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2월호는‘스킨케어 기술과 성분 개발’을 주제로 ▲콜라겐 생성 촉진하는 에이징케어 성분 ▲스킨케어 성분 개발의 방향성 ▲인체가 지닌 힘을 이용한 스킨케어 ▲지방산 금속염의 선택적 살균 특성과 응용법 ▲식물유래 인체 올리고펩타이드 개발과 기능 ▲항염증 항균작용 지닌 항여드름 활성 성분 전구체 개발 등 총 6편의 원고가 수록된 특집을 구성했다. 신소재 신원료 소개 섹션에서는 재생의료 분야 기술을 응용한 호루스 양막추출물의 화장품 적용 사례를 소개했고 기업탐방 섹션에서는 선일바이오를 취재했다. 테마 기획 섹션에서 2022년 화장품 세계 3대 강국 진입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고 원료 최신 연구동향 섹션에서는 화장품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원료인 점증제를 소개했다. 트렌드 리포트 섹션에서는 국내 여성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화장품 이용 현황을 꼼꼼하게 분석했다. [특집] 스킨케어 기술과 성분 개발 スキンケアの技術と成分開発 Skincare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ingredie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1월호는 ‘변화하는 여성호르몬을 생각하다’를 주제로 ▲폐경기 호르몬 요법 - 에스트로겐에 의한 안티에이징의 현재 ▲여성호르몬이 두발 모유두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6-Banzylaminopurine의 작용 ▲여성호르몬 배합 육모제 ▲알로에베라 유래 식물스테롤은 여성호르몬 저하상태에서 피부 광노화를 예방한다 ▲식물추출물의 여성호르몬 작용 ▲갱년기의 각질이상 : 메커니즘 해석과 에스트로겐의 영향 등 6편의 원고가 수록된 특집을 구성했다. 신소재 신원료 소개 섹션에서는 주식회사 다이셀 유기합성컴퍼니의 폴리글리세릴-4라우릴에터를 소개했다. 2018 신년특집에서는 전문가 좌담회, 2018년 화장품 산업 전망한다를 진행하고 원료 최신 연구동향 섹션에서는 Antaron Sensory와 MC-DTOC : 전통 한의학을 바탕으로 개발한 새로운 Anti-pollution 소재를 소개했다. 연구소 탐방 섹션에서는 모아캠 기술연구소와 메가코스 R&I센터가 각각 소개됐다. ■ 목차 [특집] 변화하는 여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12월호는 ‘얼굴의 매력을 과학화하다’를 주제로 ▲얼굴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안경과 메이크업의 연구 ▲화장시의 밝기와 색온도가 대인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화장의 농도에 관한 연구 화장의 ▲착시효과 - 얼굴 연구와 착시연구의 융합 ▲아름다운 미소 만들기에 관한 연구 ▲얼굴 매력의 주의(注意) 과정 : 고속순차시각제시(RSVP)에 의한 검토와 이용 가능성 ▲표정연구에서 생각하는 미용연구의 전망 ▲위생 마스크가 얼굴의 매력과 크기를 인식하는데 미치는 효과 등 7편의 원고가 수록된 특집을 구성했다. 신소재 신원료 소개 섹션에서는 차세대형 고분자유화제 ‘PemulenTM EZ-4U’와 발효 자근유(紫根油) ‘BIOFERM-Red OilTM’를 소개했다. 2017 송년특집에서는 화장품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2017년 화장품 R&D 분야 이슈는’을 진행하고 원료 최신 연구동향 섹션에서는 화장품에서의 새로운 전달체 MOF(Metal-Organic Framework, MOF)를 소개했다. 기획연재 섹션에서는 피부감작성과 안자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11월호는 ‘새로운 선스크린 기술과 선케어 소재’를 주제로 ▲자외선·근적외선을 막아주고 사용감을 개선하는 복합분체 가공 공정 개발 ▲이상적인 UV 선스크린 분자를 목표로 한 기초연구로부터의 접근 ▲타조항체를 이용한 광(光) 대책용 화장품의 개발 ▲SPF를 효과적으로 높여 가시광선·근적외선까지 방어하는 새로운 미립자계 자외선흡수제 ▲피부에 대한 블루라이트의 영향과 새로운 선케어에의 접근 ▲최신 선스크린 원료 개발에 대하여 ▲블루라이트에 의한 세포장애 작용에 대해서 등 7편의 원고가 수록된 특집을 구성했다. 신소재 신원료 소개 섹션에서는 체내시계에 착안한 ‘시간미용’ 지향 보습, 민감피부용 화장품 소재 포도열매 추출물인 크로노샤르디Ⓡ을 소개했다. 