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M, 건강한 모발그린 공중합체큐티클 밀봉 효과 규명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세바식애씨드코폴리머(Hydrogenated Castor Oil/Sebacic Acid Copolymer, HCOSA)는 화학 처리와 기계적 손질로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물질이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활용해 린스 오프 컨디셔너의 큐티클 밀봉 효과와 리브 온 세럼의 갈라진 모발 끝 복구 능력을 입증하는 여러 연구가 수행됐다. SEM 평가 결과, HCOSA가 큐티클 밀봉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COSA 처리 그룹이 플라세보 처리 그룹보다 3회의 샴푸 세정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또 HCOSA가 끝이 갈라진(split end) 모발 섬유를 복구하는 능력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유럽인의 모발에서는 HCOSA가 함유된 리브온 세럼을 바르면유럽의 천연 벤치마크 상품과 플라세보보다 즉각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모발 끝 갈라짐 복구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시아인의 모발에서는 HCOSA를 바르면 처리 직후 모발 끝 갈라짐의 개선 효과가 가장 좋게 나타났고 플라세보와 아시아의 합성 벤치마크 상품보다…
# 사탕무 펄프서 추출한 바이오 기반 계면활성제 이 연구는 재생자원 유래의 바이오 기반 계면활성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응용에 관한 것이다. 사탕무 펄프로부터 유도되고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대체제로서 계면활성제 혼합물 rMix와 N-Mix을 소개한다. 이 혼합물은 상용 계면활성제와 비교할 때 우수한 용해도, 기포력과 표면장력 저하 능력을 나타낸다. 특히 이 계면활성제는 석유화학 유래 계면활성제인 SDS와 SLES에 비해 피부 자극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피부에 대해 순하며 피부에 민감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 점도에 관한 연구에서는 제형 혼합물에서의 호환성이 입증돼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APB, cocamidopropyl betaine)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지속가능성 고찰이란 환경 영향 분석을 위한 전체 수명 주기 평가와 함께 용매와 촉매 재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계면활성제 개발에 관한 것을 말한다. 산업 표준과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최적화와 스케일업 노력이 필요하지만이들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성능을 갖춘 지속가능한 원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닌다. 바이오 기반 계면활성제는 재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오염 관리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제품 생산에는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오염 관리가 필요하다. 미생물 오염은 제품 무결성과 소비자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해 잠재적인 리콜과 브랜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생물 오염원의 동정, 추적과 추세 파악에 있어 환경 모니터링(EM : Environmental Monitoring) 프로그램의 중요한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강력한 오염 관리 전략은 종 수준의 미생물 동정, 조기 경보 시스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과 미국약전(USP)의 <60>, <61>, <62> 장과 같은 규제 표준준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규제들은 가시성을 높이고 공정과 시설의 관리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미생물 추적과 추세 파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철도 시스템의 비유를 통해 감지되지 않은 미생물 오염이 생산 라인 전체에 어떻게 확산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그림1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제품 제조 시설의 비유로서 철도 네트워크는 많은 교차 경로가 있어 오염이…
#화장품 생산사용되는 물의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3부 : 오류 방지와 오류 감지시 대응 방안 [본 논문의 제1부 ‘순도 요구사항과 급수 시스템’은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2024년 6월호에 게재됐으며제2부 ‘샘플링과 제어 분석’은 2024년 9월호에 게재됐음] 제3부에서는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원료와 세척용)의 공급과 관련된 일반적인 실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실패는 화장품의 미생물학적 품질과 안전성에 위험이 될 수 있다. 수 처리 공정에는 이러한 실패가 여러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것들은 기술적 시스템의 실패 특히 항균시스템 요소의 효율성 실패일 수 있다. 그러나 절차에 대한 사양, 조치(예: 소독, 유지 보수)의 이행, 품질 관리 시험(샘플링, 시험방법)에 대한 부적절한 준수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오류를 방지하려면 모든 공정, 조치와 장비가 적절하게 정의되고 모니터링 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함과 오류가 감지되면 즉각적인 근본 원인 분석, 위험 평가, 적절한 시정 조치가 필요하다. 수 처리와 사용 공정은 미생물학적 품질 관리(MQM) 시스템에 통합돼 사양과 프로세스 정의, 오류 감지와 시정 조치를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 민감성 피부위한 차세대 진정제 민감성 피부와 그에 따른 가려움, 작열감, 팽팽함, 따가움 등 다양한 감각 피부 증상은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소비자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베난쓰라마이드(avenanthramide) 200∼250ppm으로 표준화된 농축 귀리 추출물인 SymCalmin® Avena [INCI: Maltodextrin, Avena Sativa(Oat) Kernel Extract, 성분명 : 말토덱스트린, 귀리커넬추출물]가 피부 미생물에 친화적이고 COSMOS(Cosmetic Organic Standard) 인증을 받은 최신 천연 제품으로 가려움증을 예방하고 피부 편안함과 보습을 개선해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능에 대해 논의한다. 민감성 피부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관심사이며 전 세계 소비자의 73%가 몇 년 전보다 자신의 피부가 더 민감해졌다고 생각하는 등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1]. 민감한 피부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반응성 피부나 어린 피부처럼 자극을 받아 붉어짐의 징후와 가려움증, 화상, 따끔거림과 같은 감각을 보이기 쉬운 피부, 알레르기 유발 물질, 다양한 환경적 요인 또는 스트레스의 심리적 영향으로 건조하고
