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구 섭취한 히알루론산의 장내 세균에 의한 분해와 피부에 대한 작용 히알루론산은 N-acetyl glucosamine과 D-glucuronic acid의 2당이 반복 구조를 갖는 곧은 사슬형의 글루코사 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이며 분자량은 큰 것이 1×10 6 Da(달톤)을 넘는다. 히알루론산의 가장 큰 특징은 높은 수분 보유력이며 분자량이 높은 것은 약 1,000배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다고 한다1). 또생체 내에서 세포외기질 성분으로서 전신에 분포하며 특히 피부, 관절, 눈의 유리체에 많이 존재한다. 히알루론산의 생리학적 기능으로는 수분 보유에 의한 세포 유지와 영양성분의 이동, CD44나 TLR4와 같은 수용체를 통한 항염증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2). 히알루론산은 높은 수분 보유력 때문에 관절과 눈을 대상으로한 의약품과 보습을 목적으로 한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릎 등 관절의 통증 개선과 피부 보습을 목적으로 한 건강기능식품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림5 히알루론산의 경구 섭취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 히알루론산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사람 피부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 많은 연구 보고가 있으며3)…
#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 히알루론산은 우리의 피부, 유리체, 관절, 뇌 등에 존재하며 화장품부터 건강식품, 관절 내 주사제, 주름개선을 위한 미용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기에 폭넓은 세대에 알려진 성분이다. 그 구조는 D-글루쿠론 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번갈아 가며 곧은 사슬형으로 결합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며(그림1) 1g당 2~6L의 물을 보유할 수 있는 뛰어난 보수력1)과 높은 점성, 탄성이 특징이다. 이러한 성질에 의해 세포외기질(ECM)의 구성 분자로서 보습작용과 완충작용에 기여하고 있으며 조직의 유연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온몸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중 50% 이상은 피부에 존재하며 약 1일이라는 짧은 주기로 대사 순환을 통해 생성과 분해가 이루어지고 있다1)2). 이렇게 다이나믹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기에 히알루론산 생성과 분해의 균형 붕괴는 피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7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의 새로운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 제안 또히알루론산은 그 분자량에 따라 완전히 반대의 생리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생체 내에 서는 고분자 히알루론산(>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7월호는 특집으로 피부의 히알루론산 연구라는 주제로▲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경구 섭취한 히알루론산의 장내 세균에 의한 분해와 피부에 대한 작용▲피부의 히알루론산 대사에 기초한 항노화 기술 개발▲마그네슘 첨가로 GSK3와 CREB 활성화를 통한 표피 히알루론산의 생성 촉진▲사철쑥꽃추출물로 인한 하이알루로닉애씨드(히알루론산) 보호 효과와 피부 처짐 예방 효과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지금이 중국 화장품 인허가 등록에 적기인 이유 [특집]피부의 히알루론산 연구 1.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 Mechanism of hyaluronan metabolism in normal human dermal skin fibroblasts, 일본 콜마 연구개발부 스킨케어 제3부(日本コルマー 研究開発本部 スキンケア第3部) 佐藤伸哉 2.경구 섭취한 히알루론산의 장내 세균에 의한 분해와 피부에 대한 작용, Degradation of orally ingested hyaluronic acid by intestinal b…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영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3년 7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7월호는 특집으로 피부의 히알루론산 연구라는 주제로▲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대사 메커니즘▲경구 섭취한 히알루론산의 장내 세균에 의한 분해와 피부에 대한 작용▲피부의 히알루론산 대사에 기초한 항노화 기술 개발▲마그네슘 첨가로 GSK3와 CREB 활성화를 통한 표피 히알루론산의 생성 촉진▲사철쑥꽃추출물로 인한 하이알루로닉애씨드(히알루론산) 보호 효과와 피부 처짐 예방 효과등으로 구성됐다. 챌린지 섹션에서는 열정을 쏟아 부어 성과를 이뤄냈던 성공적인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물류 섹션에서는 다가오는 빅블러와 애브노멀을 통해 변화되는 물류 풍경과 시스템에 대해 다뤘다.최신 한국 특허정보 소개는 2023년 2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이 게재됐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 프롬바이오(대표이사 심태진)가 ‘파스닙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를 등록했다. 