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남주 기자]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이 최근 조사한 결과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꾸준히 향상돼 이제는 선진국 대비 86.8%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힘입어 기술격차도 점차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은 2014년도에 이어 그동안의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R&D 지원 방향 결정에 활용하고자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조사를 올해 다시 실시하고 이를 발표했다.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조사 결과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선진국 대비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2007년 67.4%, 2014년 80.1%에서 2018년 86.8%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격차는 2014년 4.8년에서 2.4년으로 단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기술을 소재, 제형, 평가, 용기용품의 4개 분야로 나누어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제형기술이 89.6%로 가장 높았고 소재기술이 84.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술은 선진국 대비 84.7%, 용기용품기술은 88.9%로 조사됐다. 그림1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화장품 기술수준은 4개 분야 모두 2014년도에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11월호는 ‘두피 케어와 육모에 대한 어프로치’를 주제로 ▲생약육모제의 마이크로 에멀전화를 통한 육모성분의 침투성과 효과의 증강 ▲키틴 나노섬유의 피부에 대한 새로운 생체기능 ▲모유두 세포의 일차섬모 : 신호전달과 세포이동의 제어와 기능 ▲ 두피 피부 상재균과 분홍바늘꽃 추출물 두피 케어에의 응용 ▲남녀 탈모와 두피상태에서의 스핑가닌 효과 ▲육모에 관한 유효성 평가 시험의 실제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특집] 두피 케어와 육모에 대한 어프로치 1. 생약육모제의 마이크로 에멀전화를 통한 육모성분의 침투성과 효과의 증강 Improvement in the skin penetration of the hair active ingredient and hair restoration activity of the selfmicroemulsified formulation with crude drugs Bathclin 제품개발부(バスクリン 製品開発部) 松浦大輔・鈴木 茂・金谷裕敏・綱川光男 (28) 2. 키틴 나노섬유의 피부에 대한 새로운 생체기능 New bi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2016년 일본 특허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일본 특허 (2016. 1. 1 ~ 2017. 12. 31) 16-5. 표면처리분체와 이 표면처리분체를 이용한 수분 산성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 표면처리분체를 이용한 O/ W형 화장료 (特開 2016-222589, テイカ株式会社, 2015. 5. 29) 이전부터 금속산화물의 표면을 각종 화합물로 코팅처리한 표면처리분체가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체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나 카복 시비닐 폴리머와의 상용성은 좋지만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사용성(특히 뻑뻑함 방지)과 투명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성(pH 7)에서는 불용성이 지만 pH가 산성이나 알칼리성 영역으로 이동하면 용해성을 보여 이전의 분체는 표면처리를 해도 산화아 연(기본성분)의 용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자들은 이 문제를 연구한 결과, 금속산화물의 표면을 특정 화합물로 코팅처리해 기본소재의 용출 (특히 기본성분으로 산화아연을 사용한 경우, 아연의 용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침투 촉진제 NeosolueTM -Aqulio에 의한 표피, 모발에 대한 유효성분 침투 촉진 및 유효성분의 효과 향상과 메커니즘 피부 최외층의 각질(Stratum Corneum, SC)은 소수성(疎水性)이 풍부한 생체 장벽의 역할을 한다1) . 하지만 이 배리어(barrier) 기능은 화장품 유효성분이 표피에 도달하는데 방해가 된다. 지금까지도 많은 침투 촉진제가 개발되어 왔지만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침투 촉진제에 대한 요구는 아직도 높다. 그래서 우리들은 양친매성(両親媒性) 에스터인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NeosolueTM -Aqulio, 그림1)를 표피와 모발에 대한 침투 촉진제로서 설계해 합성을 실행했다2) . 이 연구에서는 NeosolueTM -Aqulio의 침투 촉진제로써의 효과를 표피 모델과 모발을 이용해 평가하고 더불어 유효성분의 효과 향상과 각질층에 침투 촉진 메커니즘에 대해서 검토했다. 그림1 Neosolue™-Aqulio의 구조 인체 재구축 표피 모델 LabCyte(J-Tec)와 Franz형 확산 셀(PermeGear)을 이용해 Neosol
