰이는 포도 원료 중 약 30% 정도가 부산물로 생긴다. 이들 일부는 가축 사료, 카스토리 브랜 디(와인을 제조하고 남은 찌꺼기를 발효 후 증류한 브랜디)와 퇴비 등으로 사용되는데 그 대부분은 이용되지 않고 처분된다. 한편, 포도 중에는 폴리페놀류를 비롯한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고 화장품과 기능성 소재의 원료로서 기대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와인 제조 부산물에 대해서 그개요를 말하고 당사의 와인 제조 부산물의 유효활용을 위한 대처의 일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 와인 제조 부산물 포도는 가장 생산량이 많은 과일 중 하나로 연간 생산량은 전 세계에서 약 77Mt 이상이다(포도보다 생산량이 많은 과일은 수박, 바나나, 사과이고 각
환경 중기목표 추진과 사용한 종이기저귀의 자원재활용 시스템(종이기저귀에서 종이기저귀로)의 개발 環境中期目標の推進と使用済み紙おむつの再資源化システム(紙おむつから紙おむつへ)の開発 Promotion of midterm environmental goals and development of used disposable diaper recycling system( from disposable diaper to disposable diaper) 宮澤 清(미야자와 기요시, Kiyoshi Miyazawa) 표1 Eco Plan 2020 1. 서론 유니참(Unicharm)의 기업이념은 ‘NOLA&DOLA : Necessity of Life with Activities & Dreams of Life with Activities’ 이다. 이 기업이념 ‘NORA&DORA’에는 ‘아기부터 노인까지 생활하는 사람이 여러 부담으로부터 해방되도록 몸과 마음을 잘 지원하는 상품을 제공하고 개개인의 꿈을 이뤄 주고 싶다’라는 구상이 담겨 있다. 이 기업이념은 사업을 통해서 실현되고 사회과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CSR(Corporate Social Res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8년 6월호는 ‘환경 · 윤리 · 에너지를 고려한 연구개발’을 주제로 ▲환경 중기목표 추진과 사용한 종이기저귀의 자원재활용 시스템(종이기저귀에서 종이기저귀로)의 개발 ▲와인 제조 부산물의 유용 활용법의 검토 ▲안전성과 환경성능을 양립시키는 Non-Freon 분사제와 불소계 용제의 개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에 대한 대책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최신연구는 ‘일본인에 있어서 제모관리의 실태와 심리적 관련 요인’ 등을 소개했다. ■ 목차 [컬럼] 미세 플라스틱 환경은 물론 건강 위협하는 적 [테마기획] 염모제 안전성 테스트 패치 의무화해야 [특집] 환경 · 윤리 · 에너지를 고려한 연구개발 1) 환경 중기목표 추진과 사용한 종이기저귀의 자원재활용 시스템(종이기저귀에서 종이기저귀로)의 개발 - 유니참(ユニ・チャーム) 宮澤 清 2) 와인 제조 부산물의 유용 활용법의 검토 - 홋카이도와인(北海道ワイン) 佐藤朋之・田島大敬・河西由喜・齋藤浩司 3) 안전성과 환경성능을 양립시키는 Non-Freon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시세이도(資生堂)의 고기능 에이징케어 브랜드인 '에릭실(ELIXIR, エリクシール)'이 약용 미백크림 '에릭실 미백 농밀 크림(정식상품명 : エリクシール ホワイト エンリッチド クリアクリーム TB)'을 발매했다. 일본 의약부외품으로 인정받은 미백 유효 성분을 배합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기미와 주근깨를 방지한다. 또한 고농도의 콜라겐을 배합해 피부에 남다른 촉촉함과 윤기를 선사해 일본 소비자들의 많은 지지를 얻고었다.슬리핑 팩 형태의 제품으로 저녁시간 스킨케어 마지막 단계에서 바르고 흡수시키면 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가오(花王)의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인 '프리마비스타(プリマヴィスタ)'가 새롭게 리뉴얼 출시됐다. 발매 이후 8년 연속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베스트셀러다. 오일 블록(Oil block) 처방과 독자 개발한 피지 흡수 분체를 배합해 여름철 땀과 피지에도 화장이 무너지지 않고, 보송함이 오래 지속된다. 일본의 대표 여배우 이시하라 사토미(石原さとみ)가 브랜드 뮤즈를 맡아 당당하고 우아한 아름다움을 표현해 CM 공개 후 큰 주목을 끌고 있다.
