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회사 입사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실습교육. (사진출처 : 대전보건대학교) |
[코스인코리아닷컴 손현주 기자] 미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국내 화장품 기업뿐 아닌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으로 전문 인력을 요구하는 가운데 대학 내 화장품학과는 화장품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해 전공과 직결되는 기업의 실무 경험을 갖춘 인재로 투입될 수 있어 화장품 산업 분야와 연계성이 뛰어난 유망 학과로 떠올라 화장품 관련 산업에서 활발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화장품학과가 각광받는 이유는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화장품 기업들과 산학협력 체결로 산업체 현장실습을 제공받아 현장 적응력이 높고 전공 과정들을 통해 화장품의 제반에 관한 풍부한 경험이 쌓이고 동시에 전공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실무화 교육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공 관련 취득 가능한 국가시행자격증으로는 미용사(일반, 헤어), 미용사(피부), 화학분석기사, 화장품품질평가사(KFDA), 환경관리사, 산업위생관리사, 품질관리기사 등이다.
진출분야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화장품 관련업체로 화장품 제조업체와 소재업체, 유통업체, 화장품 관련 연구소(제품 연구, 안정성, 미생물, 원료 등), 실험실(기기분석, QA, QC) 생산관리와 식품과 의약품 관련 연구소와 기업 등이 있다.
둘째, 교육 관련 중등 정교사와 화장품 교육 강사와 대학 교수와 실험과 실습을 돕는 보조 역할로 최근 뷰티 대학 내에 미용학사 과정이 설치돼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중등 2급 정교사 자격증과 임용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셋째, 대학원 진학과 유학으로 뷰티 산업에서 글로벌 인재를 필요로 하는 추세로 최근 인천대학교 뷰티양성사업단이 석,박사 대학원을 모집하는 등 심층화된 교육과 학위 취득, 현장 경력을 쌓기 위한 과정이 개설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용 전문직은 피부 관리사, 메이크업 아티스트, 방송분장사, 네일 아티스트, 발 관리사, 헤어 디자이너 등 이론이 기반을 둔 실무 기술을 배워 전문직 종사자로 거듭날 수 있다.
이 외에도 화장품 벤처 창업과 쇼핑호스트, 보건과 생명공학 관련의 회사와 공무원직 등 다방면의 분야로 활동할 수 있으며 화장품 산업의 선진화와 함께 미래유망학과로 부상하고 있다. 또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학교에서는 차별화, 융복합화, 가치화된 프로그램을 진행해 창의 인재로의 화장품 산업진출에 힘입고 있다.
화장품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이어가면서 필요 인력이 가산되는 시점에서 화장품 전공 교육과 현장 중심의 실무능력이 결합된 화장품학과 전공 이수생들이 전문 인력으로 다방면에서 경쟁력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화장품학과가 지난 200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화장품업체에서 화장품학과 전공 졸업생 채용을 늘려나가고 있어 더욱 각광받는 학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