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3 (금)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9.2℃
  • 구름많음대전 -4.8℃
  • 맑음대구 -2.9℃
  • 맑음울산 -1.5℃
  • 광주 -3.8℃
  • 맑음부산 -0.5℃
  • 흐림고창 -4.1℃
  • 비 또는 눈제주 2.8℃
  • 구름조금강화 -9.5℃
  • 흐림보은 -6.4℃
  • 구름많음금산 -6.3℃
  • 흐림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2.1℃
  • 구름많음거제 0.2℃
기상청 제공

[신소재 신원료 소개] 북해도산 유용성 천연 착색 소재

농업인 소득증대, 생산기반 유지 도움 줄 원료 시코닉스리퀴드 MD(J)

# 북해도산 유용성 천연 착색 소재

 

시코닉스리퀴드 MD(J)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Boraginaceae)] 뿌리에서 얻어진 색소 성분을 Octyldodecyl Myristate에 용해시킨 의약외품, 화장품 원료이다. 지치는 홋카이도에서 규슈, 한반도, 중국에 자생하고 6~7월 희고 작은 꽃을 피운다(그림1). 일본에서는 만요집이나 고금와가집에서 읊어질 정도로 예로부터 친근한 식물이었다.

 

지치의 뿌리(그림2)는 자근(紫根)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보라색 색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염료로도 매우 중용돼 왔다. 성덕태자가 정한 관위 12단계 최고위 관의 색이 보라색이었다는 점 등 자근이 만들어내는 보라색은 예로부터 기품이 있는 고귀한 색으로서 취급돼 왔다.

 

그림1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Zucc.
(Boraginaceae)]

 

 

자근은 한방에서도 이용되며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서(약물서)인 신농본초경에도 수록돼 해열이나 해독, 항염증제로 사용됐다. 자근이 배합된 가장 잘 알려진 한약은 하나오카 아오슈(華岡青洲)가 발명한 연고 ‘자운고’로 치질이나 화상, 습진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자근의 주요 색소 성분인 아세틸시코닌과 시코닌(그림3)은 유용성 성분이므로 시코닉스리퀴드 MD(J)는 Octyldodecyl Myristate를 용제로 해 사용하고 있다.

 

 

관련태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화장품 #코스메틱  #2022년12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신소재신원료 #시코닉스리퀴드MD(J)  #북해도산 #유용성천연 #착색소재  #이치마루파르코스(주) #일본현지화 #농업인소득증대 #생산기반유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