그림 Mineral Oil과 Emolid CC에서 UV Filters의 재결정화 유무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은 저렴하고 아주 강력한 보습력을 가지기 때문에 베이비로션, 립, 연고 그리고 클렌저 등 다양한 화장품에 사용된다. 하지만 미네랄 오일은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석유 부산물의 하나로, 최근 화제가 된 ‘안티몬(Antimon)’과 마찬가지로 광물성 원료다. 따라서 불순물과 발암 물질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피부에 결코 바람직한 성분으로 권장되지 않고 있다. 또 화장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휘발성 실리콘(D4, D5)은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점점 미네랄 오일을 대체해 천연 물질에서 유래한 식물성 오일을 화장품에 적용하고 있는 추세다. IQL의 Emolid CC는 ECOCERT 인증을 받은 100% vegetable과 natural origin을 가지는 Ester Oil이다. 스킨케어부터 선케어, 헤어케어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고 가볍고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을 큰 특징으로 한다.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
그림 홍삼 Glycoprotein FT-IR 분석 결과 1. 서론 1-1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생산과 피부 노화 최근 노령화가 급속도로 심화되고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 노화에 대한 관심 또한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노화의 기전과 인체 내 세포의 생리적, 병리적 변화를 밝혀 내고 항노화 소재를 개발하려는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체는 60~100조 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다. 하나의 세포 안에는 수백에서 수천개의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소기관이 들어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 내의 발전소’로 신진대사, 신호전 달, 세포자살, 세포주기 조절, 분화 등 세포 내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소기관이다. 그 중에서도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세포의 에너지원인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산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에서 일어난다.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5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 점도증가 효과 1. 서론 린스오프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의식은 갈수록 엄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고객 요구를 채우기 위해서는 타협이 없는 고성능과 가격 대비 성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동시에 피부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대한 의식도 높아지고 있어 경제적인 것 뿐만 아니라 자극이 적은 세정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양면을 타깃으로 EVONIK이 개발한 것이 수성세정제 지향의 우수한 친수성 점도증가제 ANTIL Ⓡ 500 Pellets이다. 2. 효용 ㆍ우수한 친수성 점도증가제 ㆍ처방화가 어려운 계면활성 처방(낮은 활성, sulfate free 처방)을 효과적으로 점도증가 ㆍ수용성 ㆍCold Process 가능 ㆍ뉴턴 유동성 유지 ㆍ넓은 pH 영역(4.5~9.0)에서 안정 ㆍPreservative-free, Solvent- free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5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3-O-Glyceryl-2-O-hexyl ascorbate (VC-HG)에 의한 멜라노사이트 내부의 멜라노좀 이송억제 美白への新規アプローチ - ヘキシル3-グリセリルアスコルビン酸(VC-HG)によるメラノサイト内のメラノソーム輸送阻害 A new approach to skin whitening - 3-O-Glyceryl-2-O-hexyl ascorbate(VC-HG) interferes with melanosome transport in melanocyte 岸本真紀子(기시모토 마키코, Makiko Kishimoto) 勝山雄志(가츠야마 유우시, Yushi Katsuyama) 吉岡正人(요시오카 마사토, Masato Yoshioka) 그림1 멜라닌의 합성과 대사 1. 서론 투명하고 깨끗한 피부는 많은 여성들이 꿈꾸는 것이며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 중에서도 특히 미백은 많은 여성들이 신경을 쓰고 있는 분야다. 기미와 칙칙함등 국소적인 피부색의 변화가 신경이 쓰이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최근에는 자연스러운 메이크업도 유행하고 있어 피부 전체를 깨끗하고 밝게, 아름답게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여성들이 많다. 피부색은 피부 속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에
