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수정 기자] 중국의 큰렌징 제품 성장률이 눈에 띄고 있다. 데이터에 의하면 2015년 클렌징 제품은 매출액 64.20억 위안을 달성하며 두자릿수 성장을 기록했고 이후에도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증가해 2016년에는 매출액 75.85억 위안을 달성했다.
최근 색조 화장품 시장이 부상하자 클렌징 제품 시장도 잇달아 성장했다. 중국 국민들의 건강 의식과 생활 수준이 끊임없이 높아지면서 여성 소비자들이 화장을 하는 것 뿐 아니라 클렌징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이에 클렌징 시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 화장품 브랜드 중 일부는 클렌징 영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냈지만 아직은 니베아 같은 해외 브랜드들이 압도적인 우위에 위치해 있다. 클렌징 제품에는 오일, 워터, 미스트, 티슈, 크림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기술 발달에 따라 워터와 티슈는 오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2017~2022년 중국 클렌징 시장 전망 예측 (단위 : 억위안)
![]() ▲ 출처 : 치엔짠(前瞻) 산업 연구원. |
2015년 43%의 한국 소비자들은 클렌징 제품을 구매했지만 중국에서는 단지 6%의 소비자만이 클렌징 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중국 클렌징 제품 소비자군은 색조 화장품 소비자의 1/4에 해당하는 수치로 여전히 작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상선 도시에서의 소비로 편향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색조 메이크업 사용자, 그중에서도 하선 도시 소비자들과 중년 여성들은 여전히 클렌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클렌징 제품 시장의 발전 공간이 아직 크다는 의미다.
지속 성장 중인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클렌징 시장도 지속 성장세를 기록해 전문가들은 2022년에는 191억 위안의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