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2 (일)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8.8℃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8.6℃
  • 맑음울산 8.5℃
  • 맑음광주 10.6℃
  • 맑음부산 13.1℃
  • 맑음고창 6.4℃
  • 맑음제주 16.7℃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3.8℃
  • 맑음금산 4.1℃
  • 맑음강진군 9.2℃
  • 맑음경주시 5.8℃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정책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사상 첫 6조 돌파

2019년 수출실적 65억 달러(7조 6,000억) 최근 5년 평균 26% 성장, 생산실적 전년대비 4.9% 증가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6조 1,503억 원으로 2018년 5조 4,698억 원과 비교해 12.4% 증가하며 처음 흑자를 낸 2012년부터 계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한화 약 7조 6,086억 원)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매년 평균 26.0%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또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2018년 15조 5,028억 원 보다 4.9%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화장품 수출입 실적과 무역수지 현황

 

 

지난해 화장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무역수지 8년 연속 흑자 ▲러시아연방 등 북방국가 수출 증가 ▲수출 규모 세계 4위의 견고한 입지 확보 ▲생산실적의 꾸준한 증가 등으로 분석된다.

 

#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6조 달성, 8년 연속 흑자 달성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근 8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으며 지난 2015년 1조 원, 2018년 5조 원을 돌파한데 이어 2019년에는 6조 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한화 약 7조 6,086억 원)로 2018년 62억 6,019만 달러(한화 약 6조 8,898억 원)보다 4.2%(달러 기준)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평균성장률은 26.0%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연도별 화장품 무역수지 실적 현황 (단위 : 백만원, %)

 

 

연도별 수출액은 지난 2015년 25억 8,780만 달러에서 2016년에는 41억 7,842만 달러로 증가했고 2017년에는 49억 4,464만 달러로 2018년에는 62억 6,019만 달러로 증가했다. 2019년에는 65억 2,479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 화장품 수입은 지난해 12억 5,058만 달러(한화 약 1조 4,583억 원)로 2018년 12억 9,026만 달러(한화 약 1조 4,200억 원)보다 3.1%(달러 기준)가 감소했다. 연도별 수입액은 지난 2015년 10억 8,770만 달러에서 2016년에는 10억 8,020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고 2017년에는 11억 7,623만 달러로 증가했다. 또 2018년에는 12억 9,026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12억 5,058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우리나라 연도별 국가별 화장품 수입실적 현황 (단위 : 천달러, %)

 

 

# 러시아 등 북방국가 수출 증가 '두각' 일본, 베트남, 영국, 호주등 수출시장 다변화 특징

 

국내 화장품의 국가별 수출실적을 볼 때, 중국으로 수출이 30억 6,015만 달러(한화 약 3조 5,685억 원)로 2018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홍콩, 미국, 일본 등의 순이었다. 국가별 수출점유율은 중국(46.9%) > 홍콩(14.2%) > 미국(8.1%) > 일본(6.2%) 등이다.

 

특히 러시아연방으로 수출이 2018년 대비 34.1% 증가했고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의 수출이 각각 117.3%, 111.3%나 증가하며 북방지역의 수출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또 일본과 베트남, 영국, 호주가 2018년 대비 각각 32.7%, 32.7%, 8.5%, 22.9% 증가하는 등 중화권 뿐 아니라 호주와 유럽 등 세계 각지로 수출 시장이 확대됐다.

 

한편, 우리나라가 지난해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 7,636만 달러, 한화 약 4,389억 원)였으며 그 뒤로 미국과 일본, 태국, 독일 등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연도별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 현황 (단위 : 천달러, %)

 

 

# 화장품 수출 규모 세계 4위 '3년 연속' 상위국가 자리매김 '화장품 수출강국' 입지 강화

 

국가별로 화장품 수출규모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수출 규모는 지난해 65억 2,479만 달러로 프랑스,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4위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실적은 프랑스 171억 2,493만 달러 > 미국 103억 6,045만 달러 > 독일 83억 7,304만 달러 > 한국 65억 2,479만 달러 순이었다. 이는 지난 2017년 49억 4,464만 달러를 수출해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로 부상한 이래, 3년 연속 수출 상위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도별 각 국가별 수출실적 현황 (단위 : 천달러, %)

 

 

# 지난해 생산실적 16조 2,633억 전년대비 4.9% 증가 최근 5년간 '지속성장'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2018년 15조 5,028억 원과 비교해 4.9%가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생산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5년에는 전년보다 19.7%가 증가한 10조 7,328억 원으로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으며 2016년에는 21.6%가 증가한 13조 0,514억 원을, 2017년은 3.6%가 증가한 13조 5,155억 원을, 2018년은 14.7%가 증가한 15조 5,028억 원을 2019년에는 4.9%가 증가한 16조 2,633억 원을 기록했다.

