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WHO(세계보건기구)의 '판데믹' 공식 선언으로 '코로나19'에 대한 관심이 더 집중되고 있다.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가 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내 FMCG(일용소비재) 시장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최대 마케팅 리서치 기업 칸타(KANTAR)는 코로나19 발생 관련 국내 FMCG 시장의 변화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국내에서 코로나19 공포가 본격화된지난해 12월 30일부터지난 2월 23일까지 총 8주동안 칸타 월드패널사업부가 운영하는 5,000명의 가구패널을 대상으로 일용소비재(FMCG) 구매 내역을 수집한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했다. # 올해 1, 2월 전년 동기대비 국내 FMCG 시장 구매액 14.4% 성장, 식품 23.6% '성장' 비식품 4.9% '감소' 지난 1, 2월 국내 FMCG 시장 구매액은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4% 성장했다. 식품 분야는 23.6%의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비식품 분야는 4.9% 하락했다. 전체 FMCG 시장 성장에는 소비자가 한 번 살 때 평균적으로 지출하는 회당 구매액이 15.0% 상승하면서 크게 기여했다. 같은 기간 동안 구매 빈도는 1.9…
[코스인코리아닷컴 오영주 기자] 3월 14일 화이트데이에 여성들이 갖고 싶은 선물 1위는 화장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커머스(대표 홍은택)는 지난 3월 9일 '카카오톡 선물하기' 홈 상단탭에 화이트데이 시즌탭을 신설하고 '화이트데이에 받고 싶은 선물' 베스트 랭킹을 공개했다. 카카오커머스가 지난 3월 2일부터 8일까지 이용자들의 투표를 집계한 내용에 따르면, 화장품이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주얼리, 3위는 향수였다. 뷰티 관련 제품들이 사탕과 초콜릿을 제치고 받고 싶은 선물 상위권을 나란히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이와 관련 카카오커머스 측은 "화이트데이는 무조건 '연인-사탕'이라는 공식을 깨고 가족, 친구, 동료에게 마음을 전할 수 있도록 건강식품, 패션잡화, 무드등 등 다채로운 상품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현재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에는 디올, 에스티로더, 입생로랑, 조말론런던 등 약 70여 개의 글로벌 뷰티 브랜드가 입점했다. 특히 맥, 크리니크, 에스티로더 등 일부 브랜드에서는 카카오프렌즈 콜라보레이션 한정판 상품을 출시한 바 있다. 그밖에 재미있는 아이디어 상품들을 기획하는 플랫폼 '명랑커머스 노선이'와 콜라보레이션 기획한 '공찐당…
[코스인코리아닷컴 오영주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경기 불황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립스틱 효과로 인한 에르메스, 구찌 등 ‘명품 립스틱’에 대한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SG닷컴에 따르면,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구매 성향으로 인해 지난 1월 27일부터 3월 4일까지 화장품 관련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0%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 중 명품 화장품 매출은 63.6% 증가했으며 특히 립스틱(33%) 매출이 두드려졌다. SSG닷컴 관계자는” 경기가 불황일수록 비싼 립스틱이 잘 팔리는 ‘립스틱 효과’로 인해 명품 립스틱 매출이 증가했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위축되자 명품 립스틱이 잘 팔렸다”고 분석했다. # 명품 립스틱 ‘루즈 에르메스’ 비싼 가격에도 소비자 몰려 SSG닷컴은 지난 3월 4일부터 립스틱 위주로 31개의 ‘에르메스 뷰티’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중 립스틱 제품인 '루즈 에르메스'는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가 183년 역사상 처음으로 뷰티 코스메틱 제품 중 처음 출시한 립스틱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제품은 5년 전부터 개발이 시작됐으며 에르메스의 부문별 주요 디렉터들이 합심해 개발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3월 빅데이터를 통해 화장품 전문점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결과 올리브영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이니스프리, 3위는 미샤가 각각 마크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화장품 전문점 브랜드인 미샤, 이니스프리, 아리따움, 더페이스숍, 에뛰드하우스, 토니모리, 스킨푸드, 더샘, 네이처리퍼블릭, 잇츠스킨, 올리브영, 홀리카홀리카, 비욘드에 대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통한 평판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화장품 전문점 브랜드평판 2020년 3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지난 2월 3일부터 3월 3일까지 13개 화장품전문점 브랜드 빅데이터 45,908,855개를 통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 화장품 전문점 브랜드 빅데이터 27,488,941개와 비교해 보면 67.01% 증가했다. 3월 화장품 전문점 브랜드평판 순위는 올리브영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이니스프리, 미샤, 더샘, 더페이스샵 등이 TOP 5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에뛰드하우스, 토니모리, 네이처리퍼블릭, 아리따움, 비욘드, 스킨푸드, 홀리카홀리카, 잇츠스킨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1위를 차지한 올리브영 브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헤어전문점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리안헤어`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준오헤어, 토리헤어 등이 TOP 3에 랭크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헤어전문점 23개에 대해 지난 2월 4일부터 3월 4일까지 빅데이터 2,622,474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소비습관을 파악했다. 