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2 (수)

  • 흐림동두천 0.0℃
  • 흐림강릉 5.4℃
  • 서울 0.9℃
  • 대전 1.1℃
  • 대구 0.3℃
  • 울산 2.3℃
  • 광주 3.1℃
  • 부산 4.3℃
  • 흐림고창 4.4℃
  • 흐림제주 13.1℃
  • 흐림강화 0.3℃
  • 흐림보은 0.2℃
  • 흐림금산 0.7℃
  • 흐림강진군 4.5℃
  • 흐림경주시 0.6℃
  • 흐림거제 3.1℃
기상청 제공

기획시리즈

웨딩드레스는 왜 흰색일까?

조정혜의 재미있는 화장품 이야기 (26)


 
결혼과 신부를 떠올리면 대부분 ‘화이트’를 생각한다. 화사한 결혼식 촬영사진들과 식장분위기, 결혼식 당일의 신부의 드레스를 보면 공통적으로 화이트가 주된 색깔을 이루고, 신부 만큼 흰색과 어울리는 사람은 없다. 

웨딩 시즌의 화보를 봐도 보통 신부를 표현하는 색으로는 흰색을 이길 만한 것이 없다. 마치 다른 컬러와 신부를 매치하면 순결하지 못하고 깨끗해 보이지 않는 듯한 고정관념이 어느 정도 자리 잡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순백의 웨딩드레스, 화사하고 어여쁜 흰색베일, 손에 쥔 부케까지 흰색이 비비드하고 튀는 색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생에 한번 뿐인 화사한 신부의 색이 됐을까? 

흰색의 웨딩드레스는 신부의 순결을 의미하고 흰색의 베일은 정절을 뜻하며 부케로 흔히 이용되는 장미, 카네이션, 프리지어, 양란 등의 흰색 꽃은 오렌지 꽃에서 유래된 것으로 다산과 순결을 상징한다. 

순결과 정절, 그리고 다산 이러한 의미들은 지금은 많이 퇴색되고 희석되기는 했지만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신부에게 주어진 의무처럼 생각되고 아름다운 신부의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흰색으로 치장하고 주어진 책임과 의무를 무의식적으로 강요했던 하나의 의식이었다. 


 
흰색’ 하면 순결이라는 의미가 가장 먼저 떠오르기는 하지만 사실 흰 드레스는 시대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로마시대 이래 흰색은 축하의 상징이었고, 18세기 후반에는 흰색은 부의 상징이 됐다. 

흰색이 순결과 순백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이어진 것은 19세기 초가 지난 이후 여전히 이어져 오고 있는데 고대 이집트에서는 흰색 웨딩드레스가 일반 복식처럼 가볍고 고운 흰색 리넨 드레스를 입고 순결의 표시로 백합 화환을 만들어 썼으나 웨딩 컬러로서 흰색이 등장한 것은 15세기부터였다. 

1406년 영국의 필립파 공주가 에릭 왕자와 결혼하기 위해 덴마크로 왔을 때 그녀의 신부복이 흰색 실크 가운이었다. 1558년 스코틀랜드에 메어리 여왕은 프랑스로 시집갈 때 흰색의 웨딩드레스를 입었는데, 당시 중세에 웨딩드레스 색상으로 주로 붉은색이 사용됐었다.

프랑스의 왕실에서는 흰색이 장례의 색이 됐던 시기로 메어리 여왕이 흰색의 웨딩드레스를 입은 것으로 인해 파문이 일긴 했지만 이를 계기로 부유한 귀족층과 부르주아 가문의 신부들이 흰색의 웨딩드레스를 본격적으로 입기 시작하면서 18세기 말엽까지 귀족층 웨딩드레스의 색상으로 흰색이 선택되는 계기를 만들게 됐다. 

르네상스를 지나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청교도 혁명의 영향으로 실용적이고 활동적인 의상이 발전하면서 영국에서는 결혼식이 간소하게 치러지기 시작하면서 흰색의 웨딩드레스를 입는 전통이 왕족과 귀족 등 일부 계층을 제외하고는 일시적으로 사라지기도 했었지만, 1813년 흰색 웨딩 가운과 베일을 담은 패션 그림이 유명한 프랑스 여성잡지 'Jounal des Dames'에 최초로 실리면서 흰색은 가문과 재력의 과시의 의미에서 순결의 상징성이 다시 부각됐다.



▲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웨딩드레스와 웨딩슈즈(1840년)


 
1840년에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흰색 공단에 오렌지 꽃으로 장식된 웨딩드레스를 입은 이후에 왕실 전통인 은빛드레스 대신 흰색드레스를 입었고, 이후에 하얀 드레스는 영국의 전통이 돼 이어져 왔으며 그 이후 흰색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인 웨딩드레스의 색상으로 정착하게 됐다. 

하지만 순백의 웨딩드레스는 현대에 와서는 과거와는 다르게 꼭 순결한 신부만을 상징하지는 않는다. 

검정색 예복을 입은 남자는 아내를 비롯한 자신의 가족을 깊은 포용력으로 받아들이고, 흰색의 드레스를 입은 여자는 남자를 비롯한 자신의 가족을 높은 배려심으로 함께 보살피고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게 됨으로서 시간이 흐르고 디자인이 달라져도 흰색의 웨딩드레스가 간직한 엄숙하고 순결한 의미만큼은 종교적 의식을 초월해 신부를 아름답게 돋보이게 한다.


조정혜 나우코스 영업기획실 부장
필자 약력 :
성결대학교 출강, 로레알 파리 본사(국제상품기획부) 
레브론, LG생활건강 근무
연락처 : 019-359-7718 
E-mail : cjsoleil@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