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25% 발효로 대미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의료기기, 화장품 기업과 관련 협회, 전문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산업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9일 오후 서울 중구 시티타워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 발표와 관련해 박민수 제2차관 주재로 의료기기와 화장품 기업, 협회, 전문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의료기기, 화장품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과 기획조정실장, 국제협력관, 보건산업정책국장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 대한화장품협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의료기기, 화장품 수출 기업들이 참석했다.
미국은 2일(현지시간) 16시경 발표한 상호관세 관련 행정명령 내용에 따르면, 국가별 차등관세를 발표했으며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25% 관세(10% 기본관세 + 15% 상호관세)를 9일(현지시간)부터 부과, 적용받는다.
간담회에서 정부는 의료기기와 화장품 업계, 협회 관계자들과 함께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조치에 따른 바이오헬스 산업의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과 함께 참석자 전원이 약 70분간 자유 토론과 업계 의견수렴을 가졌다.
간담회에서 참가 기업들은 수출 타격과 관세 부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지원책 마련을 요청했다. 특히 글로벌 관세 대응 정보 공유, 전략 수립, 피해기업에 대한 긴급지원 필요성을 강조됐다.
이에 대해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미국 정부의 관세조치에 따른 바이오헬스 산업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며, “산업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범정부 차원의 통상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한편, 업계 의견을 반영한 지원방안을 적극 검토 및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업계와의 소통 채널을 상시 운영하고 관세 대응전략을 포함한 종합 지원책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부는 향후 업계의 건의사항을 면밀히 검토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보건복지부 #의료기기화장품업계간담회 #미국 #트럼프대통령 #상호관세25% #행정명령 #대응방안 #관세부담 #수출타격 #정부대응지원방안 #피해기업긴급지원 #범정부차원 #통상협상 #지원책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