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7 (월)

  • 맑음동두천 13.3℃
  • 구름많음강릉 20.3℃
  • 박무서울 14.9℃
  • 맑음대전 14.8℃
  • 구름많음대구 21.2℃
  • 구름조금울산 20.0℃
  • 맑음광주 17.7℃
  • 박무부산 20.6℃
  • 맑음고창 ℃
  • 흐림제주 19.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6.0℃
  • 구름많음강진군 18.5℃
  • 맑음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20.5℃
기상청 제공

원료부자재

선진뷰티사이언스, '선크림 시장 확대 수혜' 올해 매출액, 영업이익 두자릿수 성장 '무난'

매출액 833억 14.7% 증가 영업이익 132억 46.7% 증가 '아이레시피' 올리브영 입점 '호재' ODM 사업 본격화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가 올해 글로벌 선크림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6.7% 증가한 132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83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증권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833억 원, 132억 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4.7%, 46.7% 상승한 수치다. 지난 2021년 론칭한 자체 브랜드 '아이레시피'가 5월부터 올리브영에 입점하면서 하반기부터 전사의 매출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는 글로벌 선케어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세계 10위권 화장품용 자외선 차단제 제조기업으로 2022년 기준 매출의 85%가 해외에서 발생했다. 선크림의 주요 소재인 계면활성제의 매출 비중도 26.6%에 이른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피부암의 예방을 위해 선크림 사용을 권장하면서 선크림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바캉스 등 여가 활동, 해외여행 등 외부 활동이 많아진 것도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1988년 설립한 화장품 소재 전문업체로 올해 1분기 기준 화장품 소재 매출의 비중이 72.7%에 이른다. 현재 샤넬, 로레알, LVMH 등 프레스티지 업체부터 중국 로컬 브랜드, 한국과 미국 인디 브랜드까지 다양한 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21개국 26개 해외 대리점을 통해 영업망을 구축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연도별 손익계산서 (단위 : 십억원, %)

 

 

글로벌 리서치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선케어 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올해 15조 3,000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8.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리포트링커는 선케어 시장이 2028년 134억 달러(약 18조8,500억 원)에 달하고 2022년~2028년 연평균 성장률 8.5%를 예상했다.

 

오는 7월부터 시행하는 미국에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도 회사의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MoCRA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시설은 필수적으로 FDA 등록을 하고 성분에 대한 정보도 제출돼야 한다.

 

하나증권 김두현 연구원은 "회사는 국내 화장품 업체 최초로 FDA 현장 실사 무결점 통과한 공장 보유하고 있다"며, "이미 제조설비와 원료에 대해서 FDA의 허가를 받았다는 점에서 강력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하나증권은 선크림 시장의 성장세와 함께 내년부터 시작하는 ODM 사업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지난 2022년부터 OTC(일반의약품) 화장품 부문에 한정해 ODM 사업을 영위해 온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내년부터 화장품 ODM 사업을 본격화한다.

 

내년 상반기 중 신공장 가동을 목표로 수도권 공장 인수를 추진하고 있어 올해 하반기 100억 원~20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예상되며 내년부터는 기존 화장품 원료 뿐 아니라 ODM 사업 매출이 추가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오는 8월에는 미국 동부 지역에 지사를 설립해 현지에서의 수익성 개선에 노력할 예정이다.

 

 

하나증권은 올해 선진뷰티사이언스의 매출 성장 요인으로 마이크로비드와 선크림 소재의 미국, 중국 매출 증가를 꼽았다.

 

김두현 연구원은 "고수익성 화장품 소재에 대한 수주 증가, 장항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인한 수율 향상과 생산 비용 절감도 수익 개선 요인으로 판단된다”며, "2025년에는 MoCRA 온기 발효로 미국 시장 내 구조적 성장과 더불어 ODM 매출까지 가세해 실적 성장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선진뷰티사이언스 #화장품소재전문기업 #선크림시장확대 #2024년성장세 #매출833억원 #전년대비14.7%증가 #영업이익132억원 #전년대비46.7%증가  #자체브랜드 #아이레시피 #올리브영입점 #미국FDA #선케어시장 #15조3000억원 #MoCRA #ODM사업본격화 #신공장가동 #마이크로비드 #고수익성화장품소재 #장항스마트팩토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