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남성 뷰티 업계가 헤어케어 시장 성장을 촉진시킬 전망이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에이에프피 통신사가 발표한 최신 데이터를 인용해 남성 뷰티 업계의 발전이 전세계 헤어케어 시장의 발전을 촉진시킬 전망이고 앞으로 3년 동안 안정적인 성장을 실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2014년 로레알, P&G, 헨켈, 카오, 유니레버 그룹의 헤어케어 브랜드가 전세계 헤어케어 제품 판매액의 44%를 차지했다. 그외 브랜드는 에이본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전세계 럭셔리 제품의 46%를 중국 소비자들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 보도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소비자가 전세계에서 럭셔리 제품을 소비한 금액이 1168억 달러에 달했고 전년보다 9% 성장했다. 즉, 중국인이 전세계 약 46%에 달하는 럭셔리 제품을 구매했고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일본, 스위스 등 국가는 중국 소비자들이 럭셔리 제품을 구매하는 주 지역이다. 저우팅은 “2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홍콩 소매업이 지난 12년 이래 최악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현지 '배런스' 보도를 인용, 2015년에 홍콩의 제품 총 판매액이 약 3%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03년 사스 이후 홍콩 소매업 판매액이 가장 저조한 실적이다. 2003년 사스 때 홍콩 소매업의 판매액은 2.3% 하락했다. 때문에 이는 2003년 사스 발생 이래 12년 만에 홍콩 소매업이 맞는 최악의 한 해로…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최근 한국 서울 경찰측에서 ‘짝퉁 마유크림’을 제조 판매한 일당들을 검거했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최근 한국 서울 경찰이 ‘짝퉁 마유크림’을 불법으로 제조 판매한 일당들을 검거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2월 한국 KBS 방송국에서 16만 위안의 짝퉁 마스크팩이 중국으로 유통한데 이어 또 한번 ‘마유크림’을 불법 제조한 ‘범죄’조직을 검거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번 압수 수색에서 29만개의 짝퉁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커뮤니티 모바일 온라인몰 웨이상이 2016년에 새로운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 보도에 따르면 웨이상(微商)은 커뮤니티 모바일 온라인몰로 국내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업계가 규범화 되어 있지 않고 2015년에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면서 고의적인 제품 홍보 도배, 잘못된 내용 전달, 다단계 판매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던 게 사실이다. 이에 전문가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온라인 기업 알리바바가 짝퉁을 퇴치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중국 언론사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에 알리바바는 짝퉁을 퇴치하기 위해 200명을 충원해 정부의 짝퉁 퇴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미국 법무부 컴퓨터 범죄와 지적재산 검찰관 출신인 매튜 배시어를 부사장으로 임명해 짝퉁 퇴치에 노력하고 있다. 또 알리바바는 첨단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정부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알리바바
[코스인코라이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모바일몰인 웨이상이 부진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결제 시스템 ’즈상(支商)’을 내놓으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즈상'은 알리바바의 온라인 전자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支付宝,쯔푸바오)가 업데이트한 모바일몰 결제 시스템이다. 즈상은 상인들에게 알리페이 지갑으로 즉시 결제하는 기능을 제공해 주고 상인들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주문 리스트를 만들고 결제기록을 관리하며 결제인원을 분배해 간단하게 결제를 완성할 수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화장품 시장이 지속 성장 중이어서 이런 추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 보도에 따르면 지난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중국 화장품 매출액은 1470억 위안에 달했고 전년 대비 9% 성장했다. 그중 9월 화장품 판매액은 17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7% 성장했다. 2015년 11월 사회소모품 매출액은 2793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2% 성장 했다. 이중 화장품 판매액은 197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전세계 유기농 화장품이 2020년에 159.8억 달러 규모로 확장될 전망이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미국 시장조사 컨설팅 전문기업 Grand View Research에서 발표한 2020년 유기농 화장품 시장 규모에 대한 예측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헤어케어, 스킨케어, 뷰티 제품을 포함한 천연 유기농 화장품 시장 규모가 2020년에는 159.8억 달러로 확장될 전망이다. 이는 2013년에 기록한 유기농 퍼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화장품 시장이 전세계가 주목하는 최대 신흥 시장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신규 화장품 회사와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설립되고 런칭되면서 화장품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 로컬 화장품 회사가 세부 영역을 특화하면서 약진하는 모습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 화장품 시장의 전체 규모가 확대되면서 화장품 유통채널과 판매 형태, 브랜드 출시 등에서 큰 변화를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화장품 프랜차이즈 매장의 TOP 100 랭킹이 발표됐다. 중국 화장품 전문 언론사에서 지난 12월 18일 발표된 2015 중국 화장품 프랜차이즈 TOP 100 랭킹을 보도했다. TOP 100 프랜차이즈 랭킹은 화장품 업계에 종사하는 브랜드사와 유통사들이 주목하는 랭킹이고 유통채널의 변화를 반영하는 랭킹이다. TOP100 프랜차이즈 매장의 발언권이 높아지면서 브랜드사들이 프랜차이즈 매장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설경 기자]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 화장품 전문 신문사 C2CC는 현재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의 현황과 미래 추세에 대해 분석, 보도했다. 중국에서 화장품 매출액은 크지만 코스메슈티컬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작다. 현재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은 몇 십년 전의 여성 미용 시장과 비슷한 상황이다. 다만 시장 성장 잠재력은 높은 편이다. 2013년 중국 코스메슈티컬 시장 규모는 230억 위안에 달했다. 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