류자현 더마프로 수석연구원 건국대학교 화학과, 더마프로 수석연구원, 유효성 평가팀 항노화팀 팀장…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2월호는 지난해 11월 SOFW JOURNAL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이번호 퍼스널 케어 주제로 ▲민감성 피부를 위한 차세대 진정제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3부 : 오류 방지와 오류 감지 시 대응 방안 ▲생산라인 전체에 주목 :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오염 관리 ▲SEM, 건강한 모발에 대한 그린 공중합체의 큐티클 밀봉 효과 규명 등 소개했다. 신원료신소재 코너에는 모공 개선 효과가 탁월한 찔레꽃 추출물에 관한 연구 등으로 구성됐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컬럼] 한국 화장품의 글로벌 전략 [퍼스널 케어] 1. 민감성 피부를 위한 차세대 진정제 M. Herrmann, M. Reichenbach, L. Baraton, N. Chevrot 2.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3부: 오류 방지와 오류 감지 시 대응 방안 U. Eigener, L. Maksym, J. Nussbaum, M. Pflock, U. Rossow, R. Simmering 3. 생산라인 전체에 주목: 홈…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지현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2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2월호는 퍼스널케어 ▲민감성 피부를 위한 차세대 진정제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3부 : 오류 방지와 오류 감지 시 대응 방안 ▲생산라인 전체에 주목 : 홈 케어와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오염 관리 ▲SEM, 건강한 모발에 대한 그린 공중합체의 큐티클 밀봉 효과 규명 등을 제시…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주)강스템바이오텍(217730, 대표 나종천)이 피부 오가노이드 기반 아토피 피부염 모델 제작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을 마쳤다. 이번 특허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한 결과로만능성 줄기세포 유래 편평 피부 오가노이드 제작기술과 이를 활용한 아토피 피부염 모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피부 오가노이드는 실제 피부와 동일한 편평한 형태로 제작돼 기존 오가노이드에서 뚜렷하게 확인할 수 없던 세부 피부층(각질층, 과립층 등)을 구현했다. 특히 피부에 바르는 물질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경피(표피층) 투여, 정맥투여 등의 경로를 모사해다양한 유효물질에 대한 스크리닝이 가능하다. (주)강스템바이오텍은 피부 오가노이드에 아토피 피부염 특징을 반영한 모델을 구축했고 후보물질에 대한 효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특허를 바탕으로 (주)강스템바이오텍은 피부 오가노이드 기반 유효성 평가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LG전자와 협업해 피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의료기기 효능평가를 진행한 바 있으며질환모델링과 표준화 작업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은 물론 특정 질환에 대한 효능평가 사업영역…
#천연고분자 키토산응용 - 화장품용 서방성 보존제,탄진 응집제,이산화탄소 흡착제 특성 평가 천연고분자 물질인 키토산의 응용성에 대해 확인해 보기 위해키토산을 서방성 방출, 환경 분야에 응용해 화장품 보존제, 수 처리, 기체 흡착제로써사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Part I에서는 천연고분자인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을 이용해 core-shell type 나노입자를 제조해 core에 화장품 보존제로 많이 사용하는 트로폴론을 담지해 화장품 보존제로써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에 소수성인 Stearic acid(SA)를 가교제 EDC를 이용해 LMWSC-g-SA를 제조하고 이에 보존제인 트로폴론을 dialysis method에 의해 담지해 서방성 약물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LMSAT를 제조했다. LMSAT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1H NMR, DLS, Fluorophotometer와 TEM을 통해 분석했으며 LMSAT로부터 트로폴론의 담지 효율, 방출 거동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확인했다. LMSA의 세포독성 여부는 MTT assay를 통해 평가했으며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 화장품 제형에 따른 인공피부의 경피흡수도 비교 연구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기를 기대하지만 피부의 장벽 기능으로 인해 흡수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화장품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제품으로 성분과 제형이 제품의 효과, 안정성,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 그 중에 화장품 제형은 제품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 편의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질감, 사용감, 보관 방법 등에 영향을 미치며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에도 영향을 주어 제품의 효능, 효과를 결정한다. 화장품 제형에 따라 성분의 활성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형은 제품의 성능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화장품 산업과 피부과학 연구에서는 제형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제형의 특성이 피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다른 화장품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아데노신 성분을 단일 또는 이중으로 적용해 인공 피부에서 경피흡수도를 비교했다. 에센스 제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부직포에 함침시켜 침적 마스크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율이 더 높았다. 이는 부직포가 공기 중 수분의 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8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8월공개된 화장품 분야 특허 건수는 총 201건으로전월 227건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그 중 해외 기업체는 46건을 공개하여 전체의 약 23%를 차지했으며이는 전월 19%에 비해 소폭 증가한 수치다. 반면, 국내 기업체는 73건(36%)의 특허를 공개해 전월 106건(47%)에 비해 크게 감소했으며국공립기관과법인도 8건(4%)으로 전월 대비 감소했다. 대학 산학협력단은 47건(23%)을 공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