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2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0℃
  • 구름많음강릉 25.3℃
  • 구름조금서울 19.8℃
  • 구름많음대전 21.2℃
  • 구름조금대구 23.9℃
  • 구름많음울산 17.4℃
  • 구름조금광주 21.9℃
  • 구름많음부산 18.4℃
  • 구름많음고창 ℃
  • 구름많음제주 19.7℃
  • 구름조금강화 14.8℃
  • 구름많음보은 20.1℃
  • 구름많음금산 20.8℃
  • 구름많음강진군 19.7℃
  • 구름많음경주시 21.4℃
  • 구름조금거제 17.3℃
기상청 제공

CJK 2024년 5월호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3년 12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한국특허 138건 11월과 '비슷' 해외특허 19건 14% 차지 '발모, 탈모 방지' 분야 15건 최다 공개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12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12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특허는 총 138건으로 전월의 130건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해외 특허는 19건으로 전월의 36건에 비해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며 비율도 14%로 전월의 28%에 비해 절반 정도로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2023년 12월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 건수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건수와 비율은 절반 가까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3년 12월 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발모, 탈모 방지’ 분야가 15건으로 가장 많은 추세를 보였고 다음으로 ‘피부 개선’ 분야 13건, ‘주름 개선’ 분야가 11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이어서 ‘항균제’, ‘신규 균주’ 분야가 각 8건, ‘복합효능’, ‘항염증’, ‘구강 케어’ 분야가 각 7건, ‘피부 미백’ 분야 6건, ‘항노화, 항산화’, ‘세정제’ 분야가 각 5건, ‘자외선 차단’ 분야가 4건의 공개 건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전월에 최상위권이었던 ‘항염증’ 분야는 중위권으로 떨어졌고 전월에 상위권이었던 ‘발모, 탈모 방지’ 분야는 이번 달에는 최상위권으로 올라왔다. 전월에 상위권이었던 ‘주름 개선’ 분야는 이달에도 상위권을 지켰으며 전월에 하위권이었던 ‘피부 개선’ 분야가 이달에 상위권으로 올라왔고 최하위권이었던 ‘항균제’, ‘신규 균주’ 분야도 이달에는 중위권으로 들어왔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피부 미백’ 분야에서는 덜꿩나무 잎 유래 화합물, 루시놀 및 천연 추출물, 수소이온수가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신규한 미백 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아모레퍼시픽에서 피부 미백용 조성물 특허를 공개했다. ‘보습’ 분야에서는 루쿠마가 함유된 커들란 조성 수분겔 특허와 산소나노버블수 및 펩타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주름개선’ 분야에서는 히비스커스 기능성 추출물, 홍화꽃 발효추출물, 용암 해수 숙성 오미자 열매 추출물, 감태 추출물과 귤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 한약재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레티노이드와 레티노이드 부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조성물 특허와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허 그리고 아세틸콜린 수용체 저해 펩타이드의 용도 특허와 보툴리눔 신경독소 대체 신규소재와 이의 제조법 특허가 공개됐다.

 

음이온성 수중유형 나노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a)과 특성(b, c, d, e)

 

 

한편, 2023년 12월 공개된 해외 특허는 총 19건으로 일본이 7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했다. 이어서 미국 5건, 프랑스가 2건을, 스페인, 노르웨이,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대만도 각각 1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외 특허 내용을 살펴보면, 일본에서는 복합 표면처리 무기 분체, 화장료용의 육방정 질화붕소 분말에 관한 특허와 스킨케어용 조성물 특허, 피부 세정제 조성물 특허, 아미노산과 카르복실산을 사용한 배합물, 유기염과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특허와 신규 폴리페놀 화합물 특허, 그리고 모발 처리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화장품 #코스메틱 #2024년5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최신특허정보 #2023년12월 #특허출원현황  #한국화장품특허138건 #해외화장품특허19건 #덜꿩나무 #루시놀 #수소이온수 #산소나노버블수 #히비스커스 #홍화꽃 #오미자 #레티노이드  #아세틸콜린 #아미노산 #질화붕소 #카르복실산 #리보플라빈 #비타민D #아마로우시아잔틴 #α-MSH #레올로지분석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