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자격증은 물론 메이크업 단어가 들어간 민간자격증까지 발급할 수 없는 현 상황은 국내 뷰티 산업 발전의 역행을 가져 올 것입니다”
자격기본법 개정안 실행으로 민간자격증 발급이 제한된 메이크업 관련 업계의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특히 국가자격 시험조차 없는 메이크업의 경우 취업시 주요 판단기준이 되는 자격검증이 어려워지고 또 교육사업과 연계된 사업부문의 시장 축소가 우려된다.
지난 10월 6일 자격기본법 개정안이 시행된 이후 현재 공인된 민간자격증 이외의 민간자격증 발급이 금지됐다. 민간자격증이 국가로부터 공인받은 자격증으로 부풀려진 과장 광고에 소비자 피해가 늘고 있어 지난 2013년 4월 5일 자격기본법을 개정 공포한 결과다.
현재 뷰티 업계에도 불똥이 떨어진 상태다. 특히 오는 2014년 7월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있는 네일 관련 업계와는 다른 메이크업 관련 업계의 대응책 모색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본지는 (사)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 안미려 회장을 만나 뷰티 산업과 관련된 민간자격증 폐지로 인한 문제점과 뷰티 산업의 방향성에 대해 들어봤다.
▲ (사)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 안
미려 회장. |
법에 묶여 ‘메이크업’ 단어도 사용 못해
지난 7월 국내 메이크업 관련 업계를 대표하는 세 개 단체인 (사)한국메이크업협회, (사)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 (사)한국분장예술인협회가 모여 메이크업 국가자격 신설을 위한 한국메이크업단체협의회를 발족시켰다.
네일미용업 신설을 골자로 하는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이 그 기폭제가 됐다.
“자격기본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이젠 메이크업이란 말을 쓸 수 없게 됐어요. 결국 국가자격도 늦어지는 셈이죠. 네일 관련 국가자격이 신설되는데 우리 메이크업만 안 되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각계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힘을 모아 공동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안미려 회장은 “신성장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뷰티 산업에 있어 그 중심은 메이크업”이라며 “헌데 국가자격은 물론 민간자격 조차 메이크업이라는 단어를 쓸 수 없는 곳은 대한민국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개정법에 의하면 2013년 10월 6일 이후 등록되지 않는 민간자격증은 모두 불법이다. 현재 메이크업과 관련된 비공인 민간자격증은 특수분장사, 에어브러쉬분장사, 아트캐릭터분장사 등이며 모두 메이크업 대신 ‘분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자격 검증 가능하도록 제도 마련돼야
안 회장은 “자격기본법 개정안 시행의 문제를 정확히 집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 5월 기준으로 등록된 민간자격증은 총 4066개로 지난 2010년에 비해 2.5배 증가한 수치로 나타났다. 하지만 민간자격증은 갈수록 늘고 있는 반면 최근 2년간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민간자격증 피해신고는 1000건을 넘어 선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정법 실행으로 소비자의 피해를 줄이고 자격검증기관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킨다는 의도이다.
이에 안 회장은 “무분별한 광고,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불법 민간자격증 퇴치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 실효성을 높이려면 각 산업계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법에 묶여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메이크업 단어 대신에 분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건 말이 안돼요. 수십 년 전 제정된 미용법에 묶여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메이크업이 이젠 그 단어조차 사용한 민간자격증도 발급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지난 2009년 1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네일 및 메이크업 관련 미용 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결과를 보면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가자격제도가 헤어 위주의 수업, 시험과목으로 메이크업 전문가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교육시간과 기술로 구성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자격을 인정받더라도 당장은 메이크업 전문가로서 활동하기에는 부족하므로 메이크업 자격분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메이크업 산업 시장 규모는 약 1조8000억원으로 전체 미용시장의 26%를 차지하고 있으며 메이크업 전문 종사자 수는 약 13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는 “메이크업 관련 종사자들이 전문 직업인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하며 “한국메이크업단체협의회 차원에서도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주기적인 공개토론회를 통한 의견을 수렴해 복지부에 전달하고 메이크업 관련 국가자격을 위한 여론 형성과 홍보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