지난 1월 브랜드 빅데이터 1,889,030개와 비교해 보면 38.83% 증가했다. 그 결과 헤어전문점 브랜드 중에서 준오헤어, 리안헤어, 토리헤어, 로이드밤, 블루클럽, 박승철헤어스튜디오, 이철헤어커커, 박준뷰티랩, 헤어망고, 제오헤어 등이 TOP 10 상위권을 차지했다.이어서아이디헤어, 이가자헤어비스, 오다헤어, 리소헤어, 지노헤어, 나이스가이, 에이치스타일, 권홍헤어, 리챠드프로헤어, 미랑컬헤어, 아이앤투헤어, 이만헤어, 이훈헤어칼라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헤어 전문점 브랜드 평판 2020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이번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헤어 전문점 브랜드평판지수에서는 참여지수, 소통…
[코스인코리아닷컴 오영주 기자]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트러블 케어’ 화장품이 때아닌 인기를 누리고 있다.트러블 관련 제품은 일반적으로 황사, 미세먼지의 영향이 극심한 4월 혹은 피지 분비가 과도한 여름철이 성수기다. 요즘 날씨에 수요가 높아진 것은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CJ올리브영이 지난 2월 1일부터 3월 4일까지의 매출을 살펴본 결과, ‘트러블 케어’ 관련 상품 매출이 전년 동기간 대비 42% 증가했다.피부가 마스크 접촉으로 자극을 받는 동시에 습도도 높아져 여드름, 뾰루지 등 피부 고민이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제품군으로 살펴보면, 트러블이 발생한 국소 부위에 붙여 사용하는 ‘패치류’가 32%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인기 상품TOP100에는 ‘케어플러스 상처커버 스팟패치’ ‘넥스케어 블레미쉬 클리어 커버’ ‘닥터원더 안티스팟 원더패치’ 등이 이름을 올렸다. 화장품 성분으로는 트러블 케어에 대표적인 ‘티트리’가 인기를 얻었다. 제품명에 티트리를 내세운 기초 화장품은 같은 기간 매출이 전년 대비 78% 급증했다. 또 자극받은 피부를 급히 진정 관리하려는 수요가 늘며 티트리 성분 마스크팩이 30%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또…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우리나라 화장품 소비자들은 수면 부족 등의 생활습관이 주름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연구소 기반의 고기능성 브랜드 아이오페가 최근 공식 SNS에 공개한 ‘주름 리포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아이오페는 지난 1월 6일부터 19일까지 13일간 개최된 ‘주름연구소’ 이벤트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주름 고민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10대부터 80대에 이르는 남녀 고객 3,119명이 설문에 응해 주름 고민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 고객 48.2% 주름 등 노화 요인 '현대인 라이프 스타일'과 연관 응답 이번 설문에 응답한 고객의 48.2%는 주름 등 노화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했다. 수면 부족, 스트레스, 음주와 흡연, 다이어트 등의 생활습관이 자외선 노출이나 유전과 같은 자연적 요인보다 주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25.9%는 ‘스마트폰 사용하며 고개를 떨구는 자세’ 등 불균형한 자세도 주름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꼽았다. 즉,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주름에 취약한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노화의 가장 큰 적이라고 지적했다. # 평균…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마스크팩 브랜드평판 2020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메디힐이 1위를 차지했다. 2위인AHC는 압도적으로 소비자 지수가 높았고 3위는 리더스가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국내 마스크팩 브랜드 30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를 지난 1월 26일부터 2월 27일까지 22,390,550개를 평판 분석했다. 지난 1월 브랜드 빅데이터 16,415,764개와 비교하면 36.40% 증가했다. 2월 마스크팩 브랜드평판 순위는 메디힐, AHC, 리더스, 닥터자르트, 설화수, 은율,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 차앤박, 듀이트리 등이 상위 TOP 10을 차지했다. 이어서 센텔리안24, 프리메라, 홀리카홀리카, 듀이셀, 리리코스, 다자연, 미구하라, 아비브, 시드물, 제이엠솔루션, 마녀공장, 더마픽스, 구달, 맥스클리닉, 셀더마, 안나홀츠, 그뤼너씨, 더마토리, 아이샤드, 메디앤서 등의 순으로 분석했다. 마스크팩은 얼굴 모양에 맞추어 제작된 시트를 이용해 피부에 다양한 영양분과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화장품이다. 