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갈파래 효소가수분해물 유래 펩타이드피부건강 기능성연구 인체는 정상적 기능을 방해하는 외부 독성 물질들에 일정하게 노출돼 만성 질환들을 방지하는 건강-증진제의 광범위한 사용을 유발하는 심각한 건강상태와 질병을 일으킨다. 최근 항암, 진통효능, 항염. 혈압 조절, 항균효과와 장기능의 강화처럼 다양한 건강증진 혜택을 제공하는 생물활성 펩타이드들의 구조, 조성과 서열 특성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합성제품인 경우는 약물에 기인하는 신장독성, 신경독성, 심장독성과 생식독성을 포함해 부작용들을 피할 수 없다(Gutier-rez et al., 2016; Oun et al., 2013; VanAcker et al., 2016). 그러나 식품단백질은 장기간 식품으로 사용해 안전성이 확인됐기 때문에 특히 생물활성 펩타이드의 자원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생물활성 펩타이드들은 다양한 아미노산 서열과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인체에 어떤 건강증진 혜택을 제공하는 식품단백질의 특이한 절편들이다(Wu et al., 2017). 식물과 동물성단백질의 일차구조에서 암호화된 불활성 아미노산 서열들은 원래 단백질에 유리되고 활성분자로 전환돼 호르몬-유사 활성을 가진 생리 조
# 천연물 리간드의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조절통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분자 기전 연구 피부 장벽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체내 수분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 장벽의 건강은 필라그린(FLG)과 같은 단백질에 크게 의존한다. 필라그린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에서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를 유연하게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는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로 널리 사용되지만 장기간 사용 시 피부 장벽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스테로이드가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 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표피 지질의 생산이 줄어들고 피부의 pH 가 상승하며 코르네오데스모솜의 밀도가 감소한다. 코르티솔은 2가지 주요 수용체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와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MR)에 결합해 작용한다. GR에 결합하는 것은 주로 항염증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만 MR에 결합하면 필라그린의 생산 감소와 같은 피부 장벽 기능의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사 활성을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본 연구에서는 MR 길항제가 코르티솔의 부
#천연고분자 키토산응용 - 화장품용 서방성 보존제,탄진 응집제,이산화탄소 흡착제 특성 평가 천연고분자 물질인 키토산의 응용성에 대해 확인해 보기 위해키토산을 서방성 방출, 환경 분야에 응용해 화장품 보존제, 수 처리, 기체 흡착제로써사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Part I에서는 천연고분자인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을 이용해 core-shell type 나노입자를 제조해 core에 화장품 보존제로 많이 사용하는 트로폴론을 담지해 화장품 보존제로써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LMWSC)에 소수성인 Stearic acid(SA)를 가교제 EDC를 이용해 LMWSC-g-SA를 제조하고 이에 보존제인 트로폴론을 dialysis method에 의해 담지해 서방성 약물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LMSAT를 제조했다. LMSAT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1H NMR, DLS, Fluorophotometer와 TEM을 통해 분석했으며 LMSAT로부터 트로폴론의 담지 효율, 방출 거동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확인했다. LMSA의 세포독성 여부는 MTT assay를 통해 평가했으며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 화장품 제형에 따른 인공피부의 경피흡수도 비교 연구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기를 기대하지만 피부의 장벽 기능으로 인해 흡수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화장품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제품으로 성분과 제형이 제품의 효과, 안정성,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 그 중에 화장품 제형은 제품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 편의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질감, 사용감, 보관 방법 등에 영향을 미치며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에도 영향을 주어 제품의 효능, 효과를 결정한다. 화장품 제형에 따라 성분의 활성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형은 제품의 성능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화장품 산업과 피부과학 연구에서는 제형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제형의 특성이 피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다른 화장품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아데노신 성분을 단일 또는 이중으로 적용해 인공 피부에서 경피흡수도를 비교했다. 에센스 제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부직포에 함침시켜 침적 마스크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율이 더 높았다. 이는 부직포가 공기 중 수분의 휘