펩타이드 MKP 섭취에 의한 발한의 체감에 미치는 영향 피부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으로 외부환경 (건조 또는 자외선) 이외에도 노화, 폐경, 월경주기, 수면 부족, 변비, 스트레스, 피부관리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피부의 윤택함은 피부건강과 미용에 중요한 항목의 하나이며 스킨케어 등에 의한 보습과 땀샘에서 나오는 땀에 의해 증가하고 피부표면에서 일어나는 불감증설(不感蒸泄, 신체에서 끊임없이 증발하고 있는 수분으로발한을 제외한 것)에 따라서 감소한다. 체내에서 피부로의 수분공급은 혈류에 의해 서도 좌우되고 발한 저하와 저온의 겨울은 피부의 건조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피부에서의 증발량을 억제 하는 피부막과 세포간지질량이 감소하고 있는 고령 자나 피부질환자에서도 피부건조는 일어나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조사 실시 일정 심부 체온과 발한의 양, 피부혈류량은 정(+)의 상관 관계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1) 고온환경에서의 순화에 의해 발한량이나 피부혈류량의 증가를 통해 열 방출 메커니즘이 개선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2) . 또피부의 수분량은 땀샘에서 나오는 땀에 의해 증가하고 피 부표면에서 불감증설에 의해 감소하기 때문에 피부 건강과 미용에 있
나이를 먹음에 따라 피부의 탄력이나 팽팽함의 저하는 만국공통이며 또한 성별에 상관없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피부의 처짐’은 외관 연령을 10살 이상으로 보이게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의 탄력이나 팽팽함을 유지하는 성분으로널리 알려진 콜라겐, 엘라스틴이나 피브로넥틴 등의 세포외기질의 대사 회전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나이를 먹음과 동시에 분해 쪽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피부의 처짐이 점점 나타난다. 그리고 UV증가, 스트 레스, 생활환경 등 다양한 외적, 내적 요인은 세포외 기질 성분의 분해를 촉진해 조기에 노화징후를 피부에 가져온다. 그림1 세포외기질 마커 유전자의 발현촉진 에보닉인더스트리의 TEGO® Pep up(테고 펩업)은 인체와 유사한 아미노산 배열을 가진 테트라펩타이드이다.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촉진하며 얼굴의 윤곽을 조여 주는 리프트업 효과, 그리고 주름의 경감효과가 검증된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소개한다. 세포외기질 마커(콜라겐1A1, 엘라스틴 및 피브로 넥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테트라펩타이드 1ppm을 정상 인체진피 섬유아세포에 첨가해 24시간 배양했다. 배양 후 각 유전자의 발현량을 qRT-PCR 로 분
최근 화학처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소바쥬(sauvage)나 메슈(meche) 등 모발에 대한 손상이 큰 시술이 유행하던 시절에는 하이대미지(high damage) 케어 소재의 니즈가 컸다. 하지만 내추럴 지향과 눈에 띠지 않는 컬러가 주류인 현재는 헤어케어 소재는 자외선이나 타월드라이 등 일상에서 발생하는 손상에 대한 케어나 곱슬머리 대책의 니즈가 증가 하고 있다. 그림1 캐시미어코트의 큐티클CMC 유출 손상에 대한 개선작용 모발이 손상을 입으면 모발내부에서 모발 내 성분이 유출되어 모발의 취약화나 건조, 스타일링 유지력의 저하 등을 불러온다. 이 손상모발을 케어하는 처리 제로서 많이 사용되는 것이 PPT(폴리펩타이드)이다. 모발의 약 80%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인 PPT는 모발에 침투하기 쉬우며 특히 케라틴PPT는 모발과 같은 소재이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럽고 안심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치마루 파르코스(주)에서는 이전부터 양털 천연 케라틴 유래의 고분자 케라틴 ‘프로티큐트(Proticute)’ 를 판매하고 있으며 많은 헤어케어 제품에 배합되어 왔다. 천연 고분자 케라틴인 프로티큐트는 굉장히 뛰어난
냄새 원인의 피지를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피지 세정제 최근 세정 기기(機器)의 보급과 청결에 대한 사회 의식 변화에 의해서 세정제 사용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용도나 목적에 따른 많은 상품이 개발되어 왔다. 세정제 주성분인 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좋고 보다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림1 퍼스널케어 제품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변천 퍼스널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변천을 그림1에 정리했다1) . 지방산 비누로 시작해서 그 후 세정력과 수용성이 높은 합성계면활성제를 세정제로 사용하게 됐다. 얼굴이나 몸에 사용되는 세정제도 고형 비누에서 액체 세정제로 변하기도 하고 알칼리성 에서 약산성으로 또한 보다 저자극성인 것으로 변화해 왔다. 샴푸는 매일 머리를 감기 때문에 세정 기능보다 안전성이 중시되었고 모발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감이 좋으며 자극 없이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바뀌어 왔다. 또 자극 완화제나 저자극화를 위한 제제화 기술 등의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성, 생분해성 과제 외에도 세정 기술은 아직 많은 개발 과제를 갖고 있다. 최근에는 냄새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섬유유연
