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안전성 평가하는 시험법의 개요 - 새로운 OECD TG495 / ROS 어세이의 위치 화장품을 사용하거나 의약품을 외용, 내복했을 때 성분 일부가 태양광과 상호작용해 피부에 염증 등이 야기(惹起)될 수 있다. 광선(光線)과민증으로 부르는 증상은 광독성(光毒性)과 광(光)알레르기 반응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1). ‘광독성’에는 원인 성분이 태양광에 조사(照射)되어 생성하는 활성산소가 피부에서 홍반이나 부종(浮腫)인 급성반응을 일으킨다. ‘광 알레르기 반응’에는 활성산소가 원인이 되면서 면역 응답에 의해 접촉성피부염과 약진(藥疹, 알레르기성 발진), 두드러기 등이 일어난다(그림1). 이러한 광선 과민증이 일어나려면 광반응성의 원인 물질이 다음 3 가지 요건2) 을 충족해야 한다(그림2). 그림1 광선과민증의 증세 발생과 광안정성 평가법 · 태양광(파장영역 290~700nm)을 흡수한다. · 흡수된 에너지에 의해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종 (種)을 생성한다. · 태양광에 노출되는 조직(피부나 눈)에서 충분한 양(量)이 존재한다. 광선과민증은 생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외인성(外因性) 성분에 의해서 증세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별로 인지되지 않고 소비자가
#재구축 인체 3차원 표피모델에 의한 피부자극성 시험법 피부자극성은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평가항목이다. 기존 피부자극성 평가는 토끼를 이용한 생체시험(Draize시험)1) 으로 실시됐지만 유럽에서 동물애호가의 높은 관심을 받아 1980년대 유럽위원회는 유효성이 검증된 동물실험대체법이 이용 가능할 경우에는 안전성시험에서 동물의 사용을 줄여 나갈 것을 권장하기로 결정했다. 그림 OECD GD203 피부부식성과 피부자극성의 IATA12) 화장품에 관해서는 2003년 유럽 화장품 규제 제7차 개정을 통해 유럽지역에서는 2004년 최종 제품의 동물에 의한 시험이 금지되고 또한 2009년부터 화장품 원료에서도 동물에 의한 안전성 시험이 금지되어 있으며 반복투여독성, 생식독성, 독성동태시험(toxicokinetics) 이외의 항목에서 동물시험을 실시한 화장품은 판매할 수 없게 됐다. 2013년 이후에는 대체법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항목에서 화장품 제품과 원료의 동물시험은 금지되어 있다2). 오늘날 전 세계에서 in vitro나 in silico 시험법 개발이 진행되어 다양한 동물실험대체법이 이용 가능해졌다. 재구축 인체 3차원 표피모델은 in
#STE법과 in vitro 시험법의 조합에 의한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안자극성 평가 향장품을 눈 주위에 사용하거나 잘못 사용했을 때 또는 실수로 우발적으로 눈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향장품을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안자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국제연합(United Nation :UN)은 2003년 ‘화학물질의 분류와 표시에 관한 세계 조화(調和) 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1)을 발행했고 안자극성의 GHS 구분은 주로 Draize 시험2)의 결과가 사용되어 왔다. 그림1 STE법의 시험개요, 예측모델, 적용한계 그러나 동물애호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과 EU지역을 시작으로 한 동물실험 금지(EU 화장품지령 제7차 개정3))도 있어서 Draize 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in vitro 시험법의 개발이 진행됐다4)~7). 2009년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의 시험 가이드라인(Test Guideline; TG)에는 D
#동물실험을 이용하지 않는 전신독성의 평가 전신독성은 화학물질이 적용부위(노출부위)를 통해 전신순환계에 침입하고 적용부위로부터 떨어진 부위에서 나타나는 독성의 반응1)을 말한다. 그 의미는 폭넓지만 본고에서는 화장품의 포지티브 리스트 개정 요청이나 의약부외품(약용화장품) 신청 시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필요한 시험2)3)중 단회투여독성시험과 반복투여독성시험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러한 시험에서는 시험물질 투여 후에 체중이나 사료 섭취량의 변화, 상태의 관찰, 혈액이나 소변검사, 병리검사 등을 실시해 표적장기(標的臟器)나 중요한 유해작용을 특정(特定)하고 용량-작용의 관계성 등을 분명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4). 그림 In vitro 경피흡수 시험용 확산 셀 최근 화장품에서는 동물실험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에 의한 안전성 평가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의약부외품 신청 등에서 동물실험대체법의 활용이 권장되고 있다5). 