테마기획에서는 전통적으로 향과 품질, 약성,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한 남원·지리산권의 자원식물을 이용한 남원 화장품소재 원료산업 육성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기획연재 섹션에서는 피부감작성과 안자극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화장품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10월호는 ‘모발과 피부색 관장하는 색소세포를 살피다’를 특집주제로 최근의 색소세포 연구, 백발개선, 백발방지제의 개발, 색소 줄기세포의 분화제어와 피부의 색소침착, 멜라닌 분산에 착안한 기미의 새로운 접근, 멜라닌 색소를 인식하는 새로운 도구인 ‘M-INK’의 개발, 피부의 과색소침착 : 엑스포좀(exposome)에 의한 영향에 대한 이해, 피부색을 결정하는 오토파지의 기능 등 7편의 원고가 게재됐다. 테마기획은 일본 대표 화장품 브랜드 전략을 분석한 ‘장인정신 깃든 브랜드 강점 ‘J-뷰티’ 심층분석’과 ‘제24차 IFSCC 컨퍼런스 10월 23~25일 개최 국내외 화장품연구자 총집합’을 게재했으며 Spot Review로 ‘화장품의 안전성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SSCI-Net과 활용’을 수록했다. 원료 최신 연구동향으로 초이스엔텍 ‘FlexiThixTM polymer’와 바이오제닉스 ‘천연 티트리 에센셜오일과 Oat 제품’을 소개했다. 새로운 기획연재로 ‘피부감작성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을 게재했다. ■ 목차
(주)모아캠 1. 서론 1-1. 피부 Eco-system과 피부 항상성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람의 피부조직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서식(Eco-system)하며 피부 미생물은 유익한 미생물과 유해한 미생물이 균형을 이루며 피부 면역을 유지한다 1)~3) . 그러나 외부자극,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등으로 유해한 미생물이 증식해 피부 미생물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피부장벽의 약화로 유해 미생물에 의한 1차 염증 반응이 발생하고 유해 미생물의 초항원 등의 독성 대사물에 의해 가려움증, 염증 심화 반응 등 2차 염증반 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원인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 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나아가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4) .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대표적인 피부상재균으로 아토피성 피부에서 더 많이 발견되며 이를 악화시킨다. 1-2. 피부 Eco-system을 유지시키는 천연 물질의 개발 MC-EQ Micro에 사용되
그림1 Powder form 점증제의 공정도 1. 소개 점증제는 화장품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서, 또는 제품을 인체에 적용할 때 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이다. 예를 들면 점증제는 제품에 단단함, 매끄러운, 부드러운 감촉 등을 부여해 제품의 심미적 가치를 배가시킬 수 있다. 점증제의 종류로는 카제인, 알긴산, 잔탄검 등의 천연물질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물질이 있고 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가 대표적이다. 그중 카보머(Carbomer)는 화장품에서 가장 보편적 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증제이지만 물에 대한 용해도나 분체의 날림성, 합성과정에서 발암 물질로 알려진 벤젠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한 제품 군들도 다양하게 출시돼 있다. 그중 SNF의 Flogel FG 시리즈는 전제품 Benzene Free 제품군으로 고효율의 카보머 증점제이다. 카보머를 포함해 powder form 점증제, inverse emulsion 점증 제등 SNF의 다양한 점증제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 SNF Polymer의 기능과 장점 • 유화전의 액체상이나 분말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의 대표적인 미용 사이트인 ‘엣코스메(@コスメ)’가 프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인 ‘엣코스메 프로 포 뷰티 스페셜리스트(@COSME PRO FOR BEAUTY SPECIALIST)’를 선보인다. 