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금)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2.7℃
  • 구름조금서울 9.7℃
  • 구름조금대전 9.9℃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9.2℃
  • 맑음부산 10.9℃
  • 맑음고창 8.8℃
  • 구름많음제주 10.4℃
  • 구름조금강화 7.0℃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9.0℃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미래소비자행동, 반려동물 정책기반 “진료표준 등 후속과제 노력 필요”

반려동물 양육 가구 62.1%, 진료비용 과도하거나 매우 과도, 유실유기 반려동물 대책 마련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최근 반련동물 화장품 시장이 국내에서 빠르게 확산중인 가운데 반려동물보험 개발과 행동교정, 미용 등 새롭게 증가하는 서비스의 질향상과 사료가격 등에 대한 비용 감소를 위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소비자행동는 씨앤아이리서치에 의뢰해 반려동물 돌봄에 대한 실시한 소비자 인식조사 따르면, 응답자 1,013명 중에 현재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2.1%였다.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고 응답한 사례 중 성별로는 남성 359명(66.4%), 여성 270명(57.2%)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9.2%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는 40대 218명(66.3%), 50대 이상 188명(60.6%), 30대 155명(57.6%), 20대 68명(64.8%)으로 40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관련 설문조사 현황 (단위 : %)

 


거주형태로는 자택 603명(95.7%), 자취 22명(3.5%)이었고 가족과 생활하는 경우 529명(84.1%), 혼자생활 84명(13.4%)으로 자택에서 가족과 생활하는 경우가 반려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월수입 400이상 297명(47.2%), 월수입 300~399 157명(25.0%), 월수입 200~299 90명(14.3%), 월수입 100~199 53명(8.4%), 월수입 100 미만 32명(5.1%) 순으로 경제 상태가 높은 반려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양육 중인 반려동물의 종류는 개(78.4%)의 응답 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고양이(34.3%), 물고기(11.9%), 햄스터(4.1%) 등의 순으로 고양이 기르는 반려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반려동물 양육으로 드는 한 달 평균 비용은 5~10만원 미만이 38.8%로 가장 높았고 10~15만원 미만(27.8%), 15만원 초과(17.2%), 5만원 이하(15.6%)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양육비용의 세부지출 항목은 사료구입이 94.6%로 가장 높았고 간식 구입(75.8%), 동물병원비(56.0%), 애견용품 구입(43.1%) 등의 순이며 경제상태에 따른 사료구입과 간식구입의 지출비용은 각각 94.0%, 74.6%로 경제상태와 상관없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진료비용 적정도 설문 (단위 : %)

 


반려동물 진료비를 지출 한 경험에 대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8.5%,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21.5%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진료비를 지출한 경험이 있는 경우 반려동물 진료비용의 적정에 대해 비용이 과도하거나 매우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74.4%였으며 적정하다고 생각한 비율은 10.5%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반려동물 진료항목 표준화, 진료비 표준수가제, 진료비용 사전고지와  공시제도는 지난해 수의사법 개정을 통해 정책기반이 마련됐다. 그러나 표준수가제는 수의사 단체의 반발 등으로 간단해 보이진 않는다.

 

이에 대해 미래소비자행동 관계자는 “후속과제로 유실, 유기 반려동물 대책 마련이 시급하게 필요하며 반려동물보험 개발과 행동교정, 미용 등 새롭게 증가하는 서비스의 질향상과 사료가격 등 비용부담 감소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미래소비자행동이 씨앤아이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했으며 전국 만 19세~69세 성인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 9일부터 10일까지 2일간에 걸쳐 온라인 패널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최대허용오차는 ± 3.08%p다.

 

관련태그

#미래소비자행동 #반려동물  #진료표준 #후속과제  #반려동물양육가구62.1% #진료비과도  #74.4% #진료항목표준화  #씨앤아이리서치 #수의사법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