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6 (일)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5.5℃
  • 박무서울 1.9℃
  • 구름많음대전 0.8℃
  • 맑음대구 -1.2℃
  • 맑음울산 2.8℃
  • 박무광주 1.2℃
  • 맑음부산 4.8℃
  • 흐림고창 -0.6℃
  • 구름많음제주 6.2℃
  • 맑음강화 0.0℃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1.0℃
  • 맑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0.7℃
기상청 제공

[박사학위 논문] 이묘산(二妙散)이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2014 정연정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5년 8월 창간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묘산(二妙散)이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2014 정연정

본 연구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 HDFs)를 이용해 동량의 황백(Phellodendri Cortex : PC,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과 창출(Atractylodis Rhizoma : AR, Atractylodes lancea D.C)로 구성된 이묘산(二妙散, Er-Miao-San : EMS)의 TNF-α로 유도된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묘산이 HDF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 세포 생존율, 세포 증식률, 세포 배가시간, 세포 유주능을 측정했다.

이묘산이 TNF-α로 유도된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 qRT-PCR, NF-κB transactivation activity assay를 실시했다. 이묘산 7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보였고, 이묘산과 창출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했다. 이묘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배가 시간이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세포 유주능 관찰에서도 무처리군보다 세포가 빠르게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5년 8월 창간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4학년도 화장품 R&D분야 박사학위 논문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