파스닙은 유럽과 시베리아에서 자라는 뿌리채소로로마시대부터 식용하거나 약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롬바이오는 2022년 6월부터 파스닙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의 기능성 연구를 시작했다. 이번 특허는 파스닙 추출물이 사람 각질형성세포(HaCaT cells)에서 특별한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억제하고히알루론산 생합성 효소 발현의 증가를 인정받아 등록됐다. 피부의 자외선 노출은 피부 연결조직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직접적으로 파괴할 뿐아니라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성을 증가시켜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한다. 파스닙 추출물 조성물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MMP의 생성을 억제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히알루론산은 친수성이 강해 물과 결합해 겔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데 대표적인 인자다. 이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을 유도해 피부 보습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활용범위도 다양하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1월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92건으로 전월의 171건에 비해 21건 증가한 특허건수를 보였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64건으로서 전월의 32건보다 32건이 증가해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비율은 33%를 나타내 전월의 19%에 비해 매우 커졌으며 최근 들어 가장 높은 해외 특허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2023년 1월의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건 수가 소폭 증가했으며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상
# Caroi’Line Exolive, Exosil 지중해 동부 지역이 원산지인 올리브인 Olea europaea L.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재배 식물종 중 하나이다. 기원전 2,500년 전부터 크레타와 시리아에서 재배됐는데 아테나 여신의 상징이기도 한 올리브 나무는 지중해 해안 주변에서 발전한 문명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으며 평화, 승리, 힘, 장수를 상징한다. 올리브는 다양하고 긍정적인 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획하고 저장하는 탄소 격리가 장기간으로 가능하다. 또수자원 소모가 적은 나무 이기도 하다. 세계 올리브 나무 숲의 70%는 비로 관개할 수 있고 수분 보충은 거의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올리브 나무는 수자원을 적게 소모한다. 수자원 소모가 적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자랄 수 있으며사막화를 줄이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스쿠알란 감각 분석 순환 경제의 원칙에 따라 지속가능한 올리브 Squalane인 EXOLIVE®와 실리콘 천연 대체품인 EXOSIL®은 Upcycling으로 얻어지며 건강한 올리브 오일의 미용 특성과 긍정적인 효과를 보존한다. 친환경 공정 EXOLIVE®에 포함돼 있는 Squalane은 사람의
# 높은 백색도벤토나이트 수분산액디스파젤 (주)호준(HOJUN)에서는 정제된 높은 백색도의 Na형 벤토나이트를 독자적인 물리적 기법(Super Dispersion Technology : SDT)에 의해 고도로 분산된 멸균 완료액 ‘디스파젤(Dispagel)’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기존에는 분체로 제공하고 있었지만 분진의 문제나 분산 장치가 필요하고 가온 등의 수고가 든다는 소리에 벤토나이트 수분산액을 발매하는 계기가 됐다. 의약외품 원료 규격에 대응하는 원료인 벤토나이트에서 태어난 디스파젤은 화장품 수성 성분 베이스 등의 용도로서 확실한 성능을 발휘한다. # 특징 · SDT(Super Dispersion Technology)에서 태어난 디스 파젤. 분진의 문제 없이 분산 공정을 용이하게 소량으로 장기간 안정된 분산 상태를 유지한다. · 물 : 오일 = 50 : 50이나 되는 높은 유분의 비율로도 가열을 하지 않고 상온 교반만으로 안정된 유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 멸균 처리로 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 γ선 조사 증명서 첨부 가능 (<10CFU/g 확인) 디스파젤(Dispagel)의 외관 벤토나이트는 건조한 상태에서는 판상 결정 구
# 세계 최초효모 세포벽활용한 신소재 Yeast Veil® 평소 우리가 먹는 많은 음식물은 효모 등의 미생물 생명 활동인 발효 작용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한편, 그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효모체는 활용되지 않으며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원료에서 각종 미이용 자원을 업사이클링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우리는 맥주 양조에서 생기는 맥주 효모(Saccharomy ces pastorianus)를 활용한 화장품 원료 개발에 성공했다. 