지금까지 동물실험을 대체할 새로운 시험방법이 많이 개발되어 왔지만 서두에 기술한 바와 같은 전신 독성시험의 목적을 달성 가능한 시험법은 가이드라인화 되어 있지 않다. 현재 단회투여독성은 세포를 이용한 시험법이 알려져 있으며6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세계 3대 미용 화장품 박람회인 '2019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 박람회'(Cosmoprof Asia Hong-Kong 2019)가 11월 12일부터 15일까지 홍콩 컨벤션센터와 세계무역센터에서 동시에 열린다. 올해 24회째를 맞이한 이번 박람회에는 50개국에서 3,030개 업체가 참여한다. 이번 박람회 참여 분야는 화장품, 헤어, 스파, 이미용 기기, OEM ODM, 원료 등 화장품에 대한 모든 분야를 다루는 만큼 세계 화장품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읽는데 최적화된 박람회로 손꼽힌다. 또 참가사 간 계약 성사율이 높은 편으로 바이어와 개발자가 첫 거래를 시작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물 이용하지 않는 화장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화장품의 안전성 시험에 의한 평가는 2001년 4월 화장품 제도 개정 전에는 9항목(1회 투여 독성, 피부 1차 자극성, 연속 피부 자극성, 피부감작성, 광독성, 광감작성, 안자극성, 유전독성, 패치테스트)에 대해 신규 화장품 성분 신청이 필요하며 주로 동물을 이용하는 시험으로 인간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것이 공적인 지침이었다1). 그림1 In silico 독성 예측 시험 하지만 화장품의 제도 개정(규제 완화)에 의한 이공적 지침은 폐지되어 원칙적으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원료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 기업의 자기 책임 하에서 배합이 가능해졌다2). 이로 인해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이 이전보다 더욱 요구되고 있다. 시세이도를 포함한 화장품 업체에서 자신들이 개발한 제품을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화장품에 이용하는 원료의 안전성 보증에는 많은 시험이 필요하다. 화장품은 피부에 적용된 뒤 표피 아래의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액 순환에 들어가 적용 부위 이외의 전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국소 독성부터 전신독성까지 모든 보증 항목(9항목에 반복 투여 독성, 생식 발생
#화장품 안전성 평가방법의 국내외 동향 요즘 화장품 등의 안전성 평가방법을 재고해야 할 상황에 있다. 그 이유는 ‘동물실험의 3Rs(Reduction : 감소, Refinement : 고통의 경감, Replacement : 대체)’1)의 보급에 따른 EU의 화장품 규제이다2). EU는 동물실험을 이용한 제품을 시장에서 판매금지(marketing ban) 처리를 한 것에 이어서 2013년 3월부터 성분의 동물실험 금지가 시행되고 나서(testing ban) 6년이나 경과했다. 그동안 EU와 같은 규제는 세계적으로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적인 경제활 동을 감안해 일본에서도 많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동물실험 폐지를 선언하고 있으며 어떻게 하면 동물실험을 실시하지 않고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약용화 장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 표1 동물실험대체법(대체)이 관계한 OECD의 인체 건강에 관여하는 TG(2019)4)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동물실험대체시험법(이하, 대체법)의 행정적인 수용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도 검증(validate)된 대체법의 활용에서 일치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후생노동성으로부터 사무연락 ‘의약부외품의 제조판매