# 지용성과 수용성 유효성분동시 경피전달위한 마이크로니들 기반 약물전달시스템연구 화장품을 사용해 피부에 전달하는 유효성분은 크게 지질 성분을 사용하는 지용성과 친수성 성분을 사용하는 수용성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지용성은 보습과 수분 유지, 피부 보호 등에 장점이 있으나 무거운 사용감과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 자극이 일어나는 등의 불편함을 유발하고 수용성은 피부 자극이 적고 안정적이며 흡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약물 전달의 한계성과 낮은 지속력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질이 서로 다른 유효성분을 동시에 경피로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DMCS)과 마이크로니들 유사입자(Microneedle-Like Particles, MLP)를 활용해 기존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화장품에서의 응용 가치와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in vitro 시험에서 KS 세럼은 MLP TP 실험군이 가장 높은 침투 깊이와 단면적 수치를 보였고 CS 세럼 사용 실험에서는 DMCS가 가장 높은 침투 깊이와 단면적 수치를 보였다. 광학…
#올레산anti-androgen mechanism 조절통한 안드로겐성 탈모증예방,치료 효과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인간에서 흔히 발생하는 탈모 유형으로 안드로겐인 testosterone이 5α-reductase에 의해 더 강력한 안드로겐인 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돼 androgen receptor(AR)와 결합해 발생한다. Androgenetic alopecia(AGA)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안드로겐을 조절하는 anti-androgen mechanisms에 달려있으며 크게 안드로겐 억제, 5α-reductase 억제, AR 억제 3가지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DPCs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5α-reductase 억제능을 가진 unsaturated fatty acids(UFAs)의 5α-reductase 억제능과 모발 주기 조절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최적의 UFA를 탐색하고 DHT로 유도된 AGA 동물 모델에서 최적의 UFA의 AR 조절과 모발 성장 촉진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적의 UFA가 AGA 발병 메커니즘에 관여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in vitro 실험에서는 UFAs의 안전성과 hDPCs에
# 석류씨 추출물40~60대 여성두피와 모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석류씨 추출물이 두피 건강과 모발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70% 에탄올로 추출한 석류씨 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토닉을 제조해 피시험자들에게 적용한 후 두피와 탈모관련 두피 수분, 유분, 각질, pH, 홍반, 미생물, 표면색 도, 모발 개수, 모발 두께, 모낭당 모발 개수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실험 결과,석류씨 추출물 두피 토닉 도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약 5.69 높은 두피 수분량을 나타냈고(p<.05), 석류씨 추출물 두피 토닉 도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약 109.2 낮은 두피 유분량을 나타냈다(p<.01). 석류씨 추출물 두피 토닉 도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약 7.08 낮은 두피 각질 함량을 나타냈고(p<.01), 석류씨 추출물 두피 토닉 도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약 0.47 낮은 두피 pH를 나타내 pH 정상범위에 속할 수 있었다(p<.01). 또석류씨 추출물 두피 토닉 도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약 1041.5 낮아진 두피 미생물량을 나타냈다(p<.01). 두피 표면색도(명도지수, 황색도)는…
#블랙 커런트(Ribes nigrum L.) 추출물이용한 모발염색 특성 천연염료로 사용되는 과일중에는 폴리페놀, 비타민 C, 비타민 A, B, E와 같은 항산화제가 풍부해 암, 관절염, 동맥경화증, 심장병, 염증, 뇌 기능장애와노화 촉진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발병률을 낮춘다고 보고되고 있다(Lim et al., 2007). 그 중에서도 베리류에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안토시아닌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한 부류로 식물체의 꽃, 과실, 줄기, 잎, 뿌리 등에 분포하며 적색, 자색, 청색을 나타내는 수용성 색소로 pH에 따른 안정성(Francis, 1992)과 염기성 상태에서의 열안정성(박성준 등, 1994)이 떨어져 색소로서의 이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 들어 안토시아닌의 다량 섭취는 항당뇨, 항산화, 항염증, 항암, 비만 억제, 동맥경화 억제, 지질과산화 저해와 연관성이 높고(정해정, 2016), pH나 매염제 등의 조건을 바꾸어 사용해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다색성 염료임이 부각되어 지고 있다(김주영, 2015). 블랙 커런트 추출물로 염색한 모발의 CIE 실험실 그래프 본 연구에서는 블랙커런트의 안토시아닌 색소가 모발의 천연염색
