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세기 기자] 충북과 제주도가 올해 정부가 지원하는 화장품 협력산업 지자체로 최종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지난 3월 31일 제1차 지역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2014년 지역산업지원사업 시행계획을 의결한 가운데 충청북도와 제주도가 자율적 협의를 통해 화장품을 협력산업으로 선정했다.
이에따라 충북과 제주도는 2014년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15년부터 3년 동안 관련 사업을 지원받아 추진하게 된다.
충북과 제주의 화장품 프로젝트는 충북의 화장품 제조역량에 제주의 청정-자연 소재를 적용한 제품 개발과 외국 관광객을 통한 신규 시장 진출로 충북과 제주의 화장품 산업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제는 총 4가지가 진행되며 100% 국비로 지원된다. 과제당 국비 지원금은 7억원이며 총 28억원이 올 한해동안 투입된다.
과제를 살펴보면, 먼저 '충북(천연 항노화 및 체취 방지 기술) + 제주(마케팅, 홍보)', '충북(지질 전달체 기술) + 제주(천연자원, 전통주 발효기술)', '제주(아열대 추출물 발굴) + 충북(화장품 제형화)', '제주(약용식물, 해양소재 I.P.) + 충북(바이오 인프라)' 등이다.
이번 협력산업은 지난 2013년 7월 박근혜 정부가 발표한 'HOPE 프로젝트'에서 인위적 행정단위인 광역경제권을 폐지하고 실제 산업계 수요를 바탕으로 지역간 협력을 강화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시작됐다.
지난 1월 '균형발전특별법'을 개정해 행복생활권, 경제협력권 등을 신설하는 등 법적 근거를 마련했고 지난 2월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도 반영됐다.
이에 산업부는 그 후속조치로 광역선도사업과 특화사업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지역사업을 오는 2015년부터 산업협력권사업, 주력산업지원사업, 지역전통산업육성사업 등 3개 사업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지난 2013년 11월부터 시도 지자체, 산학연 전문가 등 400여명이 참여해 협력산업과 주력산업을 선정했다.
협력산업은 시도 지자체가 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타 시도와의 협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선정한 사업으로 16개 협력산업이 선정됐으며 이중 7개 산업은 올해 시범사업으로 추진된다.
협력산업 시범사업으로 추진되는 7개는 240억원(국비 168억원, 지방비 72억원)이 투입되고 내년부터 16개 협력산업에 대해 본 사업이 추진될 계획이다.
산업부 김재홍 차관은 "지역 간 협업, 산업 간 융합이 지역의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길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