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5 (토)

  • 흐림동두천 5.3℃
  • 흐림강릉 10.8℃
  • 연무서울 6.3℃
  • 흐림대전 7.4℃
  • 흐림대구 7.5℃
  • 구름많음울산 10.0℃
  • 흐림광주 4.5℃
  • 부산 8.0℃
  • 흐림고창 6.1℃
  • 흐림제주 9.8℃
  • 흐림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5.5℃
  • 흐림강진군 6.8℃
  • 흐림경주시 10.4℃
  • 흐림거제 6.5℃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 황산앵초잎추출물, 다각적인 항노화 작용

콜라겐, 엘라스틴 과잉분해 방지, 피부 탄력성 저하 방지, 노화 방지 유효한 식물추출물

# 황산앵초잎추출물의 다각적인 항노화 작용

 

최근 고령자 인구가 급증하고 있어 안티에이징 작용에 의한 효과적인 퍼스널 케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피부의 노화는 내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반복적으로 받음으로써 생긴다1)2). 이들 요인은 노출 부위에 자주 나타나는 주근깨, 검버섯, 간반(간 질환성 기미)과 같은 색소 침착이나 주름, 피부 처짐 등의 피부 외관 변화로 이어진다.

 

피부의 색소 침착은 멜라노사이트에서의 티로시나아제 촉매 반응에 의한 멜라닌의 과잉 생성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서 환경 자극, 특히 자외선(UV)에 의해 촉진된다. UV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의 케라티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 사이의 상호작용에 근거한 연구는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림1 황산앵초잎추출물의 (a)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와 (b)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

 

 

케라티노사이트 유래의 엔도텔린-1(Endothelin-1, ET-1)3)4) ,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SCF) 5) ,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6)7) 와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8) 등 미토겐(mitogen) 또는 멜라노겐(melanogen)으로서 파라크린(paracrine)적으로 작용하는 인자가 멜라노사이트를 자극하고 멜라닌 생성촉진 또는 멜라노사이트 증식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주름이나 피부 처짐 등의 진피 구조 변화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성분의 노화에 따른 감소 또는 변성에 의한 것이다9)10). 또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호중구로부터 과잉으로 호중구 엘라스타아제(elastase)가 분비되어 ECM를 분해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호중구 엘라스타아제 활성의 저해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의 과잉 분해를 방지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성 저하를 방지할 가능성이 있다11). 표피에서는 노화에 따라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이 저하된다12).

 

이러한 노화에 따른 변화는 표피의 대사 회전 속도의 저하와 세포 주기의 연장으로 이어져 턴오버를 저하시킨다. 또 각질비후막(Cornified Envelope, CE)은 각질층의 장벽 기능에 관여해 표피의 구조유지에 필수적이다. CE는 인볼루크린(involucrin)이나 로리크린 (loricrin) 등을 포함한 몇 가지 단백질이 효소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Transglutaminase-1)에 의해 가교되어 형성됨에 따라13)14) 이들 기질이나 효소의 생성을 높이는 것은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의 노화 방지에 유효한 식물추출물을 탐색해 황산앵초잎추출물이 유망한 원료임을 실증했다.

 

관련태그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FJK  #화장품연구개발전문저널 #2021년2월호  #최신연구 #황산앵초잎추출물 #다각적인항노화작용  #안티에이징작용 #피부탄력성저하방지 #유효한식물추출물  #피부장벽기능강화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