[코스인코리아닷컴 전문위원 김기정]환경부는 지난 8월 28일 ‘자원의 절약과 재활 용촉진에 관한 법률(자원재활용촉진법)’ 하위법령의 40일간 입법예고를 통해서 오는 12월 25일 부터 재활용이 힘든 폴리염화비닐(PVC) 포장재 사용 금지와 재활용 용이성에 따른 포장재질의 등급평가, 표시 의무화를 발표했다. 올해 12월 25일부터 개정되는 사항의 핵심적인 내용은 앞으로 재활용의 용이성에 따라 포장재를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등의 4개 기준으로 등급화가 되며 재활용이 어려운 폴리염화비닐(PVC)을 포장재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포장재 재질의 등급평가와 표시가 의무화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PVC는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염화비닐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기체와 수분차단, 모양변경 등이 뛰어나 식품용 랩, 햄과 소시지 필름, 용기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에 환경부가 입법예고한 규정은 화장품 업계에도 바로 적용이 된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해 12월 24일 ‘자원재활용촉진법’ 개정에 따른 세부 내용을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았던 사항이다. 환경부는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관련 업계와 유관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유일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전문저널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10월호가 발간됐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R&D분야 전문 매체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10월호는 '화장품의 안전성과 과제'를 주제로 ▲화장품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국내외의 동향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화장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동물실험을 이용하지 않는 전신독성의 평가 ▲STE법과 in vitro 시험법의 조합에 의한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안자극성 평가 ▲재구축 인체 3차원 표피모델에 의한 피부자극성 시험법 등 총 10개 특집으로 구성했다. 이번호에는 특별기획으로 지난 10월 8일 실시한 '국내 화장품원료 산업 육성과 발전방안 과제 토론회' 내용을 게재했다. 토론회에서 실시한 주제발표 내용을 각 연자별로 정리해 상세히 담았다. 최신 원료 연구 동향에서는 모아캠의 '피부 장벽 강화 원료'와 바이오제닉스의 'Caffeine 210 & Sallic 210' 원료 내용을 소개했다. 세미나 지상중계 섹션은 더가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19년 10월호는 '화장품의 안전성과 과제'를주제로▲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국내외의 동향▲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화장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동물실험을 이용하지 않는 전신독성의 평가 ▲STE법과 in vitro 시험법의 조합에 의한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안자극성 평가 ▲ 재구축 인체 3차원 표피모델에 의한 피부자극성 시험법▲광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의 개요 - 새로운 OECD TG495 / ROS 어세이의 위치▲피부감작성시험(h-CLAT)의 위음성 평가를 개선하는 시험법의 개발▲화장품에 대한 리스크 평가▲화장품 수탁시험 현황에서 본 안전성 확보의 과제와 향후의 방향성▲화장품의 안전성 정보로 SSCI-Net의 활용과 앞으로의 과제 등의 특집을 구성했다. [칼럼] 올해말 시행 앞둔 환경부 포장재 개정사항 바로알기 [특별기획] 국내 화장품원료 산업 육성과 발전방안 토론회 [특집] 화장품의 안전성과 과제 1.화장품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국내외의 동향 Spread of non-animal test methods in the safety a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자연주의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 '마녀공장'이 신제품 '퓨어&딥 클렌징 폼' 모델인 김세정과 함께한 광고 메이킹 필름을 공개했다. '수분만 남기고 다 지웠다'라는 광고 문구를 표현하기 위해 물을 활용한 광고 컨셉트가 눈에 띈다. 영상 속에서 김세정은 완벽한 한 컷을 위해 여러차례 물 세례를 맞으면서도 특유의 청량감 넘치는 밝은 미소를 유지해 현장 스태프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이번에 마녀공장이 새롭게 선보인 '퓨어&딥 플렌징 폼'은 밀도 높은 초미세거품이 모공 깊숙이 숨은 노폐물을 제거하고 모공 수축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인체 적용 테스트까지 완료했다. 