# 화장품 소재Acacia concinna 추출물의 특성과피부개선 효능 임상연구 천연원료에는 유기농, 식물성, 동물성 원료와 미네랄 원료가 포함되고 천연 유래 원료 또한 유기농 유래, 식물유래, 동물성 유래 원료가 포함된다. 까다로운 조항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천연 화장품보다는 천연소재 함유 화장품으로 많이 개발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Acacia concinna라는 천연소재는 계면활성제 특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 특성에 대한 항산화 실험과 항균, 피부 개선효능에 대한 확인과 개발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종이 디스크 확산 분석 즉, 천연소재의 효능과 화학물질의 대체 가능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으로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cacia concinna 열매를 가루로 만들어서 증류수에 용해한 추출물을 이용해 항산화 능력과 항균, 피부 개선 효능에 관해 연구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Acacia concinna의 hyrd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험에서 수산기를 제거하는 능력이 양성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 인체지방유래 3D 줄기세포 배양액화장품 소재 연구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 배양액(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Conditioned Medium : hADSC-CM)은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단백질과 성장인자를 함유한 액체로 명명하고 있다. 재생, 항노화,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러한 보고는 2D ADMSC-CM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3D ADMSC-CM이 세포생리학적 효능을 검증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3D ADMSC-CM 크림이 피부에 작용하는 임상적 효용성을 확인했다.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특별한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임상적 효용성을 확인하기에 적합한 제품으로 판단했다. 3D ADMSC-CM 크림에 의한 외부자극(화학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개선, 진정효과와 물리적 자극(마찰)에 의한 피부 진정 효과는 도포부위에서 피부 자극 개선과 진정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3D ADMSC-CM 크림의 항산화 효과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된 거친 피부결 개선 평가는 사용
# 탄력개선(HC) 콤플렉스기반으로 한 앰플 제조,효능평가 최근 생체 재료, 제약, 의료,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의 산업에서 내약성이 좋은 Hydrolyzed collagen(HC)을 중심으로 피부 특성과 피부 표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HC를 화장품 원료로 한 제품의 탄력개선 효능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C 콤플렉스를 이용해 탄력개선 앰플(EI ampoule)을 제조했고 in vitro 측면에서 효능평가를 실시했다. 제조한 EI ampoule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원심분리 테스트, 사이클링 테스트, pH, 점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Vehicle과 EI ampoule 모두 원심분리, 사이클링 테스트에서 상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4주간의 pH, 점도 변화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안전성 평가로는 Dermal skin fibroblast cell을 사용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Vehicle과 EI ampoule 시료 모두 일정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앰플의 사이클링 테
#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MC)자외선 B 유도 광노화 억제 자외선(UV)은 피부를 손상시키고 자외선B(UVB)는 피부 표피 두께, 거친 질감, 표피와 진피 성분 감소, 이소성 혈관 발달, 주름 등의 변화를 일으키는 광노화를 유발한다.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MC)는 UVB를 차단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으로 인한 홍반 뿐아니라 광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UVB에 의한 광노화와 OMC의 항광노화 효과에 대한 세포와 분자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UVB에 의한 피부 노화에 대한 OMC의 항광노화 효과를 연구했다. OMC 처리는 UVB에 의한 VEGF 과발현과 TSP1 하향 조절의 mRNA 수준을 억제했다. OMC는 Th2 관련 사이토카인 IL-10, IL-4의 상향 조절과 관련된 UVB 유발 사이토카인 혼란을 조절했다. UVB로 유도된 광노화 피부에서 OMC 효과(Verhoff's elastic 염색) RT-PCR로 검증한 결과 MMP와 VEGF는 상향 조절되고 TSP-1은 하향 조절되어 마이크로어레이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는 MAPK를 활성화하고 M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