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분야의 특정 주제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2017년 한국 특허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 자외선차단 특허 (2017. 1. 1~2017. 12. 31) 17-1.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공개번호 : 10-2017-000170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2017. 1. 4) 이 발명은 자외선차단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수불용성 스폰지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수불용성 스펀지에 자외선 차단제가 흡착되는 문제점을 개선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로부터 예상되는 자외선차단 효과(자외선차단지수 / 등급)를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W/O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해 수불용성 스폰지의 자외선 차단제 흡착시험을 실시한 결과,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유상에 있을 경우(비교예 1-2)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어 자외선 차단지수가 크게 떨어졌다. 반면,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경우(실시예 1-2)에는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2016년 한국 특허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 '자외선차단' 특허 (2016. 1. 1 ~ 2016. 12. 31) 16-6.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등록번호 : 10-1595215-000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일본), 2016. 1. 28) 이 발명은 성분 (a) 평균입자경이 30∼80nm인 소수화 처리된 루틸형 결정 산화티탄 5∼15 질량%, (b) 산화철 0.1∼10 질량%, (c) 평균입자경이 20∼80nm 인 소수화 처리된 산화아연 5∼15 질량%, (d) 평균입 자경이 180nm 이상인 백색안료용 산화티탄 0∼1.0 질량%를 외상에 포함하는 것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효과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나 옥토크릴렌이나 아보벤존을 배합하지 않아도 충분히 높은 UVA와 UVB의 자외선 방지 효과를 발휘하고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 눈 주위를 포함하는 안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2017년 일본 특허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일본 특허(2016. 1. 1 ~ 2017. 12. 31) 17-7. 자외선 방지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特開 2017-203017, 株式會社 希松, 2016. 5. 13) 자외선 흡수제를 내포한 캡슐과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한 기존의 피부 화장료는 보존 안정성이 나쁘고 자외선 흡수제를 내포한 캡슐이 시간경과에 따라 응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피부 화장료에 수팽 윤성 점토광물을 첨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발명은 자외선 흡수제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분산 상태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방지효 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 피부 화장료는 (A) 자외선 흡수제를 내포하는 마이크로캡슐, (B) 수팽윤성 점토광물, (C)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은 피부 화장료 전체량에 대해 1~12중량%을 차지한다. 실시예에서는 이 발명의 피부 화장료를 제조해 분산상태, 보존안정성, 사용감을 평가했다. 피부 화장료의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2016년 일본 특허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일본 특허 (2016. 1. 1 ~ 2017. 12. 31) 16-5. 표면처리분체와 이 표면처리분체를 이용한 수분 산성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 표면처리분체를 이용한 O/ W형 화장료 (特開 2016-222589, テイカ株式会社, 2015. 5. 29) 이전부터 금속산화물의 표면을 각종 화합물로 코팅처리한 표면처리분체가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체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나 카복 시비닐 폴리머와의 상용성은 좋지만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사용성(특히 뻑뻑함 방지)과 투명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성(pH 7)에서는 불용성이 지만 pH가 산성이나 알칼리성 영역으로 이동하면 용해성을 보여 이전의 분체는 표면처리를 해도 산화아 연(기본성분)의 용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자들은 이 문제를 연구한 결과, 금속산화물의 표면을 특정 화합물로 코팅처리해 기본소재의 용출 (특히 기본성분으로 산화아연을 사용한 경우, 아연의 용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 ‘피부 미백’에 대한 미국 특허, 유럽 특허, 세계 특허를 선정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연재한다. 미국 미백 특허 현황 (2016. 1. 1 ~ 2017. 12. 31) 33. 피부의 미백과 멜라닌을 감소시키기 위한 식물 추출물 조성물과 그 적용 (US-A1-160374911, Caliway Biopharmaceutical Co. Ltd., 2016. 6. 24) 이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생성 모드의 경우라도 피부 처짐과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티로시나아제를 현저하게 저해하기 위한 curcumin과 resveratrol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피부미백,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은 치료 유효량의 식물 추출물 조성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식물 추출물 조성물은 curcumin과 resveratrol을 포함하며 curcumin과 resveratrol의 중량비는 4:1~1:4이며 약학 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주사, 이식, 외부제제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를 TABLE 1 등에 의해 설명한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 ‘피부 미백’에 대한 미국 특허, 유럽 특허, 세계 특허(2회 연속 게재)를 선정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연재한다. 미국 미백 특허 현황 (2016. 1. 1~2017. 12. 31) 2. 피부미백, 주름방지 또는 재생을 위해 줄기세포에서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US-A1-170209365, Exostemtech Co., Ltd., 2017. 2. 10) 이 발명의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을 위한 화장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증식줄기세포를 포함한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함유한다. 청구항 1의 화장 조성물에 있어서 줄기세포는 골수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청구항 2의 화장 조성물에 있어 줄기세포는 인체유래, 동물유래, 식물유래의 줄기세포이다. 이 발명의 발명자들은 줄기세포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고 이 엑소좀이 줄기세포분화, 지방조직재생, 미백, 주름개선, 피부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실시예를 FIG. 4 등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3에서는 엑소좀에서 지방세포 분화에 관련된 단백질과 생리활성
