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금)

  • 맑음동두천 8.0℃
  • 구름많음강릉 10.8℃
  • 구름조금서울 8.6℃
  • 맑음대전 9.5℃
  • 맑음대구 11.4℃
  • 맑음울산 10.4℃
  • 구름많음광주 9.3℃
  • 맑음부산 11.6℃
  • 구름조금고창 6.9℃
  • 흐림제주 8.8℃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6℃
  • 맑음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11.4℃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복지부, 올해 화장품 산업 지원 예산 175억 편성

CGMP 제조시설 지원 10억 증액 편성


[코스인코리아닷컴 최영재 기자] 2014년 보건복지부 예산안이 지난 1월 1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지난해 대비 14.2% 증가한 46조8995억원으로 최종 확정된 가운데 화장품 산업 관련 예산은 175억2600만원으로 확정됐다. 


지난해 207억원 예산 중 2013 오송 화장품 뷰티 박람회 지원금 50억원을 제외한 157억원에 비해 약 16% 증가한 수치다.
 
                        2014년 보건복지부 화장품 부문 예산안  

                                          (단위 : 백만원) 


▲ 자료 출처 : 보건복지부.


우선 글로벌 화장품 육성 인프라 구축에 총 45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28억7300만원보다 대폭 증가했다. 화장품종합지원센터 구축에 지난해보다 4억7300만원 늘어난 12억7300만원, 국가별피부특성은행구축에는 전년과 동일한 10억원을 책정했다.


또 해외 화장품 판매장 개척과 홍보지원은 전년과 동일하게 4억원, 실험실 공동시설 활용 비용은 전년 3억5000만원에서 올해 6억4000만원으로 늘어났다. 

사업추진 운영비는 전년보다 130만원 늘어난 1130만원이 책정됐다. 글로벌코스메슈티컬개발센터에 2억원이 지원되고, CGMP 제조시설 지원에는 10억원이 증액 편성됐다.

글로벌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연구개발 사업에는 130억5000만원의 예산이 확보됐다. 이중 신소재 발굴지원에 전년보다 5억원 늘어난 67억5000만원, 융합기반기술지원에는 전년보다 5억원 삭감된 17억원이 책정됐다.

미래 유망화장품 개발 지원과 화장용품 개발지원에는 전년과 같은 각각 20억5000만원, 6억원이 책정됐다. 항노화 화장품 지원 사업에는 예결위에서 4억5000만원 삭감된 10억원이 편성됐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9월 ‘2020년 화장품 산업 G7 국가 도약’ 비전을 제시하며 △글로벌 제품 및 창조기술 개발 △산업 육성 인프라 확충 △해외 시장 진출 활성화 △규제 제도 선진화 등의 전략을 강조하며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밝힌 바 있다.

2014년 보건복지부 화장품 부문 예산안 
 

(단위 : 백만원)


▲ 자료 출처 : 보건복지부.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