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셀퓨전씨가 3월 BB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2월 17일부터 3월 17일까지의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BB크림 브랜드 30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4,148,998개를 분석했다. 이는 2월 BB크림 브랜드평판지수 4,960,740와 비교하면 16.36% 줄어들었다. BB크림 브랜드평판 2022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BB크림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 순위는 셀퓨전씨, 헤라, 닥터자르트, 한스킨, 랑콤, AHC, 인셀덤, 디올, 알렉스, 미바가 상위권 10위를 차지했다. 이어 오휘, 안나수이, 메디필, 코리아나, 클리오, 스킨79, 빌리프, 과일나라, 나인위시스, 엔프라니, 스와니코코, 알로에베라, 닥터슈라멕, 시바산, 샵벨르, 센텔리안24, 닥터랩, 아라시아, 베네코스, 디뷰스 BB크림 순으로 분석됐다. BB크림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셀퓨전씨 BB크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149,728, 소통지수 478,712, 커뮤니티지수 264,18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92,626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셀퓨전씨가 지난 1월과 2월에 이어 2022년 3월 브랜드평판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지난 2월 16일부터 2022년 3월 16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클렌징 브랜드 30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14,144,683개를 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 브랜드빅데이터 13,290,760개와 비교하면 6.42% 증가했다. 이번 3월 클렌징 브랜드평판 순위는 셀퓨전씨, 바이오더마, 설화수, 뉴스킨, 비오템, 아벤느, 라로슈포제, 뉴트로지나, 달바, 포인트가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히스토랩, 디올, 랑콤, 에스티로더, 빌리프, 피지오겔, 유리아쥬, 청미정, 클라란스, 시슬리, 라곰, 리얼베리어, 이솝, 눅스, 유세린, 폰즈, 듀이트리, 파머시, 클랍, 폴라초이스 클렌징 순으로 분석됐다. 2022년 3월 클렌징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출처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클렌징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셀퓨전씨 클렌징 브랜드는 참여지수 553,232, 소통지수 183,116, 커뮤니티지수 178,44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14,793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코코도르가 3월 디퓨저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코코도르는 지난 1월과 2월에 이어 또 한 번 1위를 마크했다. 디퓨저는 향수와 같은 액체를 담아서 향기를 퍼지게 하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중세시대 유럽에서 디퓨저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허브나 꽃에서 추출한 아로마오일을 나무스틱으로 만든 리드를 이용해 실내에 은은하게 발향시켰다. 현대에서는 실내 인테리어와 쾌적한 환경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중적인 사용되고 있다. 디퓨저는 사무실, 집, 또는 가게 등 자신의 생활 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워준다. 2022년 3월 디퓨저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지난 2월 15일부터3월 15일까지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디퓨저 브랜드 23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4,407,955개를 평판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 디퓨저 브랜드 빅데이터 4,039,447개와 비교하면 9.12% 증가했다. 2022년 3월 디퓨저 브랜드평판 순위는 코코도르, 조말론, 양키캔들, 딥디크, 디즈니, 산타마리아노벨라, 에이센트, 쿤달, 우드윅, 라운드어…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달바가 2022년 3월 비건화장품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서 지난 1월과 2월에 이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비건화장품 브랜드 25개에 대한 지난 한 달간 소비자들의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지난 2월 14일부터 3월 14일까지의 비건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4,442,053개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파악했고 지난 2월 비건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대비 10.81%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환경을 생각한 윤리 소비를 실천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업체들은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비건 화장품을 선보이고 있다. 3월 비건화장품 브랜드평판 순위는 달바, 아로마티카, 톤28, 아떼, 빌리프, 디어 달리아, 닥터 브로너스, 멜릭서, 보나쥬르, 아워글래스가 상위 10위 권을 차지했다. 