본 제품은 맥주 양조 후의 맥주 효모를 회수하고 자기소화, 효소 처리로 세포 내용물을 제거한 후 산 처리 등에 의해 세포벽 표면을 부드럽게 보풀어 줌으로써 제조된다(그림1). 성상은 효모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의 효모 세포벽을 포함하는 수분산 슬러리이며(그림2) 방부의 목적으로 에탄올과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그림1 이스트베일에서의 효모 세포벽의 표면 상태 본 제품을 1% 포함하는 수용액을 건조시킨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효모 세포벽이 비늘조각상으로 변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그림3). 본 구조는 효모 세포벽 표면의 부드러운 보풀(fluff)들이 서로 얽힘으로써 조밀한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추측
# 오더메이드 엑소좀의 화장품 원료RemyEV-Carrier(레미이브이-캐리어)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엑소좀은 최근에 매우 주목받고 있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직경 50~150nm 정도의 소포를 말하며 다양한 세포가 분비하지만 간엽계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은 상처 치유에 관련된 정보를 운반하고 있다고 한다1). 상처 치유와 관련된 세포들은 미용에 크게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엑소좀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은 크다고 안티에이징(주)은 생각하고 있다. 당사의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에는 모두 엑소좀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지만 엑소좀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원료가 ‘RemyEV-3’(리포좀 가공 인체 줄기세포 순화배양액 하이브리드 엑소좀)이다.이 기능을 인체 줄기세포 배양액 이외의 화장품 원료에도 응용할 수 있도록 OEM 원료의 제조로서의 서비스를 개시한다. 그것이 이번에 소개하는 ‘RemyEV-Carrier’이다. RemyEV-Carrier는 임의의 독자적인 화장품 원료를 엑소좀의 힘으로 세포까지 배달하는 원료 제조 서비스이다. 그림2 RemyEV-3(하이브리드 엑소좀)의 공정 동사는 일찍부터 엑소좀의 기능에…
# 화장 지속,메이크업 스킨케어 효과양립하는 베이스 메이 크업용 신규 아미노산계 콤플렉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정신적인 충족감과 만족감을 가져다 줌으로써 일상의 'Live well'에 공헌하고 소비자의 QOL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아직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회생활의 답답함이 계속되는 가운데 메이크업 화장품이 갖는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스트레스 없이 즐기기 위해서 메이크업을 한 초기 상태를 되도록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다는 화장 지속의 요구는 강하다. 실제로 매장에 진열된 많은 메이크업 화장품이 ‘화장 지속’, ‘화장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롱래스팅’ 등을 표방하고 있는 것에 서도 니즈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한편, 메이크업 화장품은 맨살을 다양한 혼합물(오일, 계면활성제, 분체)로 장시간 덮고사용이기 때문에 메이크업 화장품에 의해 피부 상태의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도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귀가하면 먼저 메이크업을 지운다는 소비자도 많다고 생각되며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 상태를 적극적으로 개선한다고는 생각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림1 화장 지속과 메이크업 스킨케어 효과를 양립하는 신규 아미노
# 퀴논 가교이용한 아미노기 함유 성분결합에 의한 모발 표면 개질 최근 모발 색을 바꾸는 미용 기술로서 산화 염모제를 이용한 헤어 컬러가 미용실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 되고 있어1) 많은 사람이 다양한 모발 색을 즐기고 있다. 헤어 컬러의 기술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어 최근에는 탈색 처리로 모발을 밝게 한 후에 헤어 컬러에 의해 섬세한 색 표현을 하는 기술도 확대되고 있다. 한편, 헤어 컬러나 헤어 디자인 기술의 진보와 함께 모발에 주는 손상도 복잡해지고 있어 그것을 보수(repair)하는 헤어케어 제품에 대해서도 높은 효과가 요구되고 있다. 모발 표면에는 큐티클이라고 불리는 비늘 모양의 조직이 존재하고 있어 손으로 만졌을 때의 감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헤어 컬러 등의 시술 이력이 없는 모발이라면 그 가장 바깥 표면에는 18-메틸에이 코사노익애씨드(18-MEA)이라고 불리는 마찰 저감이나 발수성 등에 기여하는 지질 성분이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림3 각 아미노기 함유 수지의 XPS 서베이 스펙트럼과 S2p 피크 스펙트럼 18-MEA는 큐티클 표면의 단백질과 티오에스터(thioester)결합에 의해 고정돼 있지만 알칼리성의 환경