마스크팩은 기능에 따라 수분 공급, 미백, 노화방지, 리프팅, 진정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을 비롯해 일본, 이탈리아 등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증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화장품 수출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관세청과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잠정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올들어 지난1월 0.7% 소폭 상승한데 이어서 2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가 증가한5억 2,700만 달러로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했던 화장품 수출액은 7월부터 상승세로 돌아서7월 0.2% 소폭 증가한데 이어서 8월 0.9%, 9월 14.6%, 10월 8.8%, 11월 9.8%, 12월 28.8% 증가로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들어서도 증가세는 계속 이어져 1월 0.7% 소폭 증가한데 이어서2월에는 13.5%로 두자리수 증가까지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5대 유망 소비재 수출 추이 (단위 : 백만달러, %) 2월 국내 전체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기관 비교해 4.5% 증가한 412.6억 달러, 수입은 1.4% 증가한 371.5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1.2억 달러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로션 브랜드평판 2020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세타필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피지오겔, 설화수 등이 TOP 3에 랭크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로션 30개에 대해 지난 1월 25일부터 2월 26일까지 로션 브랜드 빅데이터 25,222,627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브랜드와 관계 분석을 통해 브랜드평판을 분석했다. 지난해 1월 로션 브랜드 빅데이터 15,370,628개와 비교하면 64.10% 증가했다. 로션 브랜드평판 2020년 2월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로션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소통량, 커뮤니티 노출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와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로션 브랜드평판 2020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
[코스인코리아닷컴 오영주 기자] 지난해 화장품 매장 폐점률은다른 업종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수 역시 줄어들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가맹본부의 재무 현황과 가맹점 수, 평균 매출액 등을 분석한 ‘2019년말 기준 가맹산업 현황’에 따르면, 화장품 업종은 폐점률(16.8%)이 개점률(4.0%)보다 12.8%로 높아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컸다. 주요 업종과 비교해 보면 커피업종은 개점률 18.5%로 가맹점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폐점률은 10.3%로 8.2%로 정도 차이가 났다.가맹점 수는지난해 보다 22% 감소했다. 공정거래위원회 2019년말 기준 가맹산업 현황 # 화장품 가맹점수 3,407개, 브랜드수 22개, 평균매출액 427만원, 존속기간 16년 주요 도소매 업종 현황 분석에서 화장품의 가맹점 수는 3,407개로 편의점(42,712)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으며 지난해 보다 22% 감소했다. 브랜드 수는 22개, 브랜드별 가맹점 수는 154.9개로 전부 두번째로 높았다. 가맹점 평균매출액은 427만원으로 3번째에 해당했으며 브랜드 존속기간은 16년, 상위 5개 브랜드 비중은 82.7%였다. 주요 도소매 업종 브랜드 평균 존속기간…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수진 기자] 샴푸 브랜드평판 2월 분석결과 케라시스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려, TS트릴리온 등이 TOP 3에 랭크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샴푸 브랜드인 케라시스, 려, TS, 부케가르니, 쿤달, 엘라스틴, 다슈, 미쟝센, 닥터시드, 아모스, 헤드앤숄더, 도브, 아베다, 러쉬, 시세이도, 비욘드, 댕기머리, 팬틴, 록시땅, 프레시팝, 오가니스트, 사이오스, 제이숲, 아로마티카, 르네휘테르, 케라스타즈, 리엔, 댄트롤, 빅그린, 키라니아 등 30개를 대상으로 브랜드 평판분석을 실시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1월 22일부터 2월 23일까지 빅데이터 69,156,246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샴푸 브랜드 소비습관을 파악했다. 지난 1월 브랜드 빅데이터 56,139,062개와 비교해 보면 23.19% 증가했다. 샴푸 브랜드평판 2020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이번 분석에서 1위를 차지한 케라시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326,834, 소통지수 2,161,780, 커뮤니티지수 2,568,19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056,810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3,588,574와 비교하면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