 

연도별 화장품 생산실적 현황 (단위 : 개, 억원, %)

 

 

유형별 생산금액은 기초화장용이 9조 8,123억 원(60.33%)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색조 화장용 2조 1,338억 원(13.12%), 두발용 1조 8,800억 원(11.56%), 인체 세정용 1조 5,786억 원(9.71%) 등의 순이었다. 또 눈 화장용 2,950억 원, 두발 염색용 2,929억 원, 면도용 1,282억 원, 영유아용 497억 원, 방향용 465억 원, 손발톱용 323억 원, 목용용 100억 원 등이었다.

 

화장품 유형별 생산실적 현황 (단위 : 억원, %)

 

 

# 지난해 LG생활건강 4조 9,603억(30.50%) 1위 차지,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TOP3 마크

 

업체별로는 (주)LG생활건강이 4조 9,603억 원(30.50%)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주)아모레퍼시픽 4조 9,154억 원(30.22%), 애경산업(주) 3,751억 원(2.31%), (주)코리아나화장품 2,332억 원(1.43%), (주)카버코리아 2,162억 원(1.33%) 등으로 TOP 5를 차지했다. 이어서 지피클럽 1,844억 원, 이니스프리 1,636억 원, 코스토리 1,516억 원, 에이블씨엔씨 1,454억 원, 해브앤비 1,410억 원 등으로 상위 1권을 차지했다.

 

한편, 지난해 TOP2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점유율은 60.72%였고 상위 20개 업체의 점유율은 74.83%였다.

 

상위 10개 책임판매업체 생산실적현황 (단위 : 억원, %)

 

 

# 지난해 상위 10개 생산품목 LG생활건강 6개, 아모레퍼시픽 4개 모두 '석권' 럭셔리 브랜드 '후' 두각

 

지난해 상위 10개 생산품목은 TOP2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모두 석권했다. LG생활건강의 대표 럭셔리 브랜드인 후가 6개를 차지했고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와 라네즈 브랜드에서 4개를 차지했다.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브 후 천기단 화현로션이 4,378억 원을 생산해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브 후 천기단 화현밸런서가 3,862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윤조에센스가 2,974억 원을 생산해 차자했다. 4위와 5위도 설화수가 차지해 설화수 자음유액이 1,990억 원을 생산했고 설화수 자음수가 1,933억 원을 생산했다.

 

2019년 상위 10개 품목 생산실적 현황 (단위 : 억원)

 

 

#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15,000개 돌파 매년 가파르게 증가, 화장품업종 확대 등 요인 

 

화장품 책임판매업체는 매년 빠르게 증가해 지난해 15,000개를 넘어섰다. 화장품 책임판매업체는 지난 2013년 3,884개와 비교하면 4배 이상 급증했다. 화장품 책임판매업체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화장품 시장 진입장벽이 거의없고 정부에서 화장용 물티슈, 화장(고형)비누, 흑채, 제모왁스 업체 등을 화장품업종으로 전환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연도별 화장품 책임판매업체는 지난 2013년 3,884개에서 2014년 4,853개로 증가했고 2015년에는 6,422개로, 2016년에는 8,175개로, 217년에는 11,834개로 처음으로 1만개를 돌파했다. 이후 2018년에는 12,673개로 증가했고 209년 15,707개로 15,000개를 넘어섰다.

 

연도별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현황 (단위 : 개)

 

 

# 기능성화장품 꾸준한 성장 지난해 5조 3,448억 7.3% 증가, 확대된 6개 제품 생산실적 1% 미미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5조 3,448억 원으로 2018년 4조 9,803억 원 보다 7.3% 증가했다. 기능성화장품은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성장률도 8.5%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능성화장품의 생산 실적은 지난 2015년 3조 8,559억 원에서 2016년에는 4조 4,439억 원으로 증가했고 2017년에는 4조 8,556억 원으로, 2018년에는 4조 9,803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5조 3,448억 원을 기록했다.

 

미백과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중 한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3조 1,022억 원으로 2018년 2조 6,930억 원 보다 15.2% 증가한 반면, 두 가지 이상 기능을 가진 제품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특히 새로 확대된 염모(1.56%), 탈모완화(1.42%), 여드름성 피부완화(0.06%), 제모(0.02%), 아토피성 피부보습(0.00%), 튼살로 인한 붉은선 완화(0.01%) 기능성화장품들의 생산실적은 전체의 1%대로 아직 시장에서 반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아토피성 피부보습(0.00%) 제품은 거의 제품 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대한 관련 제도 개선이 지적되고 있다.

 

연도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 현황 (단위 : 억원, %)

 

 

이의경 식약처장은 “화장품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낸 것은 업계의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정부의 규제개선과 지원이 빚어낸 결과”라며 “식약처는 앞으로도 맞춤형화장품 등 미래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와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화장품 규제조화지원센터’ 운영,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국가 간 규제협력 강화 등 ‘K-뷰티 세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식약처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6조  #수출실적 65억 달러  #생산실적 16조 2  633억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