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정혜인 기자] 중국 3월 화장품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고 이는 전월(1~2월) 증가율 10.6% 보다 둔화됐다.
그러나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이 연초에는 춘절 연휴로 인한 계절적 왜곡을 완화하고자 1~2월 자료를 취합해 통계치를 냈기 때문에 중국 화장품 판매가 크게 둔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난 1~2월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 총액은 393억 위안(약 6조 5,289억원)이었고 3월 총액은 215억 위안이다.
4월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3월 사회 소매판매 통계치와 1~3월 누적 통계치를 발표했다.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 |
▲ 자료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총액은 2조 7,86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가 늘었다. 이중 한도액이상(限额以上) 기업의 소비품 소매판매 총액은 1조 2,873억 위안으로 10%가 증가했다.
올해 1~3월 누적 통계치는 8조 5,823억 위안으로 이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0% 늘었고 한도액이상 기업의 총액은 3조 7,460억 위안으로 7.9% 증가율을 기록했다.
3월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총액 증가율은 지난해 12월과 같은 10.9%로 이는 전월(1~2월)의 9.5%에서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2017년 3월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세부 내역
![]() |
▲ 자료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박스 표시 부분 : 화장품) |
지역별로 성도시의 소비품 소매판매 총액은 2조 3,940억 위안으로 10.7% 증가했다. 농촌의 총액은 3,924억 위안이고 증가율은 12.2%에 달했다. 1~3월 성도시의 누적 통계치는 7조 3,398억 위안(증가율 9.7%), 농촌은 1조 2,426억 위안(증가율 11.9%)을 기록했다.
소매판매 총액 측면에서 성도시가 농촌의 규모를 훨씬 웃돌았지만 증가율 측면에서는 농촌이 빠른 성장 속도를 나타냈다.
소비유형별로 3월 식음료 수입은 2,94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늘었고 상품 소매판매는 2조 4,919억 위안으로 10.9% 증가했다. 1~3월 누적 통계치로 식음료는 9,196억 위안으로 증가율 10.8%, 상품 소매판매는 7조 6,627억 위안, 증가율 9.9%를 기록했다. 이에 올해 중국의 식음료 수입 증가율이 상품 소매판매를 앞서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품 소매판매 중 3월 한도액이상 기업의 총액은 1억 215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1% 늘었고 1~3월 누적액은 3조 5,24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했다. 한도액이상의 기업별로 슈퍼, 백화점, 전문매장(专业店), 전문판매점(专卖店)의 성장률은 각각 5.2%, 4.5%, 9.6%, 5.7%를 기록했다.
한편, 올해 1~3월 중국의 온라인 소매판매액은 1조 4,04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2.1%가 급증했다. 이는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뚜렷하게 나타낸 것이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