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국내 화장품 기업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다른 산업에 비해 한국 화장품은 관세 부과 기준인 매출 원가가 낮은 중저가 제품으로 영향력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시장의 경우 현재 한국 화장품 수출 중 15~20%가 미국향 수출인 만큼 기업의 실적 측면에서 상호 관세가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17억 1,000만 달러(약 2조 5,000원)이다.
다만, 수출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인 데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한국 화장품이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저가 제품임을 감안할 때 실제 이익 감소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투자증권은 오늘(4일) '트럼프 상호관세 한국 업종별 시사점' 이슈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한국뿐 아니라 경쟁국인 유럽, 캐나다 등 다른 국가에도 동일하게 관세를 부과했다는 점에서 미국에서 다른 수입 화장품 대비 한국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은 크게 약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지난 2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MAWA)' 행사에서 상호 관세를 발표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관행이 미국의 국가 안보와 경제적 이익을 위협했다"며, 모든 국가에 보편 관세 10%, 60여 개 대미 흑자국에 대해서는 최대 49%의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의 주요국 상호 관세 (단위 : %)
한국은 보편 관세 10%에 개별 관세 15%가 더해져, 총 25%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이는 당초 주식시장이 예상한 15%를 10%포인트 상회하는 수치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의 관세를 협상 카드로 내세웠다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향후 협상을 통한 세율 조정의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반도체가 제외됐으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를 포함해 지난해 대미 수출액(1,278억 달러)의 78.3%가 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관세 대상 또한 향후 협상을 통해 조정될 여지가 있으나 추가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경우 한국 수출의 피해 규모는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총수출과 대미 수출 증가율 (단위 : %)
결과적으로 올해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11.3% 감소해 전체 수출은 0.3%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대외 여건 악화는 올해 성장률을 기존 전망 대치 0.2%포인트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내수 부진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시장에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4%에서 1.1%로 하향 조정한다.
화장품 시장의 경우 올해 3월 기준으로 한국 화장품 수출 중 미국향 비중은 15%이며 올해 1월 기준으로 미국이 수입하는 화장품에서 한국 화장품의 비중은 20%다. 수출입 실적 측면에서 보면 이번 상호 관세가 한국 화장품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17억 1,000만 달러(약 2조 5,000원)였다.
다만, 시장의 우려 대비 화장품 기업들의 실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관세 부과와 관계없이 이미 많은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고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아마존, 틱톡 등 미국의 온라인 화장품 시장에서 브랜드, 유통사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화장품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제로 한국 화장품 수출 중 미국향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4년 7월 20%에서 현재 15%대로 하락했다"고 전제하고 "미국이 한국뿐 아니라 경쟁국인 유럽, 캐나다 등 다른 국가에도 동일하게 관세를 부과했다는 점에서 미국에서 다른 수입 화장품 대비 한국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은 크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제시했다.
미국 현지에 ODM 생산 인프라를 갖춘 기업의 경우 이번 관세 조치가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화장품 브랜드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을 가진 OEM ODM 기업에 생산을 맡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코스맥스와 한국콜마가 꼽힌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한국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이슈보고서 #트럼프상호관세 #업종별시사점 #미국 #트럼프대통령 #상호관세25% #화장품업계 #가격경쟁력유지 #미국현지생산 #ODMOEM기업 #기회요인 #온라인시장 #경쟁심화 #수출비중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