의류에서 발생하는 냄새 개선 기술의 개발 최근 에너지절약 의식의 고양과 독신 세대, 맞벌이 세대의 증가에 따라 절수세탁과 세탁기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는 세탁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실제 가정에서는 세탁물을 한꺼번에 모아서 세탁하는 ‘정리 세탁’이나 ‘채움 세탁’의 증가로 소량의 물로 많은 세탁물을 세탁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1) . 그림1 고체기름 함유 오염에 대한 세정력 이러한 저욕비(低浴比, 세탁물의 양에 대한 피복 양의 비율)의 세탁은 세정력이 저하되고 오염이 축적 되기 쉬운 환경으로 세탁물의 냄새가 신경쓰였던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약 80%에 이른다. 또 지금까지의 조사에서 세탁물을 넣을 때나 수납하고 있던 의류를 꺼낼 때 느끼는 ‘찌든 기름 냄새’와 실내 건조한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쉰 땀 냄새’를 특히나 신경 쓰고 있는 소비자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2) . 우리는 지금까지 그 2가지 냄새의 근원을 개선하는 기술로서 ① 피지 오염에 착안한 기술개발과 ② 습한 의류 냄새의 주요 원인인 세균에 착안한 기술개발을 시행해 왔기에 다음과 같이 그 개요를 소개한다. 피지냄새의 주요 원인은 피지성
구강청결제를 이용한 구취 케어 최근 청결의식이 높아지면서 ‘냄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높아지고 구취에 대한 의식도 크게 변화해 왔다. 2016년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80%의 사람이 자신의 구취에 신경 쓰인 적이 있다고 회답했으며1) 구취는 연령대와 성별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이 안고 있는 고민 중 하나임을 알았다. 그림1 계면활성제의 세정력 비교 평가 구취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 뿐 아니라 때로는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하기도 한다. 구취에 신경 쓰면서 생활하는 것은 그 사람의 사회생활 자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현대에 있어서 구취 케어가 하는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구취는 그 요인에 따라 생리적 구취와 병적 구취 두가지로 크게 구별된다. 생리적 구취는 공복이나 스트 레스 등 일반적인 생리기능 변화에 의한 것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건강한 사람에게도 발생한다. 공복, 기상시간, 긴장 시에는 타액(唾液)의 감소에 의해 구강내 자정기능이 낮아져 구취가 강하게 나타난다. 한편, 병적 구취는 어떤 질환이 원인으로 구취가 발생하는 것으로 치주병이나 충치 등의 구강내 질환에 유래 하는 경우와 호흡기계나 소화기계 등 구강
복합적인 체취 성분에 대해서도 뛰어난 흡착ㆍ소취 기능을 가진 백색 활성탄 현대 사회에서 체취(體臭)는 젊은 층부터 중년, 노년층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고 있다. 따라서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발산(發散)하는 냄새에 대해서 사람들의 의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대처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림1 분체에서의 냄새전구체의 흡착률 그 하나로서 직접 몸에 약제(藥劑)를 도포하고 체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오도런트(방취제(防臭劑)) 가 있다. 그 기능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냄새가 발생하기 전에 살균, 제한(制汗) 작용을 통해서 냄새의 발생원(源)에 대처하는 방취가 있으며 발생한 냄새에 사후에 대응하는 소취(消臭) · 흡착, 마스킹 (masking)이 있다1)~3) . 전자(前者)의 살균에는 아이소프로필메틸페놀과 벤잘코늄클로라이드가 이용되면서 체취 발생 원인인 피부 상재균에 대해 직접 살균하여 즉시 효과성이 높다. 또한 제한 작용에는 징크페놀설포네이트나 알루 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클로라이드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이 피부의 에크린(eccrine) 선을 막아 냄새전구체(前驅體)를 포함 에크린 땀샘의땀 분비를 억제하고
