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신제품

최신 SPF 부스팅 기술 동향... ‘차단 효과 최적화, 제형 옵션’ 해결

다기능 SPF 부스터... 자외선 차단제 에멀젼 배치+SPF 부스팅제 결합+제형 필름 형성 개선 등 R&D 소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유지하되 제형 최적화에 초점을 맞춘 ‘SPF 부스팅’ 옵션 개발이 활발하다는 소식이다.(코스인 발행,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9월호에서 인용)

 

자외선 차단 지수(SPF)는 자외선 차단제의 효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UVB 광선으로부터의 보호 수준을 나타낸다. 전통적인 SPF 부스팅 전략은 광물성 및 화학적 UV(자외선) 필터(차단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에 의존해 왔지만, 이 방법은 규제 제한과 제품 안정성, 백탁 현상 및 피부 감촉과 같은 감각적 특성에서 제형 개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SPF 부스팅은 활성 자외선 차단제의 농도를 단순히 증가시키지 않고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SPF 부스팅 기술은 ▲ 제형 기반의 필름 형성 전략, ▲ 시너지 효과를 내는 자외선 차단제의 신중한 선택을 통해 자외선 차단 제품의 제형을 최적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형 개발자는 ① 자외선 차단제의 효율성을 최적화하거나, ② 자외선 차단제를 에멀젼의 다른 상에 배치하거나, ➂ 다양한 메커니즘을 가진 SPF 부스팅제를 결합 ④ 제형의 필름 형성을 개선하거나 SPF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성분을 사용한 제형 베이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SPF 부스팅제를 사용하면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제형 개발자가 자외선 차단제의 농도를 낮출 수 있어 제형의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가벼운 텍스처와 덜 무거운 피부 감촉을 제공하며 백탁을 최소화해 모든 피부 톤에 맞는 선크림을 만들 수 있다. 

 

먼저 자외선 차단제 효율 최적화는 단일 자외선차단제의 고농도에 의존하는 대신 피크 흡수 파장이 다른 필터를 결합하면 자외선 흡수 효율이 향상된다. 티타늄디옥사이드에 징크옥사이드를 결합한 광물성(무기계) 차단제는 또 다른 옵션이며,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은 광물성 자외선 차단제의 입자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작은 입자는 큰 입자보다 자외선을 산란 및 흡수하는 효율이 높아 SPF 증진, 피부 감촉 향상, 백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실리카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로 표면 처리하면 광촉매 반응을 줄여 산화 손상을 감소시키고 자외선 차단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에멀젼 구조 내 분포를 개선하고 뭉침을 줄이며 SPF 효과를 높이는 데도 도움 이 된다. 광물성 자외선 차단제의 입자 크기와 코팅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자외선 차단제 개발의 핵심이다. 

 

일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노출로 인해 분해돼 시간 이 지남에 따라 SPF 효과가 감소된다. 이러한 차단제와 광안정성 자외선 차단제를 결합하면 차단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옥토크릴렌이나 에틸헥실메톡시크릴렌과 같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아보벤존(avoben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 메탄)의 안정성을 높여 자외선 노출 시 빠른 분해를 방지한다. 광물성과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자외선 차단제는 필터의 이중 상(biphasal) 분포를 통해 광학적 경로 길이를 증가시 키는데 이는 필터의 산란 및 흡수 특성 때문이다. 

 

한편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SPF 부스팅제를 효율적으로 추가하려면 원료 호환성, 최적 농도, 전체 제형 전략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SPF 부스팅제는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율, 안정성, 감각 적 매력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논문은 코스메틱저널코리아 9월호에서 전문을 볼 수 있다. (https://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56025 )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다기능SPF부스터 #자외선차단효과최적화 #SPF부스팅기술동향 #코스메틱저널코리아9월호 #CJK9월호 #자외선차단제 #자외선차단제연구동향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