이번 회에서는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서 ‘미백’에 대한 한국특허(6월호 1회, 7월호 2회 연속 게재)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미백(2) <한국특허 (2016.1.1 ~ 2017.12.31)> 93. 컨실러 패치와 이의 제조방법, 피부의 미백케어 화장 방법과 피부의 여드름케어 화장 방법 (공개번호 : 10-2016-0114062,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2015.01.13) 이 발명은 스틱, 크림, 액체타입의 컨실러의 불편함을 해소해 누구나 간단하게 기미, 주근깨, 여드름 자국 이나 다크서클 등을 숨길 수 있는 필름 형태로 된 이용 하기 쉬운 컨실러 패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의 컨실러 패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연한 지지체 필름의 표면에 피부색으로 착색되고 점착제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색의 착색은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 서서히 색을 연하게 하면 효과적이다. 피부색의 착색은 교차한 피부색의 선 또는 다수의 피부 색의 도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표면이 피부색으로 착색된 지지체 필름은 인쇄기술을 이용해 제조할 수있다
이번 회에서는 화장품 분야의 특정주제로서 ‘미백’에 대한 한국특허(1회, 7월호 2회 연속 게재)를 선정했으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를 계속 추가해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각국의 특허정보를 소개해 나갈 계획이다. 미백(2) <한국특허 (2016.1.1 ~ 2017.12.31)> 3. 단순 페놀릭 배당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공개번호 : 10-2017-005113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03. 22) 이 발 명 은 마 이 크 로 모 노 스 포 라 로 도 랑 지 아 (Micromonospora rhodorangea) 유래의 당전이효 소(Glycosyltransferase, 이하 MrSPGT)를 이용한 단순 페놀릭 배당 유도체(Simple phenolic glycosidic analogs)의 제조방법과 이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모노스포라 로도랑지아 유래의 당전이효소를 이용해 생합성된 글루코오스와 2‘-데옥시-글루코오스를 당쇄로 포함하는 단순 페놀릭 배당 유도체(아래 그림)는 항산화 활성, 티로시
전 세계적으로 특허 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는 더욱 높은 특허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과 향수 관련 기술 분야의 특허 활동은 일반적으로 펩타이드가 주도하지만 생화학 분야와 나노 기술과 같은 최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 가운데 ‘성분’은 화장품 분야 특허 활동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화장품 선진국에서는 화장품·향수용 성분과 관련해 특허 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본특허청에서 운영하는 특허정보 플랫폼인 J-Plat Pat와 한국특허정보원의 특허정보넷인 KIPRIS에서 제공하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해외 특허에서 화장품 분야의 ‘피부미백’에 대한 최근 특허를 검색해 주요 특허 선별과 함께 그 내용을 요약해 소개하고 주제별 특허목록을 정리했다. 검색된 특허목록은 발명의 명칭(특허번호, 출원인, 출원일)의 순으로 기재했다. 일본 미백 관련 특허(2016.01.01~2017.12.31) 4′-dimethyl nobil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제와 미백용 음식물 (特開 2017-226612, 富士産業 株式 会 社
화장품이 한류를 이끄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화장품 분야 특허출원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빅2 화장품 기업은 물론 세계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도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 선점과 브랜드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특허출원된 기술은 심사에 통과해야 특허등록이 돼 특허권이 생긴다.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에서 코리아나화장품이 등록한 특허실용신안등록 건수를 검색한 결과 총 339건이 검색됐다.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코리아나화장품의 화장품 관련 실용신안 특허등록 기술을 소개한다. 1. 적외선과 자외선 동시차단용 복합분체와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lverulent composite for protecting UV and IR ray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입자와 상기 적외선 차단 입자의 일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 차단 입자로 구성된 복합분체,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차단 입자와 자외선 차단 입자를 함께 이용해 복합분체를…
화장품이 한류를 이끄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화장품 분야 특허출원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빅2 화장품 기업은 물론 세계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도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 선점과 브랜드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특허 출원된 기술은 심사에 통과해야 특허등록이 돼 특허권이 생긴다. 이와 관련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더페이스샵이 등록한 특허실용신안등록 건수를 검색한 결과 총 20건이 검색됐다.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더페이스샵의 화장품 관련 실용신안 특허등록 기술을 소개한다. 1. 화장품 용기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손질 표면을 노출하는 손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에 손질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질부를 이용해 손톱 등
화장품이 한류를 이끄는 대표 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화장품 분야 특허출원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빅2 화장품 기업은 물론 세계 1위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도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 선점과 브랜드 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특허 출원된 기술은 심사에 통과해야 특허등록이 돼 특허권이 생긴다. 이와 관련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콜마가 등록한 특허실용신안등록 건수를 검색한 결과 총 33개, 디자인 특허등록 건수는 57개 건이 검색됐다. 2016년 2월부터 11월까지 한국콜마의 화장품 관련 실용신안 특허등록 기술을 소개한다. 23.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for cultivation of Lactobacillus, ginseng berry-fermented extracts comprising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