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클리오(237880, 대표 한현옥)가 올해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국내 H&B 채널과 일본, 동남아시아 시장의 매출 증가에 힘입어 실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면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증권은 (주)클리오의 올해 매출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3,700억 원, 영업이익은 39% 증가한 341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주가는 28,857원으로 1년 새 40% 가량 하락했다.
(주)클리오의 1분기 매출은 899억 원, 영업이익은 74억 원을 제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 13% 감소한 수치로 컨센서스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해 (주)클리오는 내수 색조 시장과 북미 온라인 시장에서 신규 브랜드 진입 등으로 경쟁이 심화하면서 아쉬운 실적을 기록했으나 국내 H&B 채널과 일본, 동남아시아 매출이 개선되면서 올해 1분기부터 실적이 순차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매출액 대비 광고선전비의 비중은 16%로 기타 브랜드 육성에 분산됐으나 올해는 클리오, 페리페라, 구달에 집중하며 마케팅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통상 1분기는 신제품 출시에 따른 투자가 집중된되는 만큼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클리오의 2025년 1분기 연결 실적 요약 (단위 : 십억원, %)
지역별로 보면 국내는 클리오의 쿠션과 아이섀도, 해리포터 콜라보, 페리페라의 시럽피 톡 치크 등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H&B 매출이 320억 원을 넘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분기에도 추가 재고 확충과 신제품 효과로 호실적이 기대된다.
온라인 채널은 H&B에서의 입소문 효과와 연동되는 경향이 있는데 1~2분기에는 직전 분기 대비 소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홈쇼핑과 면세는 방송 비용 상승으로 채널 효율을 하락하면서 부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해외에서는 일본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하반기 회복이 예상된다. 일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22억 원으로 전망한다. 오프라인에 주력하면서 소비자 접점을 늘리고 있고 이는 매장당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 전반적으로 발주 흐름이 좋은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은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하락한 65억 원으로 보인다. 여전히 경쟁이 치열하지만 클리오의 쿠션 색상 확대, 구달의 코스트코 온라인 입점 등을 추진하며 돌파구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추후 구달의 카테고리 확장, 페리페라의 틴트 라인업 확충 등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신제품 출고 효과로 선전하며 매출 76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한다. 각각 직전 분기 대비 20%,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규모로 2분기에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클리오의 연결 실적과 전망 (단위 : 십억원, %)
수익성은 매출 감소 영향으로 매출총이익률이 1.5%포인트 하락하나 판매수수료 효율화와 마케팅비 축소 등으로 판관비의 비중이 0.7%포인트 개선되면서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한 8%로 추정한다.
하나증권은 올해 (주)클리오의 매출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3,700억 원, 영업이익은 39% 증가한 341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는 브랜드 뉴니스(Newness) 개선을 통해 1분기부터 회복세 보이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서 실적이 반등하면서 순차적인 실적 개선이 연중 이어질 것이다"고 제시했다.
클리오 주요 사항 요약
(주)클리오 측은 올해 매출 증가율이 15% 수준이 될 것으로 제시했으나 하나증권은 치열해진 북미 시장 환경을 감안해 보수적으로 한 자릿수 성장을 전망했다.
하나증권은 (주)클리오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26,000원을 유지한다. 지난해 5월까지만 해도 증권사들이 40,000원 대 목표가를 제시했으나 지난해 하반기들어 목표가가 일제히 하향 조정되면서 20,000원 대로 내려 앉았다. 최저 목표가는 현대차증권이 제시한 25,000원이다.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28,857원으로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47,778원 대비 -39.6% 하락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클리오 #2025년1분기 #매출899억원 #전년대비3%감소 #영업이익74억원 #전년대비13%감소 #북미시장 #경쟁심화 #광고선전비 #H&B채널 #일본 #동남아시아 #마케팅효율 #쿠션 #아이섀도 #페리페라 #구달 #평균목표주가39.6%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