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식
ε―polylysine이 미생물의 세포벽을 투과하여 세포막과 이온결합한다 ⇒ ε―polylysine과 접촉한 친수성의 세포막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화된다 ⇒ 세포막이 손상(용균)되어 세포 내 물질이 유출된다 ⇒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한다.
[헤어에 사용 시 :10% solution, 1% 처방 기준]
모발강도 향상 작용
○ 건강한 아시아인 모발에 브릿지 처리를 실시하여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스프레이하여 건조시킨 후 레오메터로 모발강도를
측정.
○ 0.1% polylysine처리모, 건강모, 브릿지 처리모 순서로 모발의 강도가 강화됨.
모발감폭 개선 작용
○ 브릿지 처리 모발에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스프레이 및 건조 처리하여 마찰감 테스터에서 평균 마찰계수 MIU를 측정.
○ 브릿지 처리모에 Polylysine을 처리하면 건강모와 같을 정도로 브릿지 처리모의 마찰계수가 낮아짐.
모발 대전 방지 작용
○ 브릿지 처리 모발에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스프레이 및 건조 처리하여 항온 항습실 내에서 브러싱 모발의 퍼짐을 관찰.
○ 정전기 방지 등으로 머릿결의 퍼짐이 억제됨.
큐티클 보호 작용
○ 건강한 아시아인 모발을 브릿지 처리 후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스프레이 및 건조 후 전자현미경에서 큐티클을
관찰.
○ 박리된 큐티클이 안정되어 큐티클을 보호
헤어칼라 농염화 작용
○ 야크모 (백발)을 브릿지 처리 후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도포하여 시판중인 적염산화 염색제로 염모 처리를 실시.
○ 적색모의 경우 색깔이 짙어지는 것을 확인
헤어칼라 색유지 향상
○ 야크모(백발)을 브릿지 처리 후 시판중인 적색 산화 염모제로 염색, 염색모에 대해 10% solution 후 1% Polylysine을 첨가한 20% 라우릴황산 TEA 샴푸를 사용하여 색빠짐 정도를 관찰.
○ 적색모에서 샴푸 세정시 Polylysine을 첨가한 경우 색빠짐의 정도가 낮아짐을 확인.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