그 뒤로 허스텔러, 샹테카이, A24, 피츠, 이즈그린, 글로시에, 어웨이, 에센허브, 허블룸, 더온리프, 닥터슈라클, 에프플로우, 메리플래닛, 더퓨어로터스, 오프라 코스메틱 순으로 뒤따랐다. 2022년 3월 비건화장품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자료…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마스크팩 3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메디힐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메디힐은 지난 1월과 2월에 이어 브랜드평판 1위를 지켜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마스크팩 브랜드 30개를 대상으로 지난 2월 14부터 3월 14일까지 빅데이터 5,726,527개를 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 브랜드 빅데이터 5,636,261개와 비교해 보면 1.60% 증가했다. 2022년 3월 핸드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자료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3월 핸드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메디힐, AHC, 닥터자르트, 듀이트리, 듀이셀, 아비브, 셀더마, 러쉬, 센텔리안24, 차앤박이 상위 10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프리메라, 미키모토, 설화수, 은율, 더마토리, 리더스, 마녀공장, 대자연, 맥스클리닉, 구달, 시드물, 더마픽스, 홀리카홀리카, 미구하라, 제이엠솔루션, 안나홀츠, 메디플라워, 리리코스, 코스더블유, 메디앤서 순으로 뒤를 이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록시땅이 3월 핸드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록시땅은 지난 1월과 2월 모두 1위를 마크하면서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로션 브랜드 30개를 대상으로 지난 2월 8일부터 3월 8일까지 빅데이터 5,764,610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브랜드와 관계 분석을 통해 브랜드평판을 분석했다. 이는 지난 2월 브랜드 빅데이터 5,764,610개와 비교해 보면 3.87% 증가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며 개인 위생 관리를 위해 손씻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보습제 역할을 하는 핸드크림이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보습기능 뿐아니라 소득기능이 포함된 것들이 나와서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혔다. 3월 핸드크림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록시땅, 카밀, 샤넬, 조말론, 바이레도, 프레쉬, 바세린, 헉슬리, 뉴트로지나, 니베아가 상위 10위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꼬달리, 더바디샵, 더프트앤도프트, 아트릭스, 더블유드레스룸, 피지오겔, 네이처리퍼블릭, 캐스키드슨, 사봉, 바이오더마, 해피바스, 아비노…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뷰티전문 어플리케이션 '화해(HwaHae)' 운영사 버드뷰(대표 이웅)가 화장품 등의 핵심 리뷰만 요약해 보여주는 '리뷰 토픽' 기능을 오픈했다. 2월 24일 공개된 리뷰 토픽은 화해 앱 내 600만 건 이상의 화장품 리뷰를 AI가 분석해 사용자가 찾는 제품의 특성을 한 줄 키워드로 정리해 주는 서비스다. 화해는 제품정보 조회 화면 상단에 리뷰 토픽 영역을 새롭게 추가하고사용자가 수많은 리뷰를 일일이 보지 않아도 제품의 장단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리뷰 토픽의 장점은 ‘내 피부 맞춤’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리뷰 요약만 필터링할 수 있어 정보 탐색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또자신과 비슷한 피부 타입과 고민을 지닌 사용자들이 리뷰에서 가장 많이 언급한 내용 중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모두 제공해 균형 있는 정보 수집을 도와준다. 이번에 선보인 리뷰 토픽 기능에는 화해가 자체 개발한 AI 언어모델이 적용됐다. 딥러닝 기반으로 방대한 리뷰 데이터를 학습한 언어모델이 제품의 주요 특성을 추출하고이를 화장품 추천 목적에 맞는 알고리즘으로 적용시킨 것이다. 이는 화장품은 개인 피부 상태와…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넷플릭스 솔로지옥을 통해 이름을 알린 강소연과 차현승이 함께 출연한 Q&A 영상에 이어 새로운 영상을 공개해화제가 되고 있다. 한 차례 과거 인연으로 이슈가 있었던 두 사람은 평소 완벽한 자기관리로 공동 관심사를 모으며 그들의 뷰티 모닝루틴과 커플 운동 챌린지 영상이 함께 공개된 것이다. 솔로지옥 대표 건강미녀 강소연은 이넬화장품의 입큰 리프팅 케어 호박 패치로 메이크업 전 붓기케어 후 탄력을 잡아주었으며 입큰 파운쿠션 글로우 라이트 핏 쿠션과 퍼스널 무드 내추럴 무트 팔레트 제품으로 자연스러운 데일리 메이크업을 완성했다. 이 후 함께 도전한 커플 운동 챌린지 영상 속에서 차현승이 강소연에게 선물한 제품은 이넬화장품 비얼라우 포맨 프롬 내추럴 토닝 올인원 제품이다. 보습, 미백, 진정 케어까지 하나로 스킨케어가 가능한 젠더리스 비건화장품으로 차현승이 평소 운동하기전에 간편하게 피부관리하는 올인원 크림이다. 