최근 유명 유튜버가 방송을 통새 제품을 추천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지난 9월 브랜드 모델로 발탁된 김세정은 프로젝트 그룹 '아이오아이(I.O.I)로 데뷔 후 현재는 그룹 구구단의 메인보컬을 맡고 있으며 예능,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화장품이 글로벌 시장에서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내보다 먼저 화장품 산업화를 달성한 일본은 화장품 분야별 특화를 통해 분업화와 공동 협력을 통해 화장품 관련 업체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일본 화장품 산업은 화장품제조업을 중심으로 OEM ODM과 원료, 부자재, 기계, 임상기관 등 화장품 산업의 유관단체들이 긴밀한 협력으로 화장품 산업 전체의 발전을 이끌어 내고 있다. 현재 일본 화장품 산업 업계는 도쿄와 오사카를 중심으로 화장품제조업체, 판매업체, OEM ODM업체, 원료업체, 부자재업체 등이 개별 협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고 도쿄에 일본화장품산업연합회를 구성해 이들 개별협회와 긴밀한 협력구조 속에서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지는 이중 화장품원료 업체들의 모임인 일본화장품원료협회 기무라 사다카츠 회장을 만나 일본 화장품원료협회 운영과 화장품원료시장 동향을 들었다. # 일본화장품원료협회가 설립된 배경과 목적은 무엇인가? 현재 일본에는 2개의 화장품원료협회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화장품원료협회’와 오사카 지역을 중심으로 모인 ‘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뷰티 산업 박람회인 '2019 대한민국 뷰티 박람회(K-뷰티엑스포 코리아)'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린다. 올해 11회째를 이번 박람회에는 지난해보다 규모가 확대되어 국내외 뷰티 유망기업 500개, 800개 부스로 운영될 계획이다. 특히 올해 박람회는 우수 뷰티 중소기업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이와 함께 최신 유행하는 LED 미용마스크 제품을 비롯해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의료미용, 이너뷰티 등 각종 뷰티관련 생활용품 2만점 이상의 뷰티 제품이 전시될 예정으로 참관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항노화’에 대한 2017년 미국, 유럽, 세계 특허출원을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출원 정보를 소개한다. #미국, 유럽, 세계 특허 (2017. 1. 1~2017. 12. 31) 17-1. 피부의 노화를 막는 새로운 1,2-디페닐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그 화장품 용도 (US-A-170362152, L'OREAL(프랑스), 2017. 12. 21) 이 발명의 피부노화 징후를 방지 및 /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은 피부에 식 (I), 그 광학 이성체, 스테레오 이성체, 디아스테레오 이성체 및 / 또는 그 염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일종의 1, 2-diphenylethylene glycol 유도체가 AMPK의 활성, 특히 정상 인체각화세포에 의한 인산화 AMPK의 생성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노화 중에 있는 피부세포의 활력이 감소되는 것을 막고 이와 관련된 증상의 시작을 늦추기 위해 특히 유용하다. 식(I) 본 발명의 1, 2-diphenylethylene glycol 유도체의 화학구조 본 발명의 화합
#건조피부에 대한 비트 유래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함유물의 효과 피부의 최외층인 각질층은 10~20층의 각질세포와 그 각질층의 세포 사이를 천연보습인자나 세포간 지질이 메우는 구조이며 화학물질의 투과저항으로서 장벽 기능, 수분유지 기능도 갖고 있다. 각질층에서 수분유지 기능의 손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장벽 기능의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프로테아제 저해제1)나 지질2)의 도포에 의해 각질층의 장벽 기능 회복이 촉진된 보고가 있다. 또 플러스 전하의 전류를 흘려 보내면 장벽 기능의 회복이 지연되며 마이너스 전하 전류를 흘려 보내면 회복이 촉진된다3). 그림1 비트 유래의 대표적인 글루코실세라마이드의 구조 최근 각질층 손상의 회복을 목적으로 세포간지질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스핑고지질인 세라마이드가 주목받고 있다. 건조피부의 기능회복을 위해 일부 화장품에는 천연 세라마이드, 식물성 세라마이드, 바이오 세라마이드, 합성 세라마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식물성 세라마이드는 쌀, 옥수수, 곤약, 비트 (beet) 등 다양한 식물에서 낮은 코스트로 추출되어 경구 섭취를 통해 건조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되고 있다4). 쌀 유래의 글루코실세라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