온도감수성채널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8(TRPM8)은 멜라닌 생성조절에 관여한다 温度感受性チャネル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8 (TRPM8)はメラニン生成調節に関与する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8(TRPM8), a member of temperature sensor, controls melanin synthesis 村上祐子(무라카미 유코, Yuhko Murakami) 그림1 TRPM8 활성화제(l-menthol)의 영향 1. 서론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다. 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되면 멜라닌 생성이 항진돼 색소침착이 일어난다. 멜라닌이 표피에서 이상적으로 증가한 것이 이른바 ‘기미’, ‘주근깨’ 등이며그 원인 중에 하나로서 자외선 노출 후 멜라노사이트 내에서 멜라닌의 과잉생성이 거론돼 왔다. 이처럼 ‘기 미’, ‘주근깨’의 제어에는 표피 내 멜라닌양의 정상화가 중요하며 지금까지도 ‘미백’ 연구개발에서는 멜라노사 이트에서 멜라닌의 생성제어가
피부 모세혈관과 기미 형성의 관련과 기미 개선의 새로운 접근 皮膚毛細血管とシミ形成の関連とシミ改善の新たなアプローチ Involvement of vasculature in hyperpigm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approach towards treatment 柴田貴子(시바타 다카코, Takako Shibata) 原 祐輔(하라 유스케, Yusuke Hara) 그림1 일광성색소반 부위의 혈류량의 증가(Laser Speckle 혈류계에 의한 혈류량 측정) 1. 서론 ‘기미, 주근깨’는 일본인을 비롯한 여성들이 갖는 큰피부 고민 중 하나이며 지금까지 화장품 기업이나 제약기업 각사는 이 고민에 대응하는 미백화장품 개발에 주력해 왔다. 일본의 미백 시장은 연간 2,000억 엔을 넘는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것에서도 소비자의 미백에 대한 높은 요구를 엿볼 수 있다 1) . 기미와 주근깨는 표피층의 기저에 존재하는 색소생 성세포(멜라노사이트)에 의한 멜라닌 생합성의 과도한 항진이 일으키는 색소침착 이상증이다. 멜라닌 생합성 메커니즘 해명 연구의 역사를 풀면 1895년 Bourquelot 와 Bertrand가 버섯의 단면이 검게 되
전 세계적으로 특허 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는 더욱 높은 특허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과 향수 관련 기술 분야의 특허 활동은 일반적으로 펩타이드가 주도하지만 생화학 분야와 나노 기술과 같은 최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 가운데 ‘성분’은 화장품 분야 특허 활동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화장품 선진국에서는 화장품·향수용 성분과 관련해 특허 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본특허청에서 운영하는 특허정보 플랫폼인 J-Plat Pat와 한국특허정보원의 특허정보넷인 KIPRIS에서 제공하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해외 특허에서 화장품 분야의 ‘피부미백’에 대한 최근 특허를 검색해 주요 특허 선별과 함께 그 내용을 요약해 소개하고 주제별 특허목록을 정리했다. 검색된 특허목록은 발명의 명칭(특허번호, 출원인, 출원일)의 순으로 기재했다. 일본 미백 관련 특허(2016.01.01~2017.12.31) 4′-dimethyl nobil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제와 미백용 음식물 (特開 2017-226612, 富士産業 株式 会 社
미용의료 분야에서 주목받는 미백제와 메커니즘 美容医療分野で注目される美白剤とそのメカニズム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used by Japanese dermatologists and molecular mechanisms 伊東 忍(이토 시노부, Shinobu Ito) 표 주요 미백제의 J-GLOBAL에 의한 검색 히트 건수, 기능, 작용단백질, 문헌번호 1. 서론 X선 해석 3D모델링과 Cryo전자현미경에 의한 최근의 단백질 구조연구는 활성중심 pocket 사이즈나 아미노산 배치만이 아니라 변형가능 영역 등을 명확하게 구분해 신약개발연구에 공헌하고 있다. Cryo전자 현미경의 개발에서 Frank, Dubochet, Henderson의 3 인이 지난해에 노벨상을 수상했다는 것은 새로운 기억이다. 본고에서는 미용의료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와 그 메커니즘 연구의 토픽에 대해 최근의 단백질 구조연구에 주목해 해설한다. 과학기술진흥기구의 J-GLOBAL Data base(일본의 주요 학회 요지 연제를 포함)를 사용해 주요한 미백제의 검색건수, 주된 기능, 작용 단백질(각 미백제와 결합, 촉매, 기질 등의 상호작용이 보고돼 있는 단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