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2.3℃
  • 구름많음강릉 16.3℃
  • 구름많음서울 15.3℃
  • 구름많음대전 14.7℃
  • 맑음대구 12.7℃
  • 맑음울산 13.4℃
  • 맑음광주 15.9℃
  • 맑음부산 17.4℃
  • 구름조금고창 14.0℃
  • 맑음제주 19.8℃
  • 구름많음강화 14.2℃
  • 구름많음보은 13.2℃
  • 구름많음금산 11.8℃
  • 구름많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화장품 ‘케미 포비아’, 냉정한 시각 필요하다

EWG 등급 어플 소비자 신뢰도 맹신 "정확한 정보는?"

 

[코스인코리아닷컴 홍성인 기자]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좀 더 깐깐해지고 있다. 과거 단순히 ‘좋은 화장품’이라는 기능적 인식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안전성’까지 고민하는 보다 구체성을 띄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 부분일수도 있다. 그동안 무심히 지나쳤거나 몰랐던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사회적 관심사로 떠올랐고 이는 소비재라는 특수성상 빠른 여론을 형성했다.

 

특히 2011년 발생한 ‘가습기살균제 사태’는 그동안 크게 생각하지 않았던 화학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 심지어 이때부터 화학(chemical)과 공포증(phobia)의 합성어인 ‘케미포비아(화학포비아)’라는 용어가 주목을 받기도 했고, 이 용어는 최근에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당시 이 사건은 정부와 기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계기가 됐다. 기업에서는 국민을 상대로 진솔하지 못한 사과로 공분을 샀고, 정부 역시 사건을 축소시키기에 급급했다.

 

화장품과 관련해서도 화학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높은 상황이다. 화장품 보존제로 쓰인 ‘파라벤’이 호르몬 교란과 발암 성분이 있다는 이유로 큰 논란이 됐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높은 ‘파라벤’을 방부제로 주로 사용해 왔기에 당시 파장은 적지 않았다.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8년 5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