커플 운동 챌린지 영상 속에서는 다정하게 운동하는 모습이 담겨 눈길을 끌었으며 특히 그들의 완벽한 비주얼의 합이 더욱 눈에 띄어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피부도 몸매만큼 관리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국내 영상뷰티 큐레이션플랫폼 잼페이스(대표 윤정하)는 지난해 9월 론칭한 ‘퍼스널컬러 매칭’ 서비스를 경험한 누적 사용자가 4개월 만에 100만명을 돌파하고누적 사용횟수는 139만회를 넘었다고밝혔다. ‘퍼스널컬러’는 피부톤, 모발색, 눈동자색 등 각 개인의 고유한 신체색을 의미한다. 크게 봄 웜톤, 여름 쿨톤, 가을 웜톤, 겨울 쿨톤 등 4가지로 분류된다. '퍼스널컬러 매칭'은 오프라인 중심의 기존 퍼스널컬러 진단과 달리증강현실(AR) 가상 메이크업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다. 이용자가 셀프 카메라로 자신의 얼굴에 다양한 립 색상을 가상으로 입혀보며 어울리는 색상을 선택하면AI(인공지능)가 12가지 타입의 세부톤 중 가장 유사성이 높은 톤을 분석해 알려준다. 젬페이스에 따르면, MZ세대의 퍼스널컬러유형은 ‘가을웜 트루’가 22.8%로 가장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뒤를 이어 '여름쿨 트루’와 ‘봄웜 트루’가 각각 18.4%와 18.2%로 2위와 3위를 차지했고‘겨울 쿨 트루’가 10.4%로 뒤를 이었다. 한편, 회사 측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화장품 발색 테스트가 어려워지면서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 정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2022년소비 트렌드로 제한됐던 일상이 해제되고 소비의 경계가 열리는 'U.N.L.O.C.K(언락)'이 선정됐다. 1월 19일 신한카드는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에 대한 욕구가 강력히 표출되면서 이 같은 키워드를 올해의 소비 트렌드로 꼽았다고 발표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는 ▲다시, 문 밖 라이프(Unbinding In-door)▲네오팸의 시대(Neo-Family)▲로코노미의 부상(Local Economy)▲일상으로 스며든 프리미엄(Ordinary Premium)▲사라진 경계, 보더리스(Cracking Border)▲지속가능한 삶을 위하여(Kick off Sustainability) 등6가지 요소가 소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먼저 신한카드는 누적된 활동 제약의 피로감으로 스포츠와 자연 등 '아웃 라이프'의 즐거움이 중요하게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코로나19 이후 큰 인기를 끌던 홈트 이용 건수는(지난해 1~9월 기준) 전년 대비 7% 감소한 반면, 골프는 14%, 서핑은 40%, 테니스는 157%, 클라이밍 관련 결제는 183%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표적인 아웃도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뷰티인플루언서 비즈니스그룹 레페리(대표 최인석)의 산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증 기업부설 연구소인 ‘레페리데이터연구소’가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국내 뷰티 유튜버 1,447명의 총 34,889개의 뷰티 콘텐츠를 100% 전수조사방식으로 시청 분석한 ‘2022 Beauty Insights 뷰티 시장의 변이,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리포트를 공개했다. 2021년코로나가 종식될 것이라는 바람과 달리 감영병의 위력이 더 커지며 뷰티 시장 역시 풍랑 속 생존을 위한 모색이 이어졌다. 포인트에 힘을 준 간소화 메이크업, 마스크 저격 아이템 출몰, 홈케어 뷰티 디바이스 확대, 향수와 헤어 케어로의 뷰티 영역 확장 등 뷰티 시장 역시 기존의 틀을 깬 새로운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새로운 미디어 채널로 부상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에서도 확인된다. 특히 2021년 하반기로 갈수록 메이크업 시장의 부활을 알리는 시그널이 감지되며 2022년 뷰티시장의 회복과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 얼굴만큼 바디케어도 신경 쓰는 시대 장기화된 코로나로 인한 화장품시장의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뷰티 유튜브 콘텐츠는…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뷰티 인플루언서 비즈니스그룹 ‘레페리’(대표 최인석)가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에 대한 정부 발표 이후 색조 브랜드 제품에 대한 광고 수요가 2주 새 약 5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레페리는 장기화된 코로나로 침체되었던 색조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정부가 위드 코로나를 공표한 지난 10월 25일 이후 자사 마케팅 비즈니스에 인입된 광고문의와 실제 집행 건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드 코로나 발표 이후인 10월 25일부터 11월 7일까지 2주간 집계된 데이터 중 색조 브랜드 제품의 마케팅 수요가 발표 전(10월 11일~24일) 동기간 대비 약1.6배,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강세를 보여 온 스킨케어 브랜드 제품에 대한 같은 기간 마케팅 수요보다 약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위드 코로나 시행에 따른 색조시장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요가 확대된 주요 색조 품목은 아이섀도우와 립스틱이다. 특히 두 품목은 최근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제품들이 출시 후 연이어 완판 사례를 보이며 얼어 있던 메이크업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지난 10월 29일 공개된 메이크업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