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국가 부주석 |
시진핑 부주석과 리커창 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새 지도부는 경제 성장보다 구조조정과 금융개혁 그리고 내수(소비재) 위주로 바꿀 전망이다. 게다가 시진핑은 친미, 친한파로 유명하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당분간 강경 자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소비재 위주와 반일 감정은 국내 화장품 산업에 호재로 작용하게 된다. 증권가에서는 이를 미리 반영하듯 화장품 관련주들을 신고가 대열에 합류시켰다.
여기에 중국의 10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가 50.2를 기록하면서 3개월 만에 50선을 회복해 2일 현재 화장품을 비롯한 여행, 카지노 관련 업체 등 전통적인 중국 수혜주들이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 증권가의 분석이다.
한화투자증권의 한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중국 PMI가 50을 상회하면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본다"며 "중국의 10월 PMI가 개선돼 관련 업체들도 효과를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주인 8일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교체를 알리는 제18차 당 대표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공산당 체제인 중국에서는 이번 대회 결과가 내년 3월에 있을 중국 공조직의 교체를 사실상 확정짓게 된다. 10년 만에 중국의 지도부가 바뀌는 순간이다.
이는 시진핑 지도부 출범이 임박했다는 것인데 때맞춰 PMI가 회복됐고 위안화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그 동안 미국의 오바마 정부가 공들인 위안화 절상 압박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외환시장의 한 전문가는 "올해 말까지 1달러에 6.2위안까지 오를 전망"이라며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10월 PMI 지수
▲ 출처 : 동양증권 |
위안화 절상도 화장품 업계에는 호재로 작용한다. 전문가들은 호재 정도가 아니라 수출 활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증권가에서는 위안화 절상으로 반도체, LCD, 자동차, 건설, 기계 등은 수출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고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 패션 등은 수출이 밝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은 시진핑 지도부의 경제 정책은 물론 출범 임박과 동시에 변화를 보이는 PMI 회복, 위안화 절상 등 거의 대부분의 혜택을 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對미국, 한국, 일본과의 외교 정책도 화장품 산업에는 호의적이다. 이는 미국과의 관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위안화 절상을 비롯해 친한과 반일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화장품 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댜오위다오 중-일 영토분쟁'이다.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길어지면서 일본의 경제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시진핑 지도부도 집권 초기 대일 강경 자세를 굽히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중-일 갈등이 일본 제품 불매운동과 생산 감소 그리고 두드러지게 일본행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 현상으로 이어져 시진핑 지도부 체제 후에도 이러한 현상이 6개월이나 더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중국의 중추절과 국경절을 맞아 중국인 관광객이 국내로 들어오면서 화장품 업계가 호황을 누린 것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일본 관광객이다. 중-일 갈등을 마다하지 않는 시진핑 지도부 체제에서 일본인들 역시 중국보다는 국내로 들어올 확률이 더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국내로 들어와 명동의 화장품 매장에서 싹쓸이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일본인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다. 그리고 현재는 한류 영향권에 있기 때문에 당분간 중국인들과 일본인들에게 국산 화장품의 인기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화장품 산업의 전망이 밝은 이유는 시진핑 지도부의 소비 확대 정책에 따른 매출이 확대될 거란 분석 때문이다.
시진핑을 필두로 새롭게 등장하게 될 중국의 5세대 지도부는 10~20대에 문화혁명을 경험했고 그로 인해 사회 혼란과 인치주의에 치를 떨었던 세대이다. 게다가 특정 분야의 전문가보다는 행정가들로 구성됐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 경제 전문가는 "중국 5세대 지도부의 조직 구조와 특징을 고려할 때 내수 소비 위주, 균형 발전, 분배 중시, 민영화와 민간 개방, 안전 성장의 정책 기조를 채택할 것"이라며 "시진핑 지도부의 정책이 변하지 않는 한 중국 관련 소비의 수혜를 입게 될 업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IT 기업과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경계해야 할 요인도 없지 않다. 시진핑 지도부가 내부의 권력 다툼이 끝나고 안정을 찾아갈 무렵 자국 기업의 밀어주기를 노골화할 경우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부진을 면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