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남주 기자]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이 최근 조사한 결과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꾸준히 향상돼 이제는 선진국 대비 86.8%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힘입어 기술격차도 점차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은 2014년도에 이어 그동안의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R&D 지원 방향 결정에 활용하고자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조사를 올해 다시 실시하고 이를 발표했다.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조사 결과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선진국 대비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2007년 67.4%, 2014년 80.1%에서 2018년 86.8%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격차는 2014년 4.8년에서 2.4년으로 단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기술을 소재, 제형, 평가, 용기용품의 4개 분야로 나누어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제형기술이 89.6%로 가장 높았고 소재기술이 84.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술은 선진국 대비 84.7%, 용기용품기술은 88.9%로 조사됐다.
그림1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화장품 기술수준은 4개 분야 모두 2014년도에 비해 향상됐으며 제형기술의 상승폭이 9.1%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재기술은 84.3%(기술격차 3.1 년)로 2014년도에 비해 5.4% 상승했으며 기술격차는 2.7년 감소했다. 제형기술은 89.6%로 2014년도에 비해 9.1% 상승해 기술수준이 가장 높았고 기술격차는 1.9년 감소했다.
평가기술은 84.7%(기술격차 2.7년)로 2014년도에 비해 기술수준은 3.4% 상승하고 기술격차는 1.8년 감소했다. 용기용품기술은 88.9%(기술격차 2.0년)로 2014년도에 비해 기술수준은 8.9% 상승하고 기술격 차는 3.7년 감소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제형 분야 2개의 세부기술은 한국이 세계 최고기술 보유국 으로 평가됐다는 점이다. 즉, 불안정 효능성분의 안정화 기술과 사용감과 사용성 차별화 제형기술 수준은 한국이 세계 최고로 평가됐다. 불안정 효능성분의 안정화 기술의 발전에는 기능성 화장품 허가제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기능성 화장품 허가의 취득을 위해 항산화 효과가 높은 피부효능성분들(비타민A 유도체, 비타민C 유도체, 이데베논 등)을 안정화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이제는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피부효능성분의 안정화기술 의뢰를 받는 수준까지 발전했다는 것이 다. 사용감과 사용성 차별화 제형기술은 특히 에어쿠 션과 같이 소비자 니즈에 맞춘 차별화 상품 개발에서 국내 기업들이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기업들이 계속해서 신제품을 원하는 까다로운 국내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제형을 제공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제품을 개발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