더불어 일반 사용자 대상의 어플도 리뉴얼을 감행했다. 프로 전용 어플은 미용사와 네일리스트, 피트니스 강사 등 미용과 관련 있는 개인사업자 대상으로 개발했다. 일반 사용자에게 정보 발신과 제공 메뉴의 등록,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시세이도(資生堂)는 1월 26일 새로운 브랜드인 ‘포스메(POSME)’의 첫 번째 상품인 ‘플레이 컬러 칩(Play Color Chip)’을 발매했다. 포스메는 10대 여학생들과 오픈 이노베이션 형식으로 진행된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브랜드다. 플레이 컬러 칩은 립, 치크, 아이, 아이브로 등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아이템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칩 형태로 제품을 덮고 있는 필름을 벗기고, 원하는 부위에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화장품 랭킹 사이트 엣코스메(@cosme)는 연말을 맞아 '2017년 @cosme 베스트 화장품 어워드’을 선정했다. 올 한해 총 684,740건의 사용후기를 통해 선택된 베스트 화장품을 정리했다. 올 한해 주목받은 베스트 화장품 TOP 10은 오페라 립 틴트, 어딕션 더 아이섀도, 나츄리에 스킨컨디셔너(하토무기 화장수), 바운시아 바운시아 바디 소프, 나스 래디언트 크리미 컨실러, 레브론 컬러 스테이 메이크업, 케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의 3대 미용잡지인 ‘비테키(美的)’는 2017년 베스트 화장품 TOP 10을 선정했다. 스킨케어에서 메이크업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올 한해를 빛낸 베스트 제품으로 선정됐다. 2017년 베스트 화장품 TOP 10에 선정된 제품은 폴라 링클 쇼트 메디칼 세럼, 끌레드뽀보떼 le fond de teint 파운데이션, 랑콤 제니피크 어드밴스트 듀얼 콘센트레이트, 헬레나 루빈스타인 래시 CC 마스카라, 나스 소프트 매트 컴플리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화장품 전문매체인 주간장업(週刊粧業)이 2017년 화장품 시장을 되돌아 보고 5가지 이슈를 정리했다. 올 한해 주목받는 5가지 이슈는 인바운드 수요 증가, 새로운 효능 안티 에이징 케어 제품 히트, 인스타그램 등 SNS 통한 히트 제품 탄생, 내추럴 지향 소비자 증가 보태니컬 화장품 붐, 백화점 화장품 시장 활성화 등 화장품 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내용들이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시세이도는 미국의 화장품 자회사 '베어에센셜(Bare Escentuals, Inc.)'의 판매부진으로 2017년 7~9월 약 655억엔의 특별손실을 계상해 약 170억엔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또 2017년 12월 순이익의 예상을 8월 시점의 325억엔에서 100억엔 하향 수정했다. 시세이도는 북미에서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베어에센셜을 약 1700억엔에 매수했다. 자연소재 유래의 메이크업 상품인 '베어미네랄(Bar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백화점의 화장품 판매 실적이 30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백화점 업계 전체에서는 인터넷 판매와 경쟁이 치열한 의류, 식품 판매는 2년 전과 비교해 9% 하락했지만 화장품은 반대로 35%가 늘어났다. 미쓰코시 이세탄 홀딩스와 다카시마야, 다이마루 마쓰자카야 백화점을 운영하는 J·프런트 리테일링은 기존 백화점 점포의 매상이 전년도 같은 기간과 대비해 약 1~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고세는 중국에서 진행하던 화장품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중국 항저우시에 위치한 자회사 ‘고세화장품(高絲化粧品)’을 일본콜마홀딩스에 양도했다.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전량을 일본에서 위탁 생산, 수출하는 형태로 전환한다. 1987년 고세는 중국 항저우에 ‘샤샤(下沙)공장’을 설립하고 ‘비제니스트(ビゼニスト)’ 등 현지 전용 브랜드를 생산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순조롭게 판매되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