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 china.com. |
[코스인코리아닷컴 방영애 기자] 여성 스킨케어 제품의 발전이 나날이 새로워져 많은 소비자들이 선택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스킨케어 제품은 유럽이나 미국의 유명 브랜드를 선택하며 가격이 비쌀수록 그 제품의 성분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국망(中国网)에 따르면 이러한 인식을 잘못된 것이며 지리적 환경의 차이와 동양인과 서양인의 피부는 다소 차이가 있어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할 때 자신의 피부상태에 따라 유기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유럽과 미국의 화장품은 노화방지 부문에 중심을 두고 있다. 유럽과 미국 사람은 피부가 비교적 흰 편이라 별도의 미백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 지역은 일조량이 많아 여성의 피부 노화가 비교적 빠르다. 그래서 노화방지는 유럽과 미국의 유명 브랜드의 기조가 된 것이다.
아시아 여성은 아시아인 피부에 맞는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스킨케어의 관건이다. 아시아 원생질에서 비롯된 스킨케어 제품은 미백뿐 아니라 노화방지도 요구돼서 아시아인 피부에는 효과가 배가 된다.
163.com에서는 아시아 주요 브랜드를 분석한 후 아시아인에 적합하고 혁신적인 의미가 있는 10대 화장품을 선정했다.
1. 시세이도
일본 시세이도 내셔널은 아시아 정상급 스킨케어 브랜드로 시세이도에서 연구개발해 생산한 퓨처솔루션LX 시리즈는 참신한 이념으로 여성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효과는 좋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가격대가 비싸다.
2. SK-II
일본 스킨케어 제품으로 명성이 자자하고 더욱이 중국에서는 수많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제품인 신선수는 중국 시장에서 스테디셀러이며 시장 반응이 좋다.
3. 후
황후의 고귀함과 궁중의 신비감을 합친 본연과 선의 아름다움을 중요시하는 동양미학과 현대의 유행을 결합한 것으로 글로벌 최정상 한국 대표 화장품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한방 화장품 콘셉트를 유지하고 있다.
4. Fairy Cream
최근 중국에서 인기가 뜨거운 스킨케어 제품이다. 출시한 지 10여년 정도 지난 자양재생크림이 대표적인 인기 제품이며 순수 수공으로 연마해서 만들었다. 이 제품은 노화방지에 특효가 있을 뿐 아니라 미백과 기미에 효과적이고 피부 깊은 곳까지 영양분을 전달한다. 제품 평가이 좋아 재구매율이 높으며 단골손님들은 ‘귀부인, 신선크림’이라고 부른다.
5. 라네즈
한국에서 유행하는 화장품 브랜드로 아시아 여성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인기 제품인 워터뱅크젤크림은 피부에 영양을 주고 피부의 매끄러움과 수분을 유지시켜 준다.
6. 설화수
한국에서 유명한 한방 스킨케어 화장품 브랜드로 피부에 콜라겐을 보충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제품의 타겟 연령대는 35~45세다.
7. Herborist
중국산 중에 중국 본초 미용과 현대 바이오 과학기술의 한방 약재 스킨케어 제품으로 Hydrating & Moisturizing Cream을 추천하며 본초 스킨케어 이념도 현재의 자연주의 케어 이념과 부합한다.
8. Sekkisei
일본의 유명한 화장품 회사 Kose 산하 주력 브랜드로 제품은 지속적인 케어에 사용되며 피부에 건강하고 환경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어 업계에서 평판이 높다.
9. 이니스프리
한국 최고의 화장품 그룹 아모레퍼시픽이 심혈을 기울여 연구 제조한 자연주의 화장품이다. 그들의 화산송이 모공팩과 생기를 부여하는 아이크림은 품질과 효능 면에서 아시아 소비자들의 높은 호평을 받았다.
10. Marubi
15년 동안 스킨케어, 아이케어에 집중한 일본 화장품 회사다. 대표적인 초콜릿 실키 유스(Chocolate Silky Youth) 라인은 순수 천연식물에서 에센스를 추출해 잔주름과 다크서클 등 노화방지에 좋으며 시장에서 반응이 좋은 편이다.
최근 중국 스킨케어 제품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제품 선택을 하게 되면서 스킨케어 제품의 요구도 본래 요구하던 미백 강화에서 점차적으로 심층 관리형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도 기능성 화장품과 유기농 화장품이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의 스킨케어 개념의 전환이라 볼 수 있다.
아시아 스킨케어 제품은 한국과 일본이 줄곧 리드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스킨케어 제품의 빠른 발전에 따라 중국에도 글로벌 유명 브랜드에 못지 않은 스킨케어 브랜드가 생겨났다.
그 사례로 Fairy Cream과 Herborist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같은 현상은 중국 소비자들의 ‘국산품 애용붐’이 원인으로 향후 중국 스킨케어 업계도 점차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