인체 피부에서 발산되는 미량 생체 가스의 거동 - 발한 바이오마커로서의 초산 인간의 신체 표면에서 발산되는 미량의 생체 가스를 피부 가스라고 부른다. 피부 가스는 피부 표면에서 항상 발산되며 이것이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후각에 도달했을 때 체취로서 인식하게 된다. 피부 가스는 극미량의 기체이기 때문에 포집 · 분석이 어렵고 구성되어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도 그 실태가 거의 알려 지지 않았다1) .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가스 크로 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등을 이용한 피부 가스 성분의 정성분석이 시작되어 지난 몇 년 동안 피부 가스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일부 보고됨으로써 피부 가스의 종류와 발산량에는 인간의 신체적 · 생리적 상태, 질병 유무, 생활습관이나 생활환경 또는 정신적 상태 등이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4) . 그림1 피부 가스의 발산경로(모식도) 에너지 기질의 대사과정에 있어 소화기 계통에서 섭취된 산 또는 세포 내에서 생성된 산은 호흡기 계통을 통해 호흡 중에 배출되거나 신장비뇨기 계통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된다 5). 호흡 중에 배출된 산은 휘발성 산이라 부르며 그 전형적인 것이 이산화탄소이다. 한편, 젖산
[심형석 하우스부띠끄 대표이사]최근 EU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 Restriction of Chemicals)와 관련된 내용이 재조명되고 있다. REACH는 지난 2007년 1월 발효된 유럽의 신화학물질관리 제도이다. EU 역내에 1톤 이상 제조, 수입되는 화학물질의 양과 위해성에 따라 등록(Registration), 평가(Evaluation), 허가(Authorisation)와 제한 (Restriction) 규제를 받게 된다. 그동안 사전등록, 물질정보교환 포럼(SIEF), 등록(올해 5월 31일 마감)등의 절차가 진행된 바있으나 최근 일부 국내 주요 화장품 제조사에서 REACH 등록이 되지 않은 물질(substance)과 미등록 물질에 대해 제조상의 문제로 유럽 수출을 준비하는 많은 화장품 제조사와 제조판매사들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직까지 제대로 된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논쟁의 소지는 있다. 정부 관계자의 말을 빌자면 정부에서는 REACH 발효 시점에 맞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고 아직도 곳곳에서 해당 내용에 대해 홍보
물이나 알코올에 분산 가능한 나노입자형 유기 광촉매(J-cat) 에 의한 냄새의 제거 광촉매를 활용한 환경정화에서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90년대 중반 소취기능으로서의 광촉매는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가 있었던 것이었다1) . 실제로 TiO2 (티타늄다이옥사이드)에 의한 공기청정장치는 실용화 되어 지금도 병원의 대합실 등에서 쉽게 볼 수있으며 대형마트에 가면 광촉매가 담지된 거치형 소취재를 볼 수 있다. 그림1 J-cat(좌)와 n형 반도체 광촉매(우)의 원리도 광촉매의 분야에서는 자외선에만 응답하는 TiO 2 광촉매에 대해 가시광선 응답화가 커다란 과제였다. 그리고 많은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가 개발되어 왔지만 그것들의 대부분은 각종 천이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에 반해 필자들은 유기소재를 베이스로 한 광촉매에 계속 주목해 왔다. 그 특징을 아래에 정리한다. 1) 유기재료 베이스이며 금속을 전혀 함유하지 않아도 광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다. 2) 모든 가시광선에 광 양자 수율로 응답한다. 3) 마이크로 유체 디바이스에 의해 낮은 코스트로 대량생산(kg/min레벨)이 가능하다. 1번의 유기재료인 점은 종이나 플라스틱제품과 섞어서 악취를 제거
뇌 과학의 관점에서 - 냄새 ・ 향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 뇌 과학은 지난 수십 년간 급속한 비약 · 변혁을 이루어 현재도 일취월장의 기세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종래, 아직 해명되지 않은 인간 뇌에서의 신경 정보처리가 점차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뇌 과학의 발전은 주로 인간의 뇌를 외부에서 비침습(非侵襲)적으로 계측하는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바가 매우 크다. 필자 등도 인간의 뇌 활동을 외부에서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과 연구개발에 오랜 기간에 걸쳐서 관여해 왔다. 그림1 코 호흡과 냄새 ・ 향기 스니핑(sniffing)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간의 뇌와 생체에 대한 비침습적 측정 방법의 몇 가지 측정 실제 사례를 들어 소개한다. 이와 함께 최근의 뇌 과학으로 밝혀져온 인간의 뇌 기능의 새로운 지식견해, 그리고 뇌 과학의 관점부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해명된 ‘냄새 · 향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에 대해 기술한다. 이전의 뇌의 신경 생리학 연구는 동물의 뇌 생리학 연구가 중심이었다1) . 인간의 뇌는 고도로 발달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그 전모(